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였다.
*흉막강내 공기유입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단기목표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편안하게 호흡을 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달 이후 가슴통증 없이 원활하게 정상 호흡을 할 것이다.
진단적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필요 시 산소를 공급해준다.
*대상자에게 숨쉬기 편한 반좌위 체위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론적 근거
반좌위를 취해주어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계획
*기침과 심호흡 운동을 격려한다.
*대상자가 숨쉬기 어려워해서 숨쉬기 편한 자세인 반좌위를 취해 주었다.
*7월17일 5시 25분에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T:36.5
BP:130/80
P:90
R:26
*비강캐뉼라로 3L의 산소를 공급해 주었다.
*심호흡을 천천히 하라고 알려주었다.
* 거친 호흡을 보이지 않는다.
*편안하게 숨을 쉬고 내쉴 수가 있다.
* 통증호소를 보이지 않는다.
주관적 자료
*움직이기가
불편해요
*옆구리가 아파요
객관적 자료
*통증척도가 8점이라고 하였다.
*대상자의 표정이 고통스러워 보였다.
*흉관삽입과 관련된 통증
단기목표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진통제 투여 후 통증호소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흉관을 이용한 공기를 빼낸 후 폐가 정상 크기를 유지해 15일 이후에 완전히 통증이 완화 되었다고 할 것 이다.
진단적계획
*통증을 호소 할 때 진통제를 투여 한다.
치료적계획
*호흡하기 쉬운 반좌위 체위를 취해준다
*최대한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증 이외에 다른 것에 관심을 두도록 한다.
교육적계획
*천천히 숨을 쉬도록 교육한다.
*반좌위를 취해주어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해주었다.
*통증을 중일 수 있도록 천천히 깊게 숨을 쉬라고 교육 하였다.
*대상자가 보호자와 이야기를 나누게 하거나 해서 통증에 관심을 두지 않도록 했다.
*통증사정척도가 5점으로 내려갔다.
*통증 호소가 줄어들었다.
*움직이는 것도 훨씬 자연스러워 졌다.
3.결론
우선 응급실에서는 말 그대로 응급환자 들이 오는 곳이기 때문에 직접 실습하는 기회는 적었으나 그대신 여러 환자 들을 볼 수 있었다. 응급실에 있으면서 환자분들을 검사실로 옮기는 일을 많이 했는데 환자분들을 검사실로 옮길 때는 침상 머리 부분이 앞으로 가도록 해야 한다. 왜냐하면 환자들은 누워있으면 천장만 보기 때문에 많이 불안해하신다. 그렇기 때문에 머리를 앞쪽으로 해서 무슨 검사를 하러 가는 건지 얘기를 해주면서 가야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응급실에서 실습 하는 동안 어린 아동들이 많이 왔었는데 그 이유가 요즘 뇌수막염이 유행이라고 한다. 뇌수막염 진단을 위해서 뇌척수액 검사를 많이 했었는데 우선 아이들에게 수면 마취를 한 뒤 새우등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에 긴 바늘을 이용해서 요추천자를 하고 압력을 잰 다음에 압력이 높으면 만니톨을 주었다. 그리고 뇌척수액을 받아내었다.
뇌척수액을 한 어린이는 4시간을 똑바른 자세로 누워있어야 한다.
그리고 또 소변보기가 어려운신 분들을 위해 폴리 카테터를 하는 모습을 많이 봤었는데 1학년 때 마네킹을 대상으로 실습을 했었는데 그때에는 마네킹이라서 요도가 잘 보였는데 직접 사람에게 하는 걸 봤을 때는 잘 보이지 않았다. 실습 때와는 전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본문 간호과정)
기본 간호학 상*하권 현문사 (본분 간호과정)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105 (서론 문헌고찰)
강릉 아산병원 응급실 간호차트 (본론 검사결과 및 간호과정)
http://health365.ne.kr/ (서론 문헌고찰)
*흉막강내 공기유입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단기목표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편안하게 호흡을 할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달 이후 가슴통증 없이 원활하게 정상 호흡을 할 것이다.
진단적 계획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필요 시 산소를 공급해준다.
*대상자에게 숨쉬기 편한 반좌위 체위를 취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론적 근거
반좌위를 취해주어 횡격막에 대한 복부장기에 대한 압력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계획
*기침과 심호흡 운동을 격려한다.
