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목차
1. 무역계약
2. 무역계약의 종류
3. 무역계약의 특수성
4. 무역계약성립 요건
4. 무역의 기본조건
5. 계약위반의 개념
6. 적중예상문제
2. 무역계약의 종류
3. 무역계약의 특수성
4. 무역계약성립 요건
4. 무역의 기본조건
5. 계약위반의 개념
6. 적중예상문제
본문내용
④ 해상운송뿐 아니라 복합운송에서도 사용가능한 조건들이다.
134. Incoterms, 2010에 의하면 CIF조건에서는 매도인(Seller)이 매수인(Buyer)을 위하여 해상적하보험(Marine Cargo Insurance)에 부보해야 한다. 이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보험계약은 공신력 있는 보험업자 또는 보험회사가 체결하여야 한다.
② 보험금액(Insured Amount)은 최소한 매매계약 금액의 110%로 해야 한다.
③ 개별확정보험으로 부보해야 하며, 포괄예정보험(Open Cover)에 의한 부보는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④ 보험기간(Duration of Insurance Cover)은 선적항에서 물품이 본선의 난간을 통과한 시점부터 목적항에서 매수인(Buyer)이 물품을 수령할 때까지로 한다.
135. 다음의 정형무역조건(Trade Terms) 가운데 Incoterms, 2010에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닌 조건을 찾으시오.
① CAF ② DDP③ FOP ④ CPT
136. Incoterms, 2010에 의한 무역거래조건 중 위험이전시점과 비용이전시점이 같지 않은 것을 찾으시오.
① CFR ② FOB③ DAT ④ DAP
137. Incoterms, 2010에 대한 FAS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매도인은 해상운송 및 보험계약의무가 없다.
② 매도인은 물품을 통관하여야 하며 수출허가도 받아야 한다.
③ 위험부담의 분기점은 선측에 물품의 인도가 완료된 때이다.
④ 비용의 분기점은 선측에 물품의 인도가 완료될 때까지이다.
138. 오퍼상에 “This firm offer is subject to acceptance reaching your reply her by October 31, 2012”라고 명시되어 있을 때 다음 내용 중 관계없는 것을 찾으시오.
① 도달주의 ② Irrevocable Offer
③ Conditional Offer ④ 승낙의 효력발생시기
139. Incoterms, 20100에 의한 FCA조건의 설명으로서 타당하지 않는 것을 찾으시오.
① 복합운송에 의한 무역계약(거래)에 적합하다.
② 종래의 FRC와 FOA 및 FOR(FOT)를 통합한 것이다.
③ 수출승인(E/L)과 같은 수출행정절차는 매수인(Buyer)이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④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Transport by Inland Waterway)에도 쓰여질 수 있다.
140. Incoterms, 2010에 의한 정형무역조건별 비용부담의 귀속에 관한 다음의 설명 가운데 가장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① FCA조건에서는 수출통관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한다.
② FAS조건에서는 수출승인(E/L)을 받음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한다.
③ DDU조건에서는 수입통관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하고 수입관세는 매수인(Buyer)이 부담한다.
④ DEQ조건하에서는 모든 선적전 검사(PSI:Pre-Shipment Inspection)의 비용은 매수인(Buyer)에게 귀속된다.
133. ③ 134. ③ 135. ③ 136. ① 137. ②
141. 다음 내용은 Revised American Foreign Trade Definition, 1941의 가격조건들이다. 이들
중 Incoterms, 2010에서 규정하고 있는 FOB와 가장 유사한 가격조건을 고르시오.
① FOB vessel named on boarad at shipment
② FOB named inland point in country of information
③ FOB named inland carrier at named point of exportation
④ FOB named inland carrier at named inland point of departure
142. 다음의 내용은 중재(Arbitration)의 장점을 설명한 것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을 찾으시오.
① 비용의 절약 ② 분쟁의 신속한 해결
③ 중재심리의 비공개 ④ 상소를 통한 법적 안정성 확보
143. 다음 내용 중에서 중재계약을 잘못 설명한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계약은 분쟁 발생 전에 체결되어야 유효하다.
② 중재계약에는 중재장소, 중재법, 중재기관 등이 명시된다.
