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교회의 여성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교회의 여성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중세시대 유럽교회의 여성관
 2-1. 교회 여성관의 성립배경
 2-2. 교회 여성관의 근거
 2-3. 여성 수도원으로 본 교회 여성관
   2-3-1. St. Jean at Arles
   2-3-2. St. Croix at Poitiers
   2-3-3. Faremoutiers at Brie
 2-4. 여성수도원과 여성
3. 결론

본문내용

. 라드군트는 전 남편 클로비스를 개종시켜 그가 정통 기독교를 수용케 해 북유럽과 로마 기독교를 이어 북유럽에 기독교가 확장되는데 중요한 거점을 확보했다. 그런 그녀가 교회의 내부에서 가지는 지위와 상징적인 위치는 말할 것도 없다.
위에서 라드군트 위주로 예를 들었지만, 당시 여성들은 여성수도원을 통해 일종의 해방을 경험했다. 가정에서 가장 깊숙하고 다가가기 어려운 곳에서 살며 밖을 동경해야 했던 여성들에게 여성수도원이란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자신과 같은 여성들과 생활하는 새로운 세상이었다. 여성수도원에서는 여성이 수도원 법규를 정해 여성들을 관리했으며, 여성들은 수녀란 신분을 통해 일반 남성의 성직계열에 참여할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여성들은 여성수도원을 통해 세속에 정의된 여성관에서 탈피할 수 있었다. 이는 여성들이 수녀됨을 통해 기존 여성의 수동적인 모습과 침묵의 삶에 저항하는 하나의 행동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여성은 원죄의 원흉이며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는 관념은 기독교를 통해 사회전반에 흘러들어가 중세사회에 깊숙이 침투했다.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그 영향은 커져가 결국 마녀사냥이라는 여성 학살까지 이르게 된다. 하지만 교회에서는 처음부터 여성을 지배하고 종속시키기 위해 여성 비하문구를 사용하지 않았다. 중세시대 유럽의 교회 여성관이 생겨난 배경을 통해 알아보았듯, 이는 처음에 성직자들의 계도를 위해 내부 규율 강화 차원의 필요로 인해 정의되었다. 또한 여성 수도원의 봉쇄 규칙의 변화 과정을 통해서 교회 여성관이 교회 내부에서 차츰 위치를 잃어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교회 여성관은 내부에서 여성 수도원들에 의해 차츰 수정이 필요해졌다. 여성에 대한 무지로 발생한 의구심으로 인해 생겨난 교회 여성관은 여성 수도원들로 인해 교부들의 여성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면서 그 중심이 흔들릴 수 있었다. 하지만 교회 여성관이 뒤집어지기엔 늦은 뒤였다. 이미 중세사회에는 교회 여성관이 깊이 침투해있었다. 또한 세대를 거듭하면서 교회 내부도 점차 교회 여성관의 본래 의미를 잃어버리고 사회 속 통념이 되어버린 여성관을 당연하게 여기기 시작했다. 이로인해 교회 내부 여성들의 움직임과 사회의 통념이 괴리되었다. 여성 수도원은 기존 여성상에서 탈피해 성모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같은 긍정적 이미지를 향해 나아가는, 남성 성직자들과 일종에 동등한 모습을 보이나 사회 전체와 교회는 기존의 관념을 고수했다. 여성은 계속 악의 근원이었으며, 다만 수도생활을 통해서 구원을 받을 수 있는 존재에 불과했다.
그러한 사회의 인식속에서 여성들이 벗어날 수 있는 길은 여성수도원이 전부였다고 할 수 있다. 농민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을 많이 받은 귀족여성들의 경우 더욱 더 자신이 처한 사회의 여성관에서 벗어나길 원했고, 그들의 바람은 여성수도원으로의 귀의나 직접 여성수도원을 건립하는 모습으로 표출되었다. 변화되어가는 교회 내의 여성관에 맞춰 여성들은 자신의 사회적 굴레를 벌어나기 위해 교회를 이용했다.
중세시대 유럽의 여성관은 교회 내부의 규율 강화 차원에서 생겨났으나 주객이 전도되면서 사회의 여성관에 의해 교회가 맞춰가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처럼 중세시대의 여성관은 단순히 아무 이유없이 여성을 부정적으로 본 것이 아니며, 교회의 기독교 교리 보호라는 목적하에 만들어졌다. 하지만 교리 보호라는 목적하에 여성에 대한 무지를 바탕으로 두려움에 기초를 두고 여성에 대해 잘못 해석하는 오류를 범했다. 여성을 악으로 본 결과, 중세사회의 유럽은 세계 그 어디 보다도 여성에 대해 부정적인 관념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여성들은 여성수도원이라는 여성들만의 사회를 구축해 종교를 방패로 세속사회에서 허용되지 않던 자유를 누리게 되었다. 이러한 교회와 세속사회간 여성관의 괴리라는 균열을 틈타 종교에 대한 귀의를 명분으로 여성들의 사회 정치적 입지 해방에 이용된 여성수도원은 중세사회 속 유럽의 독특한 특징이 되었다.
- 참고문헌 -
조르주 뒤비(권은희 역),『12세기의 여인들』, 새물결, 2005.
김정자,「서양 중세 여성의 역할과 지위」, 『사림』, vol.5.1989.
김정화,「역사속의 여성」,『인문학지』, vol.28.2004. 1-30.
이종경,「중세 여성 수도원 생활의 한 특징」,『서양사연구』, vol.22.1998.
차용구,「중세교회의 여성관」,『서양중세사연구』, vol.11.2003. 1-25.
김재현,「중세초기 기독교 여성연구」,『중세르네상스 영문학』, vol.14.2006. 1-31.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6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