*대상자가 숨쉬기 어려워해서 숨쉬기 편한 자세인 반좌위를 취해 주었다.
*7월17일 5시 25분에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T:36.5
BP:130/80
P:90
R:26
*비강캐뉼라로 3L의 산소를 공급해 주었다.
*심호흡을 천천히 하라고 알려주었다.
* 거친 호흡을 보이지 않는다.
*편안하게 숨을 쉬고 내쉴 수가 있다.
* 통증호소를 보이지 않는다.
주관적 자료
*움직이기가
불편해요
*옆구리가 아파요
객관적 자료
*통증척도가 8점이라고 하였다.
*대상자의 표정이 고통스러워 보였다.
*흉관삽입과 관련된 통증
단기목표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진통제 투여 후 통증호소를 보이지 않을 것이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흉관을 이용한 공기를 빼낸 후 폐가 정상 크기를 유지해 15일 이후에 완전히 통증이 완화 되었다고 할 것 이다.
진단적계획
*통증을 호소 할 때 진통제를 투여 한다.
치료적계획
*호흡하기 쉬운 반좌위 체위를 취해준다
*최대한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증 이외에 다른 것에 관심을 두도록 한다.
교육적계획
*천천히 숨을 쉬도록 교육한다.
*반좌위를 취해주어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을 쉬도록 해주었다.
*통증을 중일 수 있도록 천천히 깊게 숨을 쉬라고 교육 하였다.
*대상자가 보호자와 이야기를 나누게 하거나 해서 통증에 관심을 두지 않도록 했다.
*통증사정척도가 5점으로 내려갔다.
*통증 호소가 줄어들었다.
*움직이는 것도 훨씬 자연스러워 졌다.
3.결론
우선 응급실에서는 말 그대로 응급환자 들이 오는 곳이기 때문에 직접 실습하는 기회는 적었으나 그대신 여러 환자 들을 볼 수 있었다. 응급실에 있으면서 환자분들을 검사실로 옮기는 일을 많이 했는데 환자분들을 검사실로 옮길 때는 침상 머리 부분이 앞으로 가도록 해야 한다. 왜냐하면 환자들은 누워있으면 천장만 보기 때문에 많이 불안해하신다. 그렇기 때문에 머리를 앞쪽으로 해서 무슨 검사를 하러 가는 건지 얘기를 해주면서 가야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응급실에서 실습 하는 동안 어린 아동들이 많이 왔었는데 그 이유가 요즘 뇌수막염이 유행이라고 한다. 뇌수막염 진단을 위해서 뇌척수액 검사를 많이 했었는데 우선 아이들에게 수면 마취를 한 뒤 새우등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에 긴 바늘을 이용해서 요추천자를 하고 압력을 잰 다음에 압력이 높으면 만니톨을 주었다. 그리고 뇌척수액을 받아내었다.
뇌척수액을 한 어린이는 4시간을 똑바른 자세로 누워있어야 한다.
그리고 또 소변보기가 어려운신 분들을 위해 폴리 카테터를 하는 모습을 많이 봤었는데 1학년 때 마네킹을 대상으로 실습을 했었는데 그때에는 마네킹이라서 요도가 잘 보였는데 직접 사람에게 하는 걸 봤을 때는 잘 보이지 않았다. 실습 때와는 전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본문 간호과정)
기본 간호학 상*하권 현문사 (본분 간호과정)
http://www.healthkorea.net/HealthInfo/?kspid=HI000299&disease=105 (서론 문헌고찰)
강릉 아산병원 응급실 간호차트 (본론 검사결과 및 간호과정)
http://health365.ne.kr/ (서론 문헌고찰)
추천자료
물리치료 케이스 스터디
화상환자 케이스 스터디(Burn case)
세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경막하혈종 케이스 스터디(SDH case study)
진폐병동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실 케이스 A+
급성위염 케이스 CASE STUDY -AGE- (Acute gastroenteritis)
천식 케이스 (asthma)
성인 케이스 사례 보고서 (case study) : 간경화
간암 케이스 스터디 HCC : Hepatocellular Carcinoma case study간의 구조와 기능
뇌막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급성호흡부전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울혈성심부전 케이스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