③ 중재계약의 형식적 요건은 반드시 서면에 의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
④ 중재계약의 당사자가 처분할 수 있는 사법상의 분쟁을 합의할 수 있다.
144. 다음 가운데 무역분쟁 또는 Claim의 해결방법인 중재(Arbitration)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판정의 결과는 외국에서도 집행될 수 있다.
② 당사자간의 중재합의가 있어야 중재에 붙일 수 있다.
③ 법원의 확정판결과 중재판정은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④ 중재판정의 공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중재절차는 공개됨을 원칙으로 한다.
145. 중재판정의 집행력에 관한 국제협약(조약)으로서 UN이 제정한 것을 고르시오.
① Hague Rules, 1924 ② Hamburg Rules, 1978
③ New York Convention, 1958 ④ Vienna Convention, 1980
146. 조정(Conciliation)에 관한 다음의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의 바로 전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는 무역분쟁 해결방법이다.
② 조정의 결과 수락된 조정안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다.
③ 조정인이 제시하는 조정안에 대해서는 당사자가 구속되므로 이를 수락해야 한다.
④ 당사자의 조정신청이 있어야 조정이 가능하므로 중재기관의 직권에 의한 조정은 허용되지 않는다.
138. ③ 139. ③ 140. ① 141. ① 142. ④
147. 중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판정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② 중재인은 자기가 내린 중재판정을 철회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③ 중재판정에 불복하는 경우 대법원에만 재심청구소송을 낼 수 있다.
④ 중재인은 일차적으로 당사자가 선정하고, 중재인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다.
143. ① 144. ④ 145. ③ 146. ① 147. ③
134. Incoterms, 2010에 의하면 CIF조건에서는 매도인(Seller)이 매수인(Buyer)을 위하여 해상적하보험(Marine Cargo Insurance)에 부보해야 한다. 이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보험계약은 공신력 있는 보험업자 또는 보험회사가 체결하여야 한다.
② 보험금액(Insured Amount)은 최소한 매매계약 금액의 110%로 해야 한다.
③ 개별확정보험으로 부보해야 하며, 포괄예정보험(Open Cover)에 의한 부보는 원칙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④ 보험기간(Duration of Insurance Cover)은 선적항에서 물품이 본선의 난간을 통과한 시점부터 목적항에서 매수인(Buyer)이 물품을 수령할 때까지로 한다.
135. 다음의 정형무역조건(Trade Terms) 가운데 Incoterms, 2010에서 규정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닌 조건을 찾으시오.
① CAF ② DDP③ FOP ④ CPT
136. Incoterms, 2010에 의한 무역거래조건 중 위험이전시점과 비용이전시점이 같지 않은 것을 찾으시오.
① CFR ② FOB③ DAT ④ DAP
137. Incoterms, 2010에 대한 FAS조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매도인은 해상운송 및 보험계약의무가 없다.
② 매도인은 물품을 통관하여야 하며 수출허가도 받아야 한다.
③ 위험부담의 분기점은 선측에 물품의 인도가 완료된 때이다.
④ 비용의 분기점은 선측에 물품의 인도가 완료될 때까지이다.
138. 오퍼상에 “This firm offer is subject to acceptance reaching your reply her by October 31, 2012”라고 명시되어 있을 때 다음 내용 중 관계없는 것을 찾으시오.
① 도달주의 ② Irrevocable Offer
③ Conditional Offer ④ 승낙의 효력발생시기
139. Incoterms, 20100에 의한 FCA조건의 설명으로서 타당하지 않는 것을 찾으시오.
① 복합운송에 의한 무역계약(거래)에 적합하다.
② 종래의 FRC와 FOA 및 FOR(FOT)를 통합한 것이다.
③ 수출승인(E/L)과 같은 수출행정절차는 매수인(Buyer)이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
④ 해상운송이나 내수로운송(Transport by Inland Waterway)에도 쓰여질 수 있다.
140. Incoterms, 2010에 의한 정형무역조건별 비용부담의 귀속에 관한 다음의 설명 가운데 가장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① FCA조건에서는 수출통관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한다.
