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본문내용
애자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보통 수 개 또는 수십 개를 체인 형태로 연결해 애자련을 만들어 사용한다.
② 장간애자
- 많은 갓을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긴 애자이다. 구조 상 열화 현상이 거의 없고 애자 점검과 보수가 용이하다.
- 경비가 절감되며, 비에 의한 세척 효과가 좋고 오손 특성이 양호해 염해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2) 애자의 전기적 특성
① 애자의 정전 용량
- 현수 애자는 캡과 핀 또는 볼 사이에 각각 정전 용량이 존재한다. 비가 내리면 자기의 표면이 젖기 때문에
평행판 콘덴서의 극판 면적이 증가한 것 같이 되어 정전 용량도 이에 따라 증대하게 된다.
② 섬락 전압
* 섬락 전압 : 애자의 양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뒤 전압을 서서히 올리면 양쪽 전극 사이의 공기를 통하여
방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전압을 말한다.
* 건조 섬락 전압 : 애자가 건조한 상태에서 섬락할 때의 전압값을 말한다.
* 주수 섬락 전압 : 비에 젖은 애자가 섬락할 때의 전압값을 말한다.
③ 애자의 전압 분포
- 현수 애자는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각 애자의 분담 전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애자의 수를 늘려도 그 개수에 비례하여 절연 내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5. 전선의 진동과 도약
(1) 댐퍼
- 클램프 가까이에 적당한 중량의 추를 설치하여 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진동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SB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2) 철탑의 오프셋
- 전선 주위에 부착했던 빙설이 떨어지면 전선이 갑자기 장력을 잃게 되어 단락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 도약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상이 다른 전선이 동일 수직면에 가깝기 때문으로 빙설이 많은 지역에서는
철탑으로부터 전선의 오프셋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지중 송전 선로의 구성
1. 지중 송전 선로의 개요
* 지중 송전 선로
- 가공 송전 선로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들지만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전력 공급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기후 조건의 영향이 적고, 도시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 도체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 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의 전력 공급에 적합하다.
-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지점을 발견하기 어렵고 발견 후에도 고장 복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2. 전력 케이블의 종류
- 케이블의 기본적 구조 : 도체부, 절연부, 보호부 3개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 케이블은 절연 방식에 따라 절연지를 사용하는 것과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을 절연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1) OF케이블
- 신뢰성이 높고 경제적으로 우수하여 널리 사용된 케이블로 유침 절연지를 절연체로 사용한다.
- 케이블 내부에 기름 통로를 넣고 절연유를 충전하여 케이블 외부에 설치된 유압 조정 탱크에 의해 절연유에
상시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해 공극이 발생치 않게 하여 안정된 절연 성능을 갖게 한 케이블이다.
(2) XLPE케이블
- 폴리에틸렌을 화학적 처리에 의해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변형하여 절연체로 사용한다.
- 가볍고 절연 성능이 우수하며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보수, 점검이 용이하고 도체의 허용온도가 높다.
- 전류 용량이 큰 장점이 있어 600[V]의 저압에서 500[kV]의 초고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3. 전력 케이블의 시공 방식
- 시공방법으로는 관로 인입식, 전력구식, 직접 매설식의 3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선로 정수
1. 선로 정수 개요
* 선로 정수 : 송전 선로는 저항 R, 인덕턴스 L, 정전 용량 C, 누설컨덕턴스 G의 4가지 정수를 가진 연속된
전기회로인데 이들 정수를 선로 정수라고 한다. 송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인 전압강하, 손실
등을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
- 선로 정수는 모든 전선로에 분포되어 있으나 개략적인 계산을 할 경우, 선로 정수가 한 개소 또는 수 개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2. 가공 선로의 선로 정수
(1) 저항
* 표피효과 : 도체에 교류전류가 흐르면 전류의 흐름이 도체 단면적에 균일하게 흐르지 않고 도체 표면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 표피효과 때문에 교류회로가 직류 회로에 비해 전선의 실효 저항이 크게 나타난다.
