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정들의 희망(형평운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정들의 희망(형평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백정이란 누구인가

2.형평운동이 일어났던 사회적ㆍ역사적 조건

3.형평운동의 확산

4.형평사의 해소와 변질

5.형평운동의 의의

본문내용

형평사는 본래 취지를 상실한 채 이익 단체로 전락해 갔다. 수육조합이 건설되고 고기가격 인상요구 등 정육업자들의 이익 보호에만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결국 1935년 제 13차 정기 전국대회에서 형평사의 간판을 내리기로 결정하고 대동사로 바꾸었다. 이후 형평사의 활동에서 내걸었던 인권운동의 성격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으며, 총본부를 대전으로 옮기고 사원들의 경제 이익을 지키는 것에 치중하고 만다. 더 나아가 1938년 태평양전쟁을 준비하는 일제에 비행기와 기관총 등 전쟁 물자를 헌납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일제에 적극 협력하는 부역 세력으로 변질되고 만다.
5.형평운동의 의의
형평운동은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편견을 철폐하고 인간으로서의 기본권리를 쟁취하려는 ‘평등’을 위한 신분해방운동으로 출발하였고, 이는 우리 역사상 근대적 의미로 인권운동ㆍ사회평등 실천운동으로서 그 의의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봉건제를 타파하고자 하는 사회개혁운동이라는 점에서도 그 역사적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사회주의 운동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전개된 후기의 형평운동은 ‘백정차별철폐’라는 본래의 목적을 해소시키게 되며, 일제 탄압으로 인한 온건파의 주도권장악 역시 일제에 영합하는 대동사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형평운동이 지닌 한계 또한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형평 운동 70주년 기념사업회,『형평 운동의 재인식』, 솔 출판사, 1993
한국역사연구회,『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2』, 청년사, 1996
김중섭, 『형평 운동』, 지식산업사, 2001
고숙화, 『형평 운동』,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4.02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