본문내용
육 운동이 급격히 발달하여 좀 더 작은 글자도 쓸 수 있어, 한글 해서체의 기초를 완성한다. 괘선(罫線) 있는 지면이나 백지(白紙)에 쓸 수도 있으며, 편지를 쓸 수 있게 된다. 글의 표현에서는 비교적 자세하게 서술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글이 급격히 길어지며, 구문 구조도 복잡해진다. 취재의 범위가 넓어져 사회적, 객관적 세계를 향하기도 한다. 문장은 병렬적인 표현이 차츰 감소하여 차차 구체적인 묘사적 서술이 활발해진다.
외적인 세계에 관한 흥미가 강해지고, 독서의 경향은 남녀를 막론하고 신화를 좋아하여 읽고 듣고자 한다. 옛날이야기를 즐기는 가운데에서도 또 생활 이야기(동화)의 시기로 들어간다.
4) 4학년(9~10세)
어휘가 양적으로 큰 발달을 보이되, 많은 추상 어휘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문어적 어휘와 구어적 어휘의 구분 인식이 가능해진다. 병열적 문장은 거의 없어지며, 주절(主節)과 종속절(從屬節)을 가진 복합문의 사용이 점차 많아진다. 읽는 속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빨리읽기 등의 훈련이 가능해진다.
흥미의 관점이 외적인 세계로 향하는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며, 자연과학적인 의문, 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독서의 취향은 남녀 아동이 크게 달라짐을 보이는데, 공상의 세계에서 현실로의 전환을 보이지만, 남자는 모험, 탐험, 발명 등 제재에 관심을 보이고, 여자는 소년 소녀 소설을 좋아하게 된다. 여전히 생활이야기(동화) 시기에 있으나 전기에 대한 관심도 차츰 커진다.
5) 5학년(10~11세)
어휘나 문장은 4학년에 이어 계속 발전한다. 문제 해결을 위하여 조리 있게 토론하며, 남의 의견을 존중하는 능력도 증진된다. 혼자 사고하여 판단하는 것보다는 집단적 사고의 결과를 중시하는 능력도 생기며, 바르게 질문하는 능력도 증가되고, 다른 사람의 사상, 생각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게 된다.
정서의 표현은 차츰 내면화의 경향으로 진행하고, 정서적 감수성도 계속 순조롭게 발달되어 간다. 외적 세계에 관한 흥미는 더욱 넓어지며, 토론에서는 사회적인 사항, 지적 경험에 의한 사항에 흥미가 기울어지게 된다. 점차 흥미의 방향이 남녀 성별차에 따라 뚜렷이 달라지게 되고, 독서는 생활 동화기의 말기, 전기 시기의 중간에 처하여 남자는 모험 이야기, 여자는 소년 소녀 소설 등을 즐겨 읽는다.
6) 6학년(11~12세)
어휘는 아동기 최후의 순조로운 발달을 보이며, 문장은 일정한 중심을 두고 통일성 있게 정리한다. 기계적 기억과 논리적 사고의 발달은 더욱 현저해진다. 정서의 표현은 점점 내면화의 경향이 되며, 감수성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정신적, 사회적, 도덕적인 세계에 대해 정서를 일으키게 된다. 이제 상대나 상황을 고려한 적절한 어휘 구사 등 언어 사용이 비교적 유창하게 되고, 독서 결과에 대한 토론 등이 가능하며, 자기 자신을 주인공으로 삼는 글짓기 등도 해낼 수 있게 된다.
이상적인 인물에 대한 흥미도 5학년에 비해 한층 심화되며, 남녀의 성격 차이도 더욱 뚜렷해진다. 독서, 토론의 흥미 등도 5학년의 경향이 더욱 심화된다.
7) 7~12세 아동의 언어
① 어휘사용의 발달
어휘수의 끊임없는 증가와 함께 지적흥미의 범위가 비약적으로 확대된다. 또한 논리적 추리와 분석적 기술이 증가되어 비교(더 크다, 더 작다등) 문장사용과 함께 초등학교 후반이 되면 가정법의 문장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된 말이나 기록에도 매력을 느껴 상징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② 문법지식의 발달
문법지식이 향상되어 복잡한 문장을 이해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③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자기중심적 언어 단계를 벗어나 듣는 사람의 관점을 고려해서 사용하는 언어 형태를 구사할 수 있다.
