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협동학습 두가지 모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협동학습 두가지 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terdependence)
협동적 상호의존성은 소집단 구성원들 간의 상호보완적이고 연결된 역할 분담을 통해서 나타난다. 예를 들면, 점검자(summerizer-checker)는 구성원들이 배우는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지 관찰. 연구실행자(researchert-runner)는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다른 집단과 교사와의 의사소통을 담당. 기록자(recorder)는 소집단의 결정과 보고서를 기록. 응원자(encourager)는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격려. 관찰자(observer)는 집단 과정과 협동적인 활동들을 관찰.
과제에 대한 설명(explaining the academic task)
학생에게 과제를 배분할 때 교사는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함
■ 개인 구성원 각자가 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분명하고 명확 하게 할당하여야 함.
■ 수업을 함으로써 얻게 되는 결과 행동, 즉 목표를 분명하게 설명해 주고 그것과 관련된 개념이나 사전에 배웠던 관련 정 보가 무엇인지 알려 주어야 함.
■ 관련 개념을 정의해 주고, 학생이 밟아야할 수업 절차를 설명 해주고 적절한 예를 들어주는 것이 좋음.
■ 교사가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서 학생이 자신의 역할 분담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
긍정적 목표상호의존성의 구조화(structuring positive goal interdependence)
협동 학습은 소집단 구성원이 '함께 살고 함께 죽는'(sink or swim together)학습 상황을 강조. 각 학생이 자기에게 주어진 분담 과제를 완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동료들도 각자의 분담 과제를 완성해야 소집단 전체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이를 위해 교사는 대표적으로 과제와 보상의 두 가지 구조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모든 구성원이 그 과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수행하였는지를 점검. 다음으로 보상을 통한 방식은 과제를 끝낸 후에 개인적 시험을 쳐서 소집단 전체 점수에 반영하거나 특정한 기준에 도달한 구성원의 수에 따라 보상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
개별적 책무성의 구조화(structuring individual accountability)
개인은 자신의 과제는 물론 다른 구성원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 있음. 교사는 이를 위해서 교사는 임의로 한 집단의 한 개인을 지적해서 질문을 하거나 다른 구성원의 활동을 점검하게 하거나 집단을 평가할 때 임의의 한 구성원의 성적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개별적 책무성을 강조.
집단간 협동의 구조화(structuring intergroup cooperation)
집단내의 협동학습의 긍정적 결과는 집단 사이의 협동에서도 확장될 수 있음. 한 소집단이 자신들의 과제를 다 끝냈을 때 다른 집단의 활동을 도와줄 수 있음.
성취의 기준 설명(explaining criteria for success)
교사는 학생이 성취해야 할 절대적 기준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어야 함. 또한 집단에 따라 성취 목표가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고, 주간이나 월별로 목표의 점진적인 상향 조정을 하여 구체적으로 학생의 진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바람직한 행동의 상세화(specifying desired behavior)
협동 학습 활동에서 바람직한 행동들을 학생들에게 주지시켜야 함. 초보적인 행동 규칙에서부터, '어떻게 정답을 찾았는지 설명하기', '이전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관련시키기', '자료를 이해하고 동료들이 도출한 정답에 동의하기', '동료들을 격려하기', '동료들이 발표하는 것을 잘 듣기', '다수의 압력이 아니라 논리로 동료를 설득하기', '사람을 비판하지 말고 주장을 비판하기'등의 규칙들이 상세하게 제시되어야 함.
학생의 행동을 모니터하기(monitoring students' behavior)
협동학습에서 학생이 학습활동을 하는 동안 교사는 학생이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는지 제대로 협동 활동을 하는지를 알기 위해 관찰을 해야 함. 점검 목록을 만들어 활용하는 것이 좋음. 때로는 학생을 관찰자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단순점검을 활용.
과제 지원(providing task assistance)
교사는 학생의 활동을 모니터하면서 수업의 과정을 명확하게 하고, 할당된 과제를 완수하는데 중요한 과정과 전략을 개관하고, 질문에 답하고, 필요한 과제 수행 기능을 가르침.
개입을 통한 협력적 기능 가르치기(intervening to teach collaborative skills)
교사는 모니터를 하는 가운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나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는 필요한 협동 기능이 부족한 학생과 제대로 협동 활동을 하지 못하는 집단이 있을 때 이에 개입할 필요가 있음. 개입을 했을 때에도 최소한으로 한정하여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 주지 말고 그 집단이나 개인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맡겨야 함.
수업 마무리하기(providing closure to the lesson)
수업이 끝날 무렵 학생은 그들이 배우고, 이해하고, 앞으로 배울 수업에 어떻게 활용할 지를 요약 정리할 수 있어야 함. 교사의 적절한 마무리. 수업의 요점을 요약하고, 질문을 통해 확인하고, 적절한 예를 제공하며, 학생의 최종적 질문에 대답해 주는 등.
학생의 학습에 대한 양적·질적 평가(evaluat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tudents' learning)
평가 대상은 소집단 구성원이 합의해서 보고한 결과물, 개인 평가에 기초한 소집단점수, 특정 성취 기준에 도달한 구성원의 수 등 다양. 협동학습에서의 평가는 절대기준평가를 적용하여야 하며 학업성취와 함께 얼마나 협력을 잘했는지에 대해서도 평가하는 것이 좋음.
집단 활동에 대한 평가(assessing how well the group functioned)
집단 활동에 대한 평가는 소집단 활동은 물론 전체 학급의 활동 과정에 대해서도 평가회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함께 학습하기 모형의 절차는 모두 18단계이며, 이는 절차이기도 하지만 일종의 원리이기도 하다(Johnson & Johnson, 1984, 1994).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4.0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5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