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밀양의 서사전환전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밀양의 서사전환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사구조와 결말의 전환전략
2. 등장인물의 전환전략
3. 추상언어로부터 영상언어로의 전환
 가. 핸드헬드샷과 뒷모습을 통한 심리묘사
 나. 클로즈업의 절제를 통한 인물의 객관화

본문내용

상의 내면의 심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클로즈업은 관객이 대상의 감정에 몰입하는 효과를 준다. 반면,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은 오히려 영화의 사실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 이유는 클로즈업이 사실적인 정서를 이끌어내기보다는 감독의 주관적인 관점과 정서가 개입된 쇼트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손보욱, 사실주의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의 특성, 『씨네포럼 14』,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148쪽.
그러므로 클로즈업의 제한적 사용은 내재된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 적절하며 풍부한 정서를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화 《밀양》에서는 클로즈업의 사용이 절제되고 미디엄샷이나 풀샷을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관객들은 아내(신애)의 고통을 바라보면서 감독이나 신애의 정서가 아니라, 인물을 객관화시키면서 고통의 원인과 과정 자체를 응시하도록 만든다. 또한 관객이 인물의 고통에 동일화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무력하게 아이를 잃은 한 여인의 내적 고통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촬영기법은 감정 이입 없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대상을 관객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사실주의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