외적인 세계에 관한 흥미가 강해지고, 독서의 경향은 남녀를 막론하고 신화를 좋아하여 읽고 듣고자 한다. 옛날이야기를 즐기는 가운데에서도 또 생활 이야기(동화)의 시기로 들어간다.
4) 4학년(9~10세)
어휘가 양적으로 큰 발달을 보이되, 많은 추상 어휘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고, 문어적 어휘와 구어적 어휘의 구분 인식이 가능해진다. 병열적 문장은 거의 없어지며, 주절(主節)과 종속절(從屬節)을 가진 복합문의 사용이 점차 많아진다. 읽는 속도가 크게 향상되므로 빨리읽기 등의 훈련이 가능해진다.
흥미의 관점이 외적인 세계로 향하는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며, 자연과학적인 의문, 자연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독서의 취향은 남녀 아동이 크게 달라짐을 보이는데, 공상의 세계에서 현실로의 전환을 보이지만, 남자는 모험, 탐험, 발명 등 제재에 관심을 보이고, 여자는 소년 소녀 소설을 좋아하게 된다. 여전히 생활이야기(동화) 시기에 있으나 전기에 대한 관심도 차츰 커진다.
5) 5학년(10~11세)
어휘나 문장은 4학년에 이어 계속 발전한다. 문제 해결을 위하여 조리 있게 토론하며, 남의 의견을 존중하는 능력도 증진된다. 혼자 사고하여 판단하는 것보다는 집단적 사고의 결과를 중시하는 능력도 생기며, 바르게 질문하는 능력도 증가되고, 다른 사람의 사상, 생각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게 된다.
정서의 표현은 차츰 내면화의 경향으로 진행하고, 정서적 감수성도 계속 순조롭게 발달되어 간다. 외적 세계에 관한 흥미는 더욱 넓어지며, 토론에서는 사회적인 사항, 지적 경험에 의한 사항에 흥미가 기울어지게 된다. 점차 흥미의 방향이 남녀 성별차에 따라 뚜렷이 달라지게 되고, 독서는 생활 동화기의 말기, 전기 시기의 중간에 처하여 남자는 모험 이야기, 여자는 소년 소녀 소설 등을 즐겨 읽는다.
6) 6학년(11~12세)
어휘는 아동기 최후의 순조로운 발달을 보이며, 문장은 일정한 중심을 두고 통일성 있게 정리한다. 기계적 기억과 논리적 사고의 발달은 더욱 현저해진다. 정서의 표현은 점점 내면화의 경향이 되며, 감수성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정신적, 사회적, 도덕적인 세계에 대해 정서를 일으키게 된다. 이제 상대나 상황을 고려한 적절한 어휘 구사 등 언어 사용이 비교적 유창하게 되고, 독서 결과에 대한 토론 등이 가능하며, 자기 자신을 주인공으로 삼는 글짓기 등도 해낼 수 있게 된다.
이상적인 인물에 대한 흥미도 5학년에 비해 한층 심화되며, 남녀의 성격 차이도 더욱 뚜렷해진다. 독서, 토론의 흥미 등도 5학년의 경향이 더욱 심화된다.
7) 7~12세 아동의 언어
① 어휘사용의 발달
어휘수의 끊임없는 증가와 함께 지적흥미의 범위가 비약적으로 확대된다. 또한 논리적 추리와 분석적 기술이 증가되어 비교(더 크다, 더 작다등) 문장사용과 함께 초등학교 후반이 되면 가정법의 문장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된 말이나 기록에도 매력을 느껴 상징에 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② 문법지식의 발달
문법지식이 향상되어 복잡한 문장을 이해하고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③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자기중심적 언어 단계를 벗어나 듣는 사람의 관점을 고려해서 사용하는 언어 형태를 구사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에이원-부모교육-영유아기 발달특성과 영유아기 부모가 갖는 특성을 조사
영유아기에 교사역할의 중요성 - 영유아기 교육의 기본 원리
영유아기 발달 특성을 정리하고, 특성연령을 정하여 발달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
[아동영양학] 영유아기 생활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 (영유아기 ...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유아기 언어발달] 영유아기 언어발달 과정, 영유아 언어교육 지침, 영유아 언어 영역, 연...
영유아기 생활지도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영유아기 생활지도의 개념, 영유아기 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