(2) 인덕턴스
- 3상 3선식 송전선로의 경우, 각 선의 위치가 다르므로 각 상의 인덕턴스가 달라지고 선로의 전압 강하도
달라진다. 그로 인해 수전단 전압은 불평형 상태가 된다.
* 연가 : 불평형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전 구간을 3등분 하여 전선의 배치를 상호 바꿈으로서 전 구간에서
각 전선의 인덕턴스를 같게 유지하여 주는 것이다.
(3) 정전 용량
* 정전용량 : 작용 정전 용량이라고도 하며 선간 정전 용량과 대지 정전 용량을 합한 것을 말한다.
(4) 누설 컨덕턴스
- 누설 컨덕턴스는 누설 저항의 역수이므로 아주 작은 값이 되며 실용상 무시하여도 상관 없다.
3. 지중 선로의 선로 정수
(1) 저항
- 케이블은 도체로 연동선을 사용하며 도체의 저항값은 교류회로에서 약간 크게 나타난다.
- 표피효과와 도체 간격이 작아지므로 나타나는 근접 효과에 의해 저항이 증가한다.
(2) 인덕턴스
- 심선 한 가닥 당의 인덕턴스는 외장과 연피를 무시하면 가공 송전선의 경우와 같다.
(3) 정전 용량
- 선간 거리 대신에 절연체의 반지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공 송전선에 비해 약 30배 정도 크다.
중성점 접지 방식과 유도 장해
1. 중성점 접지방식
- 송전계통은 3상 3선식으로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중성점의 접지문제는 송전선과 기기의 절연설계, 통신선 유도 장해, 고장 구간의 검출을 위한 보호 계전기의
동작 등에 영향을 준다.
- 중성점 접지방식 종류 : 비접지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
- 우리나라의 경우, 직접 접지방식을 사용한다.(계전기 동작 확실, 선로와 기기의 경제적 설계 가능)
2. 유도 장해
(1) 정전 유도
- 전력선과 통신선의 사
② 장간애자
- 많은 갓을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긴 애자이다. 구조 상 열화 현상이 거의 없고 애자 점검과 보수가 용이하다.
- 경비가 절감되며, 비에 의한 세척 효과가 좋고 오손 특성이 양호해 염해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다.
(2) 애자의 전기적 특성
① 애자의 정전 용량
- 현수 애자는 캡과 핀 또는 볼 사이에 각각 정전 용량이 존재한다. 비가 내리면 자기의 표면이 젖기 때문에
평행판 콘덴서의 극판 면적이 증가한 것 같이 되어 정전 용량도 이에 따라 증대하게 된다.
② 섬락 전압
* 섬락 전압 : 애자의 양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뒤 전압을 서서히 올리면 양쪽 전극 사이의 공기를 통하여
방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전압을 말한다.
* 건조 섬락 전압 : 애자가 건조한 상태에서 섬락할 때의 전압값을 말한다.
* 주수 섬락 전압 : 비에 젖은 애자가 섬락할 때의 전압값을 말한다.
③ 애자의 전압 분포
- 현수 애자는 여러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각 애자의 분담 전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애자의 수를 늘려도 그 개수에 비례하여 절연 내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5. 전선의 진동과 도약
(1) 댐퍼
- 클램프 가까이에 적당한 중량의 추를 설치하여 진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진동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SB댐퍼를 사용하고 있다.
(2) 철탑의 오프셋
- 전선 주위에 부착했던 빙설이 떨어지면 전선이 갑자기 장력을 잃게 되어 단락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 도약으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상이 다른 전선이 동일 수직면에 가깝기 때문으로 빙설이 많은 지역에서는
철탑으로부터 전선의 오프셋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지중 송전 선로의 구성
1. 지중 송전 선로의 개요
* 지중 송전 선로
- 가공 송전 선로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들지만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전력 공급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기후 조건의 영향이 적고, 도시 미관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가 적다.
- 도체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 밀도가 높은 도심 지역의 전력 공급에 적합하다.
