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백정이란 누구인가
2.형평운동이 일어났던 사회적ㆍ역사적 조건
3.형평운동의 확산
4.형평사의 해소와 변질
5.형평운동의 의의
2.형평운동이 일어났던 사회적ㆍ역사적 조건
3.형평운동의 확산
4.형평사의 해소와 변질
5.형평운동의 의의
본문내용
형평사는 본래 취지를 상실한 채 이익 단체로 전락해 갔다. 수육조합이 건설되고 고기가격 인상요구 등 정육업자들의 이익 보호에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결국 1935년 제 13차 정기 전국대회에서 형평사의 간판을 내리기로 결정하고 대동사로 바꾸었다. 이후 형평사의 활동에서 내걸었던 인권운동의 성격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며, 총본부를 대전으로 옮기고 사원들의 경제 이익을 지키는 것에 치중하고 만다. 더 나아가 1938년 태평양전쟁을 준비하는 일제에 비행기와 기관총 등 전쟁 물자를 헌납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일제에 적극 협력하는 부역 세력으로 변질되고 만다.
5.형평운동의 의의
형평운동은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철폐하고 인간으로서의 기본권리를 쟁취하려는 ‘평등’을 위한 신분해방운동으로 출발하였고, 이는 우리 역사상 근대적 의미로 인권운동ㆍ사회평등 실천운동으로서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봉건제를 타파하고자 하는 사회개혁운동이라는 점에서도 그 역사적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사회주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전개된 후기의 형평운동은 ‘백정차별철폐’라는 본래의 목적을 해소시키게 되며, 일제 탄압으로 인한 온건파의 주도권장악 역시 일제에 영합하는 대동사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형평운동이 지닌 한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형평 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형평 운동의 재인식』, 솔 출판사, 1993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청년사, 1996
김중섭, 『형평 운동』, 지식산업사, 2001
고숙화, 『형평 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5.형평운동의 의의
형평운동은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철폐하고 인간으로서의 기본권리를 쟁취하려는 ‘평등’을 위한 신분해방운동으로 출발하였고, 이는 우리 역사상 근대적 의미로 인권운동ㆍ사회평등 실천운동으로서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봉건제를 타파하고자 하는 사회개혁운동이라는 점에서도 그 역사적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사회주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전개된 후기의 형평운동은 ‘백정차별철폐’라는 본래의 목적을 해소시키게 되며, 일제 탄압으로 인한 온건파의 주도권장악 역시 일제에 영합하는 대동사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형평운동이 지닌 한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형평 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형평 운동의 재인식』, 솔 출판사, 1993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청년사, 1996
김중섭, 『형평 운동』, 지식산업사, 2001
고숙화, 『형평 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추천자료
[교장임용제도]교장의 과업, 자질과 교장임용제도(교장승진제도)의 현황, 문제점 및 영국, 독...
[귀족과 농민][율령제][귀족사회]신분제 사회의 귀족과 농민, 균전제, 조용조, 부병제 심층분석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특성과 역사, 고등학교평준화제도(고교평준화정책)의 ...
[인사행정][인사][행정][인사행정 역사][인사행정 범위][인사행정 교육][보수]인사행정의 역...
[프라이버시권]프라이버시권(개인정보보호)의 정의, 형성배경, 프라이버시권(개인정보보호)의...
문학 속에서 찾아보는 조선시대 신분제
[역사교육] 구체제말기의 신분질서와 농민의 상황
실적주의 인사제도(실적제도)의 의미, 특징, 실적주의 인사제도(실적제도)의 성립과정, 계급...
이몽룡 vs 방자 , 극복할 수 없는 신분차이 (춘향전)
[생활법률 공통] <문제 1>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가 이혼을 하면 신분과 재산, 자녀의 친권...
[생활법률 공통] <문제 1> 미성년 자녀가 있는 부부가 이혼을 하면 신분과 재산, 자녀의 친권...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풍자와 해학미 - 풍자를 띤 해학성(신분제의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