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준길의 제망자문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송준길의 제망자문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단락별 핵심적 의미

1. 서문
2. 자식을 잃은 슬픔의 표현
3. 안이했던 자신을 후회
4. 가족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절망감
5. 아들의 효(孝)를 그리워하는 부정(父情)
6. 亡子에게 장례에 대해 설명하는 자상함
7. 맺는말

Ⅲ. 글의 특징과 장점에 대한 견해

1. 서문
2. 자식을 잃은 슬픔의 표현
3. 안이했던 자신을 후회
4. 가족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절망감
5. 아들의 효(孝)를 그리워하는 부정(父情)
6. 亡子에게 장례에 대해 설명하는 자상함
7. 맺는말

Ⅳ. 결 론

본문내용

而魂氣固無不之。兩地相去。又不甚遠。何必深恨。汝可自寬。第未知汝慈此日地中之懷如何也。悲哉悲哉。
明日 亡子가 가야할 일정을 설명하는 대목이다.
7. 맺는말
噫。今日所望。只在於汝之諸子。亦未知果能成立。如吾與汝企望之心耶。實係於命與數。吾父子何能容力。今日是聖兒生日。其妻持酒饌。兼行祖奠。此婦與敬兒。汝之病中所思想欲見而未及者。汝其知耶。不知耶。淚落濕字。欲言而止。汝若有知。亦不忍聽余言矣。天乎天乎。汝其享之。
남겨진 亡子의 처자식을 염려하고 눈물로써 글을 맺는다.
Ⅲ. 글의 특징과 장점에 대한 견해
1. 서문
늙은 아비가 통곡한다는 말로 제문을 시작한다. 이 글에서 이미 먼저 죽지 못한 아픔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자식을 잃은 슬픔의 표현
하늘을 부르며 통곡하면서 빨리 죽어 아무 것도 모르게 되기를 바라지만 뜻대로 할 수 없으며, 복이 넘치고 죄가 많아 하늘의 노여움을 샀다는 솔직한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3. 안이했던 자신을 후회
병세가 깊은 것을 모르고 안이하게 대했다는 자책에서 亡子의 효성을 드러내는 모습이 아름답게 그려지는 대목이다.
4. 가족에 대한 사랑과 이별의 절망감
아내와 딸의 영면을 통해 사랑하는 가족과 헤어지는 슬픔을 익히 겪었던 차에 의지가 되었던 아들마저 죽자 다시 만나는 희망과 그렇지 않은 절망감을 절묘하게 표현하였다.
5. 아들의 효(孝)를 그리워하는 부정(父情)
전문 내용으로 보아 亡子는 효성이 대단했던 것으로 보인다. 은근히 드러내고 있지만 그런 아들을 앞세우고 찢어지는 마음을 표시한데서 느낄 수가 있다.
6. 亡子에게 장례에 대해 설명하는 자상함
장례일정이 亡子에게 그리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상식적인 이야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히 잘 가라는 평범한 인사가 아니라 장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걱정하지 말라는 위로의 말을 전하는 마음이 아름답게 보인다.
7. 맺는말
아들의 처자식의 조전에 참여한 내용과 병중에 상면치 못한 아쉬움을 드러내고 눈물을 흘리며 글을 썼다는 내용에서 글로 일는 게 아니라 눈으로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Ⅳ. 결 론
본문을 직접 해독하지 못하고 번역문으로 감상했어야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아들의 죽음을 애통해 하는 父情이 고스란히 담긴 글이다. 사람마다 느끼는 슬픔이 크게 다르지는 않겠지만 비교적 간결하면서도 내용이 충실하게 짜여있어 부자간의 생전모습도 그려지는 세련된 글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앞으로 계속해서 이런 좋은 고전을 탐색하고 음미할 생각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09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4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