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관점에서 이타적 전략(이타적 유전자)은 생존에 도움이 되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적 관점에서 이타적 전략(이타적 유전자)은 생존에 도움이 되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거대우주선
 2. 한반도의 인류
 3. 아이의 사생활(도덕성)
 4. 이타적 유전자

Ⅲ. 결론

본문내용

인해 서로 협력해야 하는 관계인 것이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개념은 아마 죄수의 딜레마 일 것이다. 개인의 이기심은 결국 죄수의 딜레마로 시작해서, 선한 사람만이 살아남게 된다는 결론을 남겼다. 그리고 각종 문제에서도 개인과 집단의 이기심으로 인해 죄수의 딜레마에 부딪히게 된다. 하지만 이것 또한 도덕 감정과 교역의 이득이란 개념으로 해결이 된다. 우리가 당장의 눈앞에 보이는 이익을 배반하고 취하면 지금은 최대 이익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훗날을 생각해 볼 때 이것은 결코 이득이 아니다. 나의 신뢰와 평판이 떨어지고, 이것은 다음번에 상대방이 나에게 대하는 태도로 대가를 치루게 된다. 인간은 이것을 오랜 시간 체험했기 때문에 이미 사회가 이것을 막고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는 환경 문제에 까지 이 주제를 연결시켰다. 인류는 그 동안 자연을 파괴하며 그것으로부터 이득을 얻어왔다. 그리하여 점점 환경 파괴는 가속도가 붙었다. 이것에 죄수의 딜레마를 적용해보자. 만약 내가 환경파괴를 멈추면 상대방 자연 개발을 하면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 것이다. 반대로 상대방이 환경파괴를 멈추면 내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것이다. 따라서 인류는 환경을 계속 파괴하게 된다. 원래 인류에게는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윤리 본능이 없다. 자연과 더불어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시애틀 인디언들도 식량을 위해 록키산맥의 엘크를 멸종하기 직전까지 몰고 갔다. 환경은 아무리 파괴해도 그 다음 게임에서도 우리에게 복수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을 모르고 계속 파괴해온 것 같다. 저자는 이제 이 환경에서의 죄수의 딜레마를 끊어 버리자고 주장한다. 비록 이것이 주제는 아니지만 이러한 경향은 요즘에 현실화 되고 있다는 것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연비규제와 녹색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세계의 선진국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를 보면서, 이제 각 국가들 간에 환경이 주는 배반을 이해하고 우리 모두가 하나로 뭉쳐 환경과 인류와의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서로 윈-윈 전략으로 만들어 가야겠다.
Ⅲ.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여러 가지 소주제를 가지고 과학적 관점에서 이타적 전략이 과연 생존에 효과적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먼 과거의 인류의 조상들부터 미래의 어느 우주선 시대까지 시대적인 순으로 본다면 그것은 시대를 초월한 진리가 아닐까 생각한다. 인류가 이타성을 물려받아 살아왔고 그것들을 도덕성과 같은 관점에서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누군가 물건을 떨어뜨리면 그것을 주워서 건내 주고, 구걸하는 거지에게 동전을 몇 푼 쥐어주는 행위는 바로 도덕적이고 이타적인 행위들이다.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가치인 것이다.
생존이란 것은 나 본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타인의 생존은 곧 나와 같은 유전자의 존속을 의미하기에 타인을 위한 이타적인 행위가 곧 나의 생존률을 높이는 이기적인 행위와 맞물리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이타적 전략이 과연 인간과 인간 사이에만 있어야 하는 것일까? 아니라고 생각한다. 매트 리들리가 언급했듯이 인간과 자연 사이에도 이타적인 전략을 실행해야 할 시기이다. 인류의 발전의 배경에는 언제나 자연의 희생이 있었다. 자연은 알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이타적 전략이 그들을 생존시켜 줄 것이라고. 하지만 인간은 잘 알지 못한다. 인간 또한 자연을 상대할 때에 이타적이어야 비로소 공생이 되는 것이다. 어느 한 쪽만 희생한다고 해서 그것이 양 쪽 모두에게 득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상호 호혜주의, 즉 서로가 서로에게 이타적이었을 때 함께 살 수 있는 바람직한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인간은 이미 많은 발전을 이룩했다. 이제는 자연에게 그 동안의 은혜를 보답할 때라고 생각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