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冷戰
고르바초프의 선택
1.냉전은 무엇인가
2.냉전은 어떤 과정을 거쳤는가
3.냉전은 왜 갑자기 해체되게 되었는가
4.냉전종식은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5.냉전종식을 공부하고 생각한 점
고르바초프의 선택
1.냉전은 무엇인가
2.냉전은 어떤 과정을 거쳤는가
3.냉전은 왜 갑자기 해체되게 되었는가
4.냉전종식은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5.냉전종식을 공부하고 생각한 점
본문내용
冷戰
고르바초프의 선택
냉전의 시기구분
포츠담 얄타, 합의 불이행
1947
트루먼
독트린,마샬플랜
1948
스탈린
베를린
봉쇄
(냉전)
1949 NATO
창설
1950
한국전쟁
1955
바르샤바 조약기구 창설
1962
쿠바
미사일 위기
1969
중국소련
국경분쟁
(데 탕 트)
1972
SALT1
ABM조약
1979
SALT 2
1979.12
소련,
아프간
개입
1980
레이건
당선
(신 냉 전)
1983.
레이건 SDI추진
1985
고르바초프
서기장 취임
〓〓〓〓〓〓〓〓〓〓〓〓〓〓〓〓〓〓〓〓〓〓〓〓〓〓〓〓〓〓〓〓〓〓〓〓〓〓〓〓〓〓〓〓〓〓〓〓〓〓〓
냉전 : 194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기간. 노골적인 이념대립으로 특징지어진 특정형태의 행동.
데탕트: 핵군비 통제에 관한 합의들을 특징으로 하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말 시기의 동서관계, 협상과 긴장완화가 확고히 의제에 포함됨. 그러나 데탕트 시기 동안 행위적 변화는 있었을지언정 미,소 관계의 근본적 구조는 일정하게 남아 있었다는 점에서 데탕트는 냉전으로의 일탈이 아니라 냉전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
트루먼 독트린 : 무장한 소수나 외부의 압력에 의한 압제의 기도에 저항하고 있는 자유인을 지원하는 것이 미국의 정책이라고 천명한 1947년 3월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의 연설. 의회를 설득하여 터키와 그리스에 원조를 제공하는 것이 구체적 목적이었고 동맹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지원과 봉쇄정책의 기반이 됨.
냉전의 종식과정
1987. 12
INF조약
1988.4
소련, 아프간 에서 군대철수
(냉전의 종식)
1988~89
동유럽에서 혁명
1989.8
소련, 인민대표회의 선거
1989
동유럽몰락,
냉전종식과 소련봉쇄종료의 공식선언
1990
독일통일
1990. 3
리투아니아독립선언
(소련의 몰락)
1991. 7 START조약
1991.8
소련, 쿠데타 발생
1991.12
고르바초프 사임
1991. 12
소련해체
CIS탄생
고르바초프의 선택
냉전의 시기구분
포츠담 얄타, 합의 불이행
1947
트루먼
독트린,마샬플랜
1948
스탈린
베를린
봉쇄
(냉전)
1949 NATO
창설
1950
한국전쟁
1955
바르샤바 조약기구 창설
1962
쿠바
미사일 위기
1969
중국소련
국경분쟁
(데 탕 트)
1972
SALT1
ABM조약
1979
SALT 2
1979.12
소련,
아프간
개입
1980
레이건
당선
(신 냉 전)
1983.
레이건 SDI추진
1985
고르바초프
서기장 취임
〓〓〓〓〓〓〓〓〓〓〓〓〓〓〓〓〓〓〓〓〓〓〓〓〓〓〓〓〓〓〓〓〓〓〓〓〓〓〓〓〓〓〓〓〓〓〓〓〓〓〓
냉전 : 194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기간. 노골적인 이념대립으로 특징지어진 특정형태의 행동.
데탕트: 핵군비 통제에 관한 합의들을 특징으로 하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말 시기의 동서관계, 협상과 긴장완화가 확고히 의제에 포함됨. 그러나 데탕트 시기 동안 행위적 변화는 있었을지언정 미,소 관계의 근본적 구조는 일정하게 남아 있었다는 점에서 데탕트는 냉전으로의 일탈이 아니라 냉전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음.
트루먼 독트린 : 무장한 소수나 외부의 압력에 의한 압제의 기도에 저항하고 있는 자유인을 지원하는 것이 미국의 정책이라고 천명한 1947년 3월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의 연설. 의회를 설득하여 터키와 그리스에 원조를 제공하는 것이 구체적 목적이었고 동맹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지원과 봉쇄정책의 기반이 됨.
냉전의 종식과정
1987. 12
INF조약
1988.4
소련, 아프간 에서 군대철수
(냉전의 종식)
1988~89
동유럽에서 혁명
1989.8
소련, 인민대표회의 선거
1989
동유럽몰락,
냉전종식과 소련봉쇄종료의 공식선언
1990
독일통일
1990. 3
리투아니아독립선언
(소련의 몰락)
1991. 7 START조약
1991.8
소련, 쿠데타 발생
1991.12
고르바초프 사임
1991. 12
소련해체
CIS탄생
추천자료
독일 통일과 국제관계 - 한반도 통일을 위한 사례 연구 -
독일의 통일
걸프전이 한국에 미친 영향
컨버전스마케팅의 효과 분석
분단국의 통일 사례
독일 통일의 교훈 : 독일의 경제통합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교훈을
대국굴기 러시아편 감상문
정권 별 이산가족 상봉 및 회담
러시아 겨울 축제 & 과천 한마당 축제
[러시아][러시아 약력][러시아 인구][러시아 언어][러시아 경제][러시아 혁명]러시아의 약력,...
[핵전략 核戰略] 핵전략(대량보복전략, 신축대응전략, 제한공격전략, 최소능력확보전략)
러시아(Russia) 국가체제 전환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전환비용, 민주주의 이행단계, 러시아의...
독일 통일 정책
2017년 1학기 협상조정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