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분비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내분비계의 정의
2)내분비계토의 주요기관
1.시상하부 [視床下部, hypothalamus]
2.뇌하수체 [腦下垂體, pituitary gland]
3.솔방울샘 (pineal gland)
4.가슴샘 (thymus)
5.갑상샘(thyroid gland)
6.부갑상선(parathyroid glands)
7.부신(adrenal glands)
8.이자섬(pancreatic islets)
9.생식샘 (Gonads)

본문내용

갈색을 띠도록 한다. 갑상샘은 목의 바깥목동맥으로부터 생기는 한 쌍의 위갑상샘동맥과 빗장뼈 가까이에 있는 빗장밑동맥으로부터 생기는 한 쌍의 아래갑상동맥으로부터 공급된다. 갑상샘은 난포세포의 간결한 입방상피로 정열되어 있고, 대개 고단백 콜로이도로 채워진 갑상샘난포라 불리는 주머니로 구성되며 4요오드티로닌또는 티록신을 분비한다. 그리고 3요오드티로니 또는 T3를 생산한다. 갑상선호르몬은 태아기와 아동기의 뇌 발달과 뼈 성장을 자극하고 성장호르몬의 뇌하수체 분비를 증진시키로, 몸반사를 빠르게 하며, 심장 박동률과 대사율을 올리고 탄수화물의 창 차자흡수를 증진시키며 혈장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춘다.
6.부갑상선(parathyroid glands)
부갑상선은 약3-8mm길이에2-5넓이로 측정된 목의 작은 타원샘이며 대개 4개가 있으나 인구의 5%는 더 많이있다. 부갑상샘은 갑상샘의 뒤가쪼게 부착되어 있으나 위치가 매우 변하기 쉬우며 항상 갑상샘에 부착되어 있지는 않아서 목뿔뼈 위쪽까지 생기고 대동맥활 아래까지 발생할 수 있다. 부갑상샘은 갑상샘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느 얇은 섬유주머니를 가진다. 부갑상샘은 혈액을 공급받고 갑상샘과 동일한 혈관으로 혈액이 배출된다.
7.부신(adrenal glands)
각 콩판의 안쪽면 위에 붙어 있는데 오른쪽 부신은 삼각형 모양이고 콩판의 위쪽 끝부분에 놓여 있다. 왼쪽 부신은 초승달 모양이고 콩팥의 안쪽 함입부에서 콩판의 위쪽 끝부분으로 뻗어나간다. 콩팥처럼 부신은 복막 뒤에 있다. 그리고 그것은 복막과 뒤쪽 몸벽 사이 복막 안 바깥쪽에 가로놓여 있다. 성인의 부신은 약 5cm높이, 3cm넒이 그리고 두깨는 앞에서 뒤로 1cm이다. 무게는 성인에서 7-10g이지만 신생아는 약 두 배 더 크다. 두 달째에 부신은대개 부신겉질 바깥층의 퇴화 대문에 약 50%정도가 감소한다. 부신은 다른 기원과 기능을 하는 두 개의 태아샘이 합쳐져 혀성된다. 부신속질 안쪽이라는 샘의 10-20%이다. 부신속질의 주변에는 샘 덩어리의 80-90%를 구성하고 콜레스테롤과 다른 지질의 높은 농도 때문에 누르스름한 색깔을 가진 훨씬 더 뚜꺼운 부신겉질이 있다. 전체 샘은 섬유피막에 둘러쌍여 있다.
부신은 세 개의 동맥에서 혈액을 받는데 가로막의 가로막동맥으로부터 오는 위부신동맥, 대동맥으로부터 오는 가운데부신동맥, 콩팥의 콩팥동백으로부터 오는 아래부신동맥이다. 혈액은 위부신정맥으로 배출되며 위부신정맥은 오른쪽부신샘에서 아래대정맥으로 왼쪽 부신샘에서 왼쪽 콩팥정맥으로 연결된다.
(1)부신속질(adrenal medulla)
부신속질은 교감신경신경절관 내분비샘 둘다의 역할을 하는 이중속성을 지닌다. 교감신경절이전신경섬유는 부신속질에 있는 크롬친화세포에 도달할 때까지 부신겉질을 통과한다. 신경섬유에 의해 자극되자마자,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혼합물을 분비하는데 분비는 두려움, 고통, 다른 종류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일어난다.
(2)부신겉질(adrenal cortex)
부신겉질은 모든 면이 속질로 둘러싸여 있다. 부신겉질은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코르티코이드로 알려진 25개 이상의 스테로이드호르몬을 생산한다. 이들 호르몬 모두는 지질과 함게 콜레스테롤을 합성한다. 겉질은 조직학과 호르몬 출력이 다른 세 층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1. 토리층(zona glomerulosa)
토리층은 다른 일부 포유류보다 인간에게 덜 발달된 얇은 층이고 샘 포면에 있는 주머니 아래에 위치하는데 약간 둥근 다발이 있는 세포 배열을 말한다. 토리층은 신체의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염류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2. 다발층(zona fasciculata)
다발층은 부신겉질의 약3/4을 구성하는 두꺼운 중간층으로 세포는 평행 끈으로 배열되어 있고 부신 표면으로 향하는 수직의 모세혈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다발층의 세포는 풍부한 수직의 모세혈관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겟솜세포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클루코코티코이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3. 그물층(zona reticularis)
그물층은 부신속질에 인접한 폭이 좁고 가장 깊은 층으로 성스테로이드를 분비한다.
8.이자섬(pancreatic islets)
이자는 길게 늘어져 있으며 해면샘은 위와 복막 표면의 아래와 뒤에 위치해 있다. 길이는 15cm, 두께는 2.5cm이며 이자섬의 대부분은 외분비 소화샘다. 그러나 이자섬은 외분비조직 전체에 분산되어 있으며 이자섬이라 부르는 약 1-2백만 개의 내분비세포 다발이다. 비록 이자섬이 이자 덩어리의 2%이하 일지라도 섬은 특히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대사에서 중요한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 호르몬의 주요한 작용은 당혈증, 혈액의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이자섬은 약 75X175㎛dml tncldlek.
1.글루카곤을 분비하는 알파세포(A cells)
다음 식사때까지 신체에 혈액지탱연료를 제공
2.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B cells)
3.소마토스타틴을 분비하는 델다세포(D cells)
소화의 속도와 영향분 흡수의 속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 다른 이자섬세포의 활동을 조정
4.이자 폴리펩티드를 분비하는 PP세포(or Fcells)
쓸개수축과 이자에 의한 소화효소의 분비를 억제
5.가스트린을 분비하는 G세포(G cells)
산분비, 운동성을 자극하고 위를 비운다.
9.생식샘 (Gonads)
생식샘은 내분비샘과 외분비샘 둘다의 기능을 하는데 외분비샘은 난자와 정자를 생산하고 내분비샘은 대부분 스테로이드인 생식호르몬을 생산한다.
난소는 주로 여성호르몬, 황체호르몬, 억제호르몬을분비한다.
고환은 남성호르몬과 보다 더 적은 양의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 그리고 인히빈을 분비한다.
기타 조직과 기관의 내분비세포로는 피부, 간, 콩팥, 심장, 위와 작은창자, 지방세포, 뼈조직, 태반이 있다.
참고문헌
뇌하수체 [腦下垂體, pituitary gland ] | 네이버 백과사전
뉴만Kinesiology:근육뼈대계통의기능해부학및운동학 (2판) 채윤원 외 범문에듀케이션
[출처] 시상하부 [視床下部, hypothalamus ] | 네이버 백과사전
[출처] 시상하부의 기능 |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2.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1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