-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지점을 발견하기 어렵고 발견 후에도 고장 복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2. 전력 케이블의 종류
- 케이블의 기본적 구조 : 도체부, 절연부, 보호부 3개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 케이블은 절연 방식에 따라 절연지를 사용하는 것과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을 절연체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1) OF케이블
- 신뢰성이 높고 경제적으로 우수하여 널리 사용된 케이블로 유침 절연지를 절연체로 사용한다.
- 케이블 내부에 기름 통로를 넣고 절연유를 충전하여 케이블 외부에 설치된 유압 조정 탱크에 의해 절연유에
상시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해 공극이 발생치 않게 하여 안정된 절연 성능을 갖게 한 케이블이다.
(2) XLPE케이블
- 폴리에틸렌을 화학적 처리에 의해 가교 폴리에틸렌으로 변형하여 절연체로 사용한다.
- 가볍고 절연 성능이 우수하며 접속 작업이 용이하고 보수, 점검이 용이하고 도체의 허용온도가 높다.
- 전류 용량이 큰 장점이 있어 600[V]의 저압에서 500[kV]의 초고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3. 전력 케이블의 시공 방식
- 시공방법으로는 관로 인입식, 전력구식, 직접 매설식의 3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선로 정수
1. 선로 정수 개요
* 선로 정수 : 송전 선로는 저항 R, 인덕턴스 L, 정전 용량 C, 누설컨덕턴스 G의 4가지 정수를 가진 연속된
전기회로인데 이들 정수를 선로 정수라고 한다. 송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인 전압강하, 손실
등을 계산하는 데 필요하다.
- 선로 정수는 모든 전선로에 분포되어 있으나 개략적인 계산을 할 경우, 선로 정수가 한 개소 또는 수 개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2. 가공 선로의 선로 정수
(1) 저항
* 표피효과 : 도체에 교류전류가 흐르면 전류의 흐름이 도체 단면적에 균일하게 흐르지 않고 도체 표면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 표피효과 때문에 교류회로가 직류 회로에 비해 전선의 실효 저항이 크게 나타난다.
(2) 인덕턴스
- 3상 3선식 송전선로의 경우, 각 선의 위치가 다르므로 각 상의 인덕턴스가 달라지고 선로의 전압 강하도
달라진다. 그로 인해 수전단 전압은 불평형 상태가 된다.
* 연가 : 불평형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전 구간을 3등분 하여 전선의 배치를 상호 바꿈으로서 전 구간에서
각 전선의 인덕턴스를 같게 유지하여 주는 것이다.
(3) 정전 용량
* 정전용량 : 작용 정전 용량이라고도 하며 선간 정전 용량과 대지 정전 용량을 합한 것을 말한다.
(4) 누설 컨덕턴스
- 누설 컨덕턴스는 누설 저항의 역수이므로 아주 작은 값이 되며 실용상 무시하여도 상관 없다.
3. 지중 선로의 선로 정수
(1) 저항
- 케이블은 도체로 연동선을 사용하며 도체의 저항값은 교류회로에서 약간 크게 나타난다.
- 표피효과와 도체 간격이 작아지므로 나타나는 근접 효과에 의해 저항이 증가한다.
(2) 인덕턴스
- 심선 한 가닥 당의 인덕턴스는 외장과 연피를 무시하면 가공 송전선의 경우와 같다.
(3) 정전 용량
- 선간 거리 대신에 절연체의 반지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가공 송전선에 비해 약 30배 정도 크다.
중성점 접지 방식과 유도 장해
1. 중성점 접지방식
- 송전계통은 3상 3선식으로 Y결선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중성점의 접지문제는 송전선과 기기의 절연설계, 통신선 유도 장해, 고장 구간의 검출을 위한 보호 계전기의
동작 등에 영향을 준다.
- 중성점 접지방식 종류 : 비접지방식, 직접 접지방식, 저항 접지방식, 소호 리액터 접지방식
- 우리나라의 경우, 직접 접지방식을 사용한다.(계전기 동작 확실, 선로와 기기의 경제적 설계 가능)
2. 유도 장해
(1) 정전 유도
- 전력선과 통신선의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