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에서의 인과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에서의 인과관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출발점
2. 역사에서의 원인과 결과
3. 원인 규명의 어려움
4. 역사적 원인에 대한 두 가지 이견
 ① 역사적 원인에 대한 회의적 태도
  (원인의 상대성을 주장하는 관념론자)
 ② 역사적 원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
5. 원인 분석의 기본 전제들
6. 역사적 사건의 원인을 규명할 때 유의할 점
7. 결론

본문내용

일반적으로 역사적 사건을 규명할 때 유의해야 할 점으로 어떤 것을 제시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역사적 원인은 대략 단기적인 돌발사건(사건의 직접적인 발단이 된 원인)과 정기적인 전제 조건(역사에 뿌리박은 배경적 원인)으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그래서 한 사건을 연구할 때는 그 사건의 도화선 역할을 한 직접적인 원인만을 파고들기 보다는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진행되어 온 근원적인 요인과 배경을 여러 각도에서 연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2. 어떤 사건을 바라볼 때, 그 사건에 근접한 상태에서 자세히 바라보는 미시적 접근과 원거리에서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거시적 접근방식을 모두 받아들여야 올바른 판단과 인식을 할 수 있다. 즉, 원인을 미시적이며 동시에 거시적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3. 어떤 역사적 사건의 원인을 단일 요인으로만 본다든지 혹은 ‘이 원인이 저 원인보다 더 중요하다’는 식의 결정론적인 입장에서 보는 것은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개인적인 판단이나 추측으로 역사적 원인들의 중요성을 차등하여 평가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다.
4. 역사적 사건의 원인이 되는 조건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즉, 어떤 특정한 사건의 원인 을 설명할 때 다양한 요인들을 접하게 된다. E.H 카는 “역사가와 원인간의 상호 교환적인 관계”를 통해 원인의 개념이 명확하게 규정된다고 하였다. 원인적 조건과 사건발생의 원인이 되는 조건들 사이에는 어떤 뚜렷한 기준점을 그을 수 없다. 원인이라는 것은 순수한 객관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역사가의 기준에 의해 판단되는 주관적 개념이기 때문에 콜링우드가 말한 ‘원인의 상대성(relativity of causes)’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7. 결론
역사가들은 사건이 일어난 원인을 직접 설명하기 보다는 사건의 설명이나 해석을 통한 간접적인 원인규명을 선호해왔다. 그러나 왜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다시 말해 이러한 역사과학의 기존 입장에 반기를 드는 역사학자들이 등장하였다. 역사적 원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지닌 역사가들은 원인규명이 무의미한 작업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 역사적 원인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가진 역사가들은 역사적 사건의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역사적 사건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역사적 사건의 원인규명에서 유의해야 할 점들을 몇 가지 제시하였는데, 그 중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들에는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을 동시에 사용할 것, 직접적인 원인과 배경적 원인을 함께 연구할 것, 역사적 사건의 원인을 개인적 판단이나 추측에 의해 차등평가하지 말 것, ‘원인의 상대성’에 관심을 가질 것 등이 있다.
역사학에서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 논의가 바르게 진행되어야만 역사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리처드 에번스, <역사학을 위한 변론>, 소나무,
한스 위르겐 괴르츠,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뿌리와 이파리,
윌리엄 드레이, <역사철학>, 문예출판사, 1993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6.07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