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2-1 장르의 전반적 특성
2-2 작품의 보편적 의미
2-3 작품이 나에게 가지는 의미
2-4 다시쓰기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2-1 장르의 전반적 특성
2-2 작품의 보편적 의미
2-3 작품이 나에게 가지는 의미
2-4 다시쓰기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시나요. 라고 말하고 있다. 저렇게 느린 시대에도 사랑은 느림이 느껴질만큼 그렇게 천천히 만들어지고, 천천히 깊어지는 것이었다. 충분히 깊어졌다 생각했어도 지나고 보면 그 정도 깊이는 아무것도 아니었다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사랑이라고 이 시는 말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를 보면 어떤가. 빠른 시대에 살고있다고 사랑이 변하지는 않았을텐데, 우리는 너무 빨리 사랑하고 너무 빨리 헤어지고 너무 빨리 그 사랑을 망각한다. 사랑한다는 말을 아낄줄모르고 남발하며 때로는 그 남발에 상처받기도 한다. 그야말로 습관적 사랑 고백을 일삼는 우리는 무엇보다도 느려야할 사랑이라는 감정에 무엇보다도 빨리빨리 깊어지길 원하며 빨리빨리 잊혀지길 원한다. 뭐든지 빨라진다고 해서 정말 중요한 무언가까지 빨라질 필요는 없다. 내가 이 시조를 읽고 처음엔 편지를 받는 소녀가 되어 미소를 지으며 좋아했지만 몇 번씩 읽으며 자연스럽게 반성하게 된 이유는 여기에 있다. 문자 한통에, 전화 한통에 우리는 사랑한다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사랑한다고 말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고 얼마나 많은 밤을 지새웠을까? 우리는 한 선비의 촌철살인에서 다시 한 번 사랑이 가지는 ‘느림의 미학’을 느낄 수 있다. 느리기에 소중하고 느리기에 그리워할 수 있는 깊은 사랑을 화자는 원하고 있다.
2-4 다시쓰기
매일 아침 사랑한다는 임의 문자 거짓말입니다.
매일 밤 사랑한다는 임의 통화 그 더욱 거짓말입니다.
나처럼 사랑한다는 말, 아까워서 못한다면 어찌 그리 사랑한다 할 수 있으리오.
3. 결론
우리는 흔히 그런 얘기를 한다. 편해졌지만 행복해지지는 않았다고. 기술은 발전해서 우리는 편하게 살지만 그만큼 옛날보다 행복해지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인간이 있으며 어디에나 있는 것이 사랑이다. 그 사랑의 방식은 바뀌고 형태는 바뀌지만 본질은 언제나 같았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안일한 마음으로 사랑의 방식이 그 본질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질되어가는 것을 방치할 필요는 없다. 정말 느린 사랑, 수없이 그리워하고 고민하고 생각하던 그 수많은 날들을 거쳐 우리는 비로소 진정 사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금은 그것을 모르고 사랑을 남발하는 수많은 현대인들이 있다. 이 시조는 그런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한번이라도 고민해 볼수 있는 기회를 준다.
4. 참고문헌
김상용. 사가문학론. 사림어문학회. 1987.
김광순 外,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년
2-4 다시쓰기
매일 아침 사랑한다는 임의 문자 거짓말입니다.
매일 밤 사랑한다는 임의 통화 그 더욱 거짓말입니다.
나처럼 사랑한다는 말, 아까워서 못한다면 어찌 그리 사랑한다 할 수 있으리오.
3. 결론
우리는 흔히 그런 얘기를 한다. 편해졌지만 행복해지지는 않았다고. 기술은 발전해서 우리는 편하게 살지만 그만큼 옛날보다 행복해지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인간이 있으며 어디에나 있는 것이 사랑이다. 그 사랑의 방식은 바뀌고 형태는 바뀌지만 본질은 언제나 같았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안일한 마음으로 사랑의 방식이 그 본질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질되어가는 것을 방치할 필요는 없다. 정말 느린 사랑, 수없이 그리워하고 고민하고 생각하던 그 수많은 날들을 거쳐 우리는 비로소 진정 사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지금은 그것을 모르고 사랑을 남발하는 수많은 현대인들이 있다. 이 시조는 그런 현대인들에게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한번이라도 고민해 볼수 있는 기회를 준다.
4. 참고문헌
김상용. 사가문학론. 사림어문학회. 1987.
김광순 外,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년
추천자료
대중매체를 이용한 이미지 차용에 관한 연구
악장- 용비어천가 (개념, 형식, 발생, 율격, 성격, 의의)
전래동화의 의의와 한계
잡가의 총체적 연구
고려가요의 주요작품 소개 및 논의
유상계 가사 특징과 대표작품 분석
[방송대 국어국문학과4]황진이의 삶으로 보는 북한소설의 로맨스와 묘사방법 및 황진이의 작...
수이전(殊異傳) 일문(逸文) 「최치원(崔致遠)」 연구 ―「최치원」이 갖는 전기소설(傳奇小說)...
몽유록계(夢遊錄系) 소설 연구 (원생몽유록, 대관재몽유록, 강도몽유록)
나의 서사에 의미 있는 작품 분석 [적성의전에 대하여]
나의 서사에 의미 있는 작품 분석 [해와 달이 된 오누이]
[가사][가사문학][문학][율격][한역][초사체형]가사(가사문학)의 개념, 가사(가사문학)의 장...
직무만족도(업무만족, 직무만족) 의미,의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사서,레포츠리조트종사원...
몽유록계(夢遊錄系) 소설 연구 (원생몽유록, 대관재몽유록, 강도몽유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