② FAS조건에서는 수출승인(E/L)을 받음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한다.
③ DDU조건에서는 수입통관비용은 매도인(Seller)이 부담하고 수입관세는 매수인(Buyer)이 부담한다.
④ DEQ조건하에서는 모든 선적전 검사(PSI:Pre-Shipment Inspection)의 비용은 매수인(Buyer)에게 귀속된다.
133. ③ 134. ③ 135. ③ 136. ① 137. ②
141. 다음 내용은 Revised American Foreign Trade Definition, 1941의 가격조건들이다. 이들
중 Incoterms, 2010에서 규정하고 있는 FOB와 가장 유사한 가격조건을 고르시오.
① FOB vessel named on boarad at shipment
② FOB named inland point in country of information
③ FOB named inland carrier at named point of exportation
④ FOB named inland carrier at named inland point of departure
142. 다음의 내용은 중재(Arbitration)의 장점을 설명한 것이다. 설명이 잘못된 것을 찾으시오.
① 비용의 절약 ② 분쟁의 신속한 해결
③ 중재심리의 비공개 ④ 상소를 통한 법적 안정성 확보
143. 다음 내용 중에서 중재계약을 잘못 설명한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계약은 분쟁 발생 전에 체결되어야 유효하다.
② 중재계약에는 중재장소, 중재법, 중재기관 등이 명시된다.
③ 중재계약의 형식적 요건은 반드시 서면에 의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
④ 중재계약의 당사자가 처분할 수 있는 사법상의 분쟁을 합의할 수 있다.
144. 다음 가운데 무역분쟁 또는 Claim의 해결방법인 중재(Arbitration)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판정의 결과는 외국에서도 집행될 수 있다.
② 당사자간의 중재합의가 있어야 중재에 붙일 수 있다.
③ 법원의 확정판결과 중재판정은 동일한 효력을 지닌다.
④ 중재판정의 공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중재절차는 공개됨을 원칙으로 한다.
145. 중재판정의 집행력에 관한 국제협약(조약)으로서 UN이 제정한 것을 고르시오.
① Hague Rules, 1924 ② Hamburg Rules, 1978
③ New York Convention, 1958 ④ Vienna Convention, 1980
146. 조정(Conciliation)에 관한 다음의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의 바로 전 단계에서 행해질 수 있는 무역분쟁 해결방법이다.
② 조정의 결과 수락된 조정안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이 있다.
③ 조정인이 제시하는 조정안에 대해서는 당사자가 구속되므로 이를 수락해야 한다.
④ 당사자의 조정신청이 있어야 조정이 가능하므로 중재기관의 직권에 의한 조정은 허용되지 않는다.
138. ③ 139. ③ 140. ① 141. ① 142. ④
147. 중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을 찾으시오.
① 중재판정은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② 중재인은 자기가 내린 중재판정을 철회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③ 중재판정에 불복하는 경우 대법원에만 재심청구소송을 낼 수 있다.
④ 중재인은 일차적으로 당사자가 선정하고, 중재인의 자격은 원칙적으로 제한이 없다.
143. ① 144. ④ 145. ③ 146. ① 147. ③
추천자료
무역 계약의 조건
철의 실크로드, 국제무역과 시베리아횡단철도
철의 실크로드, 국제무역과 시베리아횡단철도
(국제법) 국제계약이론과 국제계약분쟁
[법적 대응]WTO(국제무역기구)통신서비스협상, 사이버공간의 법적 대응, 전자적의사표시, 인...
글로벌무역 계약의 종료
글로벌무역 계약서작성과 일반거래협정서 체결
글로벌무역 계약의 결제 및 보험조건
글로벌무역 계약의 성립
최신 중계무역 판매계약서 사례
폴란드의 국가 리스크- 폴란드 경제의 개괄,국경쟁력지수 비교,국제무역,소득불평등 구조,빈...
[국제경제환경론 공통] 한국 FTA 현황을 연구,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한국 무역의 전망에 대하...
★ 무역 - 운송증권, Air Waybill와 BL 차이, 운임의종류, 용선계약, 개품운송계약
[국제경영학] 미국 트럼프 정부의 무역정책이 향후 한국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