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청소년 발달의 이론
Ⅱ. 신체적 발달 특성
1) 신장
2) 체중
3) 체력
Ⅲ. 생리적 발달 특성
1) 사춘기의 호르몬 작용
2) 성적성숙
(1) 남자 청소년의 성적 성숙
(2) 여자 청소년의 성적 성숙
3) 성조숙증
4) 성적 성숙의 개인차
Ⅳ. 신체ㆍ생리적 변화의 기안된 심리적 변화
Ⅴ. 결론
Ⅱ. 신체적 발달 특성
1) 신장
2) 체중
3) 체력
Ⅲ. 생리적 발달 특성
1) 사춘기의 호르몬 작용
2) 성적성숙
(1) 남자 청소년의 성적 성숙
(2) 여자 청소년의 성적 성숙
3) 성조숙증
4) 성적 성숙의 개인차
Ⅳ. 신체ㆍ생리적 변화의 기안된 심리적 변화
Ⅴ. 결론
본문내용
67.6
55.4
2004
49.7
47.5
55.7
51.1
60.2
53.4
63.4
54.0
66.3
55.2
68.1
55.8
2005
50.2
47.8
55.7
51.0
61.0
53.1
64.1
54.4
66.1
55.2
68.1
56.1
2006
50.7
48.0
56.6
51.2
60.5
52.9
64.3
54.2
66.5
54.8
68.2
55.4
2007
50.9
48.1
56.7
51.4
61.1
53.2
64.0
54.0
66.3
54.8
68.3
55.4
2008
50.8
48.1
56.7
51.5
61.4
53.3
63.8
53.8
65.8
54.4
67.7
55.1
2009
51.9
48.0
57.0
51.2
61.5
53.3
64.2
54.3
66.5
55.2
68.1
56.0
2010
51.7
48.2
57.2
51.5
61.5
53.2
64.7
54.9
66.6
55.5
68.1
55.6
3) 체력
청소년기에 골격, 근육, 신경계 등의 신체발달에 따라 운동능력도 현저히 발달한다.
운동능력이 높으면 자신감, 성취감을 갖고 사회적 인정을 받게 되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운동능력이 낮으면 사회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게 되어 열등감을 느끼고 부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의 신체능력검사 2010년의 결과를 10년 전 2000년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50m달리기, 오래달리기 및 걷기, 제자리멀리뛰기,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초·중등학생 제외),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등의 종목에서 전반적으로 2010년 기록이 저조해 아동청소년들의 기본 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의 제자리멀리뛰기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제외한 항목, 그리고 여자의 모든 항목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보다 3학년이 기록이 저조한데 이러한 결과는 입시준비에 따른 학업증가로 신체활동이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표4> 성별·연령별 팔굽혀펴기/매달리기의 추이(청소년 백서, 2011)
측정연도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2000
23.0
6.7
26.7
7.0
30.4
7.5
33.5
9.5
35.2
10.2
38.8
10.9
2005
23.3
6.0
26.9
6.5
30.1
6.4
33.2
6.5
35.8
7.0
35.5
7.5
2006
24.4
5.4
26.0
5.0
30.1
5.3
33.4
5.8
35.8
5.9
34.7
6.4
2007
23.4
5.2
25.3
4.7
27.9
6.0
32.6
6.0
34.9
6.4
33.1
6.4
2008
23.3
5.2
25.3
5.4
27.9
5.9
32.6
5.9
34.8
6.3
33.9
6.6
2009
23.7
5.5
25.6
6.3
28.7
6.1
33.5
7.4
35.4
7.6
35.7
7.0
2010
-
-
-
-
-
-
32.8
8.3
35.7
8.2
34.7
7.6
Ⅲ. 생리적 발달 특성
청소년기에는 신체의 성장 및 내부 기관의 급격한 발달에 의해서 생식기와 생식기능이 발달하여 그 결과 제2차 성징이라고 하는 변화를 보이게 된다. 난소와 고환의 성장으로 시작되는 사춘기 동안 생식기의 성숙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2차적 성 특성들이 나타난다.
