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사구조와 결말의 전환전략
2. 등장인물의 전환전략
3. 추상언어로부터 영상언어로의 전환
가. 핸드헬드샷과 뒷모습을 통한 심리묘사
나. 클로즈업의 절제를 통한 인물의 객관화
2. 등장인물의 전환전략
3. 추상언어로부터 영상언어로의 전환
가. 핸드헬드샷과 뒷모습을 통한 심리묘사
나. 클로즈업의 절제를 통한 인물의 객관화
본문내용
상의 내면의 심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클로즈업은 관객이 대상의 감정에 몰입하는 효과를 준다. 반면,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은 오히려 영화의 사실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그 이유는 클로즈업이 사실적인 정서를 이끌어내기보다는 감독의 주관적인 관점과 정서가 개입된 쇼트로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손보욱, 사실주의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의 특성, 『씨네포럼 14』,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2, 148쪽.
그러므로 클로즈업의 제한적 사용은 내재된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 적절하며 풍부한 정서를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화 《밀양》에서는 클로즈업의 사용이 절제되고 미디엄샷이나 풀샷을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관객들은 아내(신애)의 고통을 바라보면서 감독이나 신애의 정서가 아니라, 인물을 객관화시키면서 고통의 원인과 과정 자체를 응시하도록 만든다. 또한 관객이 인물의 고통에 동일화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무력하게 아이를 잃은 한 여인의 내적 고통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촬영기법은 감정 이입 없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대상을 관객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사실주의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로즈업의 제한적 사용은 내재된 의미를 부각시키는 데 적절하며 풍부한 정서를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화 《밀양》에서는 클로즈업의 사용이 절제되고 미디엄샷이나 풀샷을 사용하고 있다. 그 결과, 관객들은 아내(신애)의 고통을 바라보면서 감독이나 신애의 정서가 아니라, 인물을 객관화시키면서 고통의 원인과 과정 자체를 응시하도록 만든다. 또한 관객이 인물의 고통에 동일화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무력하게 아이를 잃은 한 여인의 내적 고통에 집중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촬영기법은 감정 이입 없이 객관적인 입장에서 관찰대상을 관객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사실주의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이창동 감독의 영화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서사무가와 판소리 사설의 비교 - 서사무가 <손님굿>, <제면굿>과 판소리 <흥보가>를 중심으로 -
서사무가와 신화적 상상력
서사무가의 하나 바리공주
구조주의 문학 비평의 관점에서 본 이청준의 [벌레이야기]
밀양을 보고
소설이란무엇인가)서사의 본질에 관련하여
광고속의 서사
서사이론_더리더3
드라마 <마왕>에 드러난 갈등구조 분석
애니메이션 마리이야기의 환상서사 이론 적용을 통한 작품 분석
환상서사 이론을 통해 살펴본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그녀의 변신은 무죄 화장품 광고에 드러난 ‘서사의 욕망’에 관한 연구
[가족치료] 구조주의 가족치료
『벌레이야기』와 『밀양』사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