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삼 대 >
*작가소개
염상섭 (1897~1963)

*작품 소개
-줄거리

* 작품 핵심 정리
출 전
형 태
배 경
사 건
주제-

* 작품 분석
- 작품 개요
- 갈등 양상
- 족보와 돈의 의미
- 가족사 소설
- 총체적 현실 묘사
- 덕기와 병화의 행동차이의 이유
-조의관이 재물에 집착하는 이유

* 인물 분석
1) 조의관
2) 조상훈
3) 조덕기
3) 김병화
4) 홍경애
5) 매당

*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없을지 모를 것이지만은 그렇다고 사생활과 실제생활도 돌아보아야 할 것이 아닌가? -238쪽-
4) 홍경애
홍경애가 한갓 술집 여급이고 조상훈의 첩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공산당원 피혁과 사상적인 관련을 맺고 있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부자집 오입쟁이와 그 첩에 대한 흥미와 김병화와 피혁 등 사회주의자들의 행동 따위가 꼭 같은 평면 위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곧 두 가지 모두가 한갓 풍속적인 흥밋거리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삼대」에서 작가의 이러한 시각을 염두에 두지 않으면 이 작품의 의미는 똑바로 파악될 수 없다. 세서울의 오입쟁이이자 겉으로는 점잖은 계층에 속하는 조상훈과 홍경애, 김병화가 티격태격하는 일은 부르조아적 삶의 성숙한 모습이라 볼 수 있다. 1930년대 한국사회에 스며든 삶의 한 가지 단면이 고급외투로 상징된 것은 그럴 법한 일이다. 그 외투가 김병화의 몸에 걸쳐진다는 것은 전당포행을 의미하며 홍경애 눈앞에 나타나게 된다는 것은 조상훈과 김병화가 홍경애에 있어 경쟁상대임을 가리키게 된다. 부자집 아들이 오입쟁이 노릇하는 삶의 풍속도라 할 것이다. 홍경애가 김병화의 정체를 잘 알고 있는 것 역시 20년대 후반의 식민지 속의 서울의 풍속도에 속하는 것이다.
5) 매당
매당집은 20년대 서울장안의 부자집 건달들이 은밀히 모여 놀아나는 곳이요, 또한 기생이나 처녀나 그러한 여인들을 소개해 주는 뚜쟁이집이다. 어느 사회에나 이러한 고급 창녀 뚜쟁이들이란 있는 법이고 조상훈은 그러한 수준에 있는 오입쟁이었다. 염상섭의 「삼대」에서 비로소 20년대 우리 사회 속에 번식하고 있던 은밀한 풍속도가 포착된 것이다.
「삼대」를 이루는 첫째 요소가 가족사적 및 세대적 과제이고 두 번째 요소가 김병화로 대표되는 사회주의사상이며 세 번째가 매당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뚜쟁이의 세계이다. 풍속을 삶의 깊은 곳에서 그리기 위해서는, 적어도 그 풍속이 의식주를 해결한 자리 위에서 벌어지는 이른바 중산층 이상에 연결된 삶이라면 문화적 감각으로서의 오입쟁이적인 감각이 빠질 수 없다. 이것이야말로 부르주아의 일상적 삶의 감각이기 때문이다. 「삼대」가 이 시대 중산층의 삶의 감각을 다룬 유일한 작품이라고 평가되는 근거도 여기에 말미암는다.
그렇다면 그러한 감각을 보여주는 매개인물이 바로 장안의 오입쟁이를 조종하고 있는 뚜쟁이 매당이다. 이 매개인물로 조상훈의 행각의 근원을 알아차릴 수 있다. 매당은 은밀하게 조선조적인 뚜쟁이의 전형이다. 그녀가 거느린 조직은 그 자체 제도적 장치의 일종인 만큼 그 조직이 갖는 특이한 이데올로기가 있다. 권번이 눈에 보이는 공적인 제도라면 매당은 은폐된 조직이다. 그것은 첩 오입을 전제로 한 전통적인 장치였기에 일층 본질적인 것이다. 부잣집 아들이며 교회에 다니며 교사의 신분인 조상훈의 오입질은 매당의 조직에서 비로소 가능하였다. 염상섭이 알고 있었던 20년대 부르주아의 풍속이 이로써 포착된 것이다.
* 문학사적 의의
삼대는 1930년대의 식민지 한국사회의 현실을 정확하게 그려냄으로써 우리의 당대적 현실과 방향을 성찰케 한 작품이다. 긴 분량의 작품 속에서 여러 계층에 속하는 인물들이 식민지 현실과 전환기적 상황 속에서 몰락해 가는 현장을 그려내며 그러한 몰락의 소용돌이 속에서 민족적 활로를 모색해 보려는 점이 높게 평가된다.1920년대 프로 소설이 도시적 관념이나 선교사적 구호를 외치는데 급급했던 점과 이광수 등의 계몽문학이 종속적 흥미에만 치중했던 점을 '삼대'는 비판, 극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살아남기 위해서는 현실을 관조하고 스스로의 능력을 배양해 나가야 함을 주장한 20년대 민족 개량주의자들의 논리를 수용한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4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