청소년기의 성장급등 현상은 성적 성숙을 동반한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데, 대부분 약 4년 동안에 일어나게 되어 청소년들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
1) 사춘기의 호르몬 작용
아동들이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나타나게 되는 신체 변화 중에서 가자 현저한 것은 소년 들의 턱수염과 소녀들의 넓어진 둔부이다. 이것은 내분비선에서 나오는 호르몬이라는 강 력한 화학물질이 혈관을 통해 신체에 전달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춘기의 발달에 중요한 2개의 기본적인 호르몬이 있는데 , 그것은 안드로겐(androgen) 이라는 남성호르몬과 에스트로겐(estrogen)이라는 여성호르몬이다. 안드로겐과 에스트로 겐은 사춘기 때 가장 많이 분비된다. 테스토스테론(일종의 남성호르몬)은 사춘기 때 남자청소년들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사춘기 동안 테스토스테론의 증가는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 발달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외부 생식기, 신장의 증가, 목소리의 변화와 같은 것에 영향을 미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자청소년의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성적 흥미 및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라디올은 일종의 에스트로겐으로 사춘기
55.4
2004
49.7
47.5
55.7
51.1
60.2
53.4
63.4
54.0
66.3
55.2
68.1
55.8
2005
50.2
47.8
55.7
51.0
61.0
53.1
64.1
54.4
66.1
55.2
68.1
56.1
2006
50.7
48.0
56.6
51.2
60.5
52.9
64.3
54.2
66.5
54.8
68.2
55.4
2007
50.9
48.1
56.7
51.4
61.1
53.2
64.0
54.0
66.3
54.8
68.3
55.4
2008
50.8
48.1
56.7
51.5
61.4
53.3
63.8
53.8
65.8
54.4
67.7
55.1
2009
51.9
48.0
57.0
51.2
61.5
53.3
64.2
54.3
66.5
55.2
68.1
56.0
2010
51.7
48.2
57.2
51.5
61.5
53.2
64.7
54.9
66.6
55.5
68.1
55.6
3) 체력
청소년기에 골격, 근육, 신경계 등의 신체발달에 따라 운동능력도 현저히 발달한다.
운동능력이 높으면 자신감, 성취감을 갖고 사회적 인정을 받게 되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운동능력이 낮으면 사회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게 되어 열등감을 느끼고 부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의 신체능력검사 2010년의 결과를 10년 전 2000년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50m달리기, 오래달리기 및 걷기, 제자리멀리뛰기,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초·중등학생 제외),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등의 종목에서 전반적으로 2010년 기록이 저조해 아동청소년들의 기본 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의 제자리멀리뛰기와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를 제외한 항목, 그리고 여자의 모든 항목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보다 3학년이 기록이 저조한데 이러한 결과는 입시준비에 따른 학업증가로 신체활동이 감소되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표4> 성별·연령별 팔굽혀펴기/매달리기의 추이(청소년 백서, 2011)
측정연도
중1
중2
중3
고1
고2
고3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남
여
2000
23.0
6.7
26.7
7.0
30.4
7.5
33.5
9.5
35.2
10.2
38.8
10.9
2005
23.3
6.0
26.9
6.5
30.1
6.4
33.2
6.5
35.8
7.0
35.5
7.5
2006
24.4
5.4
26.0
5.0
30.1
5.3
33.4
5.8
35.8
5.9
34.7
6.4
2007
23.4
5.2
25.3
4.7
27.9
6.0
32.6
6.0
34.9
6.4
33.1
6.4
2008
23.3
5.2
25.3
5.4
27.9
5.9
32.6
5.9
34.8
6.3
33.9
6.6
2009
23.7
5.5
25.6
6.3
28.7
6.1
33.5
7.4
35.4
7.6
35.7
7.0
2010
-
-
-
-
-
-
32.8
8.3
35.7
8.2
34.7
7.6
Ⅲ. 생리적 발달 특성
청소년기에는 신체의 성장 및 내부 기관의 급격한 발달에 의해서 생식기와 생식기능이 발달하여 그 결과 제2차 성징이라고 하는 변화를 보이게 된다. 난소와 고환의 성장으로 시작되는 사춘기 동안 생식기의 성숙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2차적 성 특성들이 나타난다.
청소년기의 성장급등 현상은 성적 성숙을 동반한다. 이러한 변화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는데, 대부분 약 4년 동안에 일어나게 되어 청소년들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
1) 사춘기의 호르몬 작용
아동들이 사춘기에 들어서면서 나타나게 되는 신체 변화 중에서 가자 현저한 것은 소년 들의 턱수염과 소녀들의 넓어진 둔부이다. 이것은 내분비선에서 나오는 호르몬이라는 강 력한 화학물질이 혈관을 통해 신체에 전달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사춘기의 발달에 중요한 2개의 기본적인 호르몬이 있는데 , 그것은 안드로겐(androgen) 이라는 남성호르몬과 에스트로겐(estrogen)이라는 여성호르몬이다. 안드로겐과 에스트로 겐은 사춘기 때 가장 많이 분비된다. 테스토스테론(일종의 남성호르몬)은 사춘기 때 남자청소년들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사춘기 동안 테스토스테론의 증가는 남자 청소년들의 신체 발달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외부 생식기, 신장의 증가, 목소리의 변화와 같은 것에 영향을 미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자청소년의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성적 흥미 및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라디올은 일종의 에스트로겐으로 사춘기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의 발달특성고 유아문학
[사회복지] 청소년기의 발달특성을 요약하고, 청소년 복지의 필요성을 자신의 생각을 중심으...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발달
아동기 발달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건강문제에 대해서 기술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발달
영유아기의 발달특성과 보육교사의 역할
중학생의 발달특성과 독서지도 방법에 관하여
영유아기 발달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효과적인 교사의 역할을 요약하고 본인이 이...
연령별 발달특성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
유아기의 발달특성을 설명하고 유아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자신...
유아기의 발달특성을 설명하고 유아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자신...
성인기의 개념과 발달특성 및 정신건강에 서술하고, 이에 대한 개인 의견을 작성
아동의 발달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