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공되도록 해야 하며,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답이 틀렸다고 해서 그저 답을 제공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시 한 번 그 문제에 도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인지부담을 갖기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친근하게 문제에 다가설 수 있도록 ‘답이 틀림’보다 답을 다시 한 번 맞춰볼 수 있도록 하는 식의 콘텐츠로 나아갈 때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학습자에 따라 수준을 결정하는 자료로는 이전까지의 성취과정을 지속해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학습자마다의 DB로 저장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중학교 3학년의 학생이 지난 몇 번의 성취에서 중간정도의 성적을 보였다면 그 수준에 맞는 문제를 재구성하여 난이도 중의 수준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DB를 통해 자동적으로 콘텐츠가 수준을 결정해 주는 편이 정확하고 편리하겠지만 아직까지는 학습자 스스로 그 수준을 결정하도록 하는 편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 듯하다. 다음은 한 학습 주제에 대해 보충, 이해, 심화 과정을 제공하고 있는 꿀맛닷컴의 실제 콘텐츠 운영 사례이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 학습을 위해서 우리는 메뉴를 비순차적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상당하다.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분기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이 어느 수준에 있으며, 스스로 실제 어디까지 도달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을 만들어 그 중간 중간 다양한 분기를 만들어 둔다면 학습자들은 효율적으로 학습을 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분석을 통하면 으로 인해 소통을 위한 콘텐츠의 장치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 콘텐츠에 있는 Q&A 메뉴와 F&A 메뉴가 바로 그 의사소통의 예이다. 미리 학습자들이 상당한 의문을 갖는 것들에 대한 의견을 모아 질문하고 답하는 게시판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이런 게시판을 만들어 두게 되면 학습자들은 강의에서 생기는 의문들을 교수자에게 직접적으로 질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텐츠의 문제까지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게시판에서 해결되지 않는 것들에 대하여 ‘전문가에게 e-mail보내기’등의 직접적인 심화학습을 위한 메뉴까지도 구성해 둔다면 새로 발전한 좋은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예가 될 것이다. 또, 역동성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원하는 속도를 사전에 분석하여 동영상의 배속을 여러 가지로 구성해 둔다거나 단축키를 설정하여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콘텐츠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요즘은 학습자의 분석 기법도 다양하고, 학습자의 구미에 맞는 학습 콘텐츠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수많은 콘텐츠들 중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내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많지 않다고 한다. 이 결과의 차이는 아마도 얼마나 철저히 대상 학습자를 분석하고 그 Needs를 채우기 위해 노력했는가에서 나타나는 것일 것이다. 그러므로 앞에 언급했던 학습자 분석의 중요성을 토대로 우리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가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별 학습을 위해서 우리는 메뉴를 비순차적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상당하다.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분기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이 어느 수준에 있으며, 스스로 실제 어디까지 도달해야 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을 만들어 그 중간 중간 다양한 분기를 만들어 둔다면 학습자들은 효율적으로 학습을 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분석을 통하면 으로 인해 소통을 위한 콘텐츠의 장치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 콘텐츠에 있는 Q&A 메뉴와 F&A 메뉴가 바로 그 의사소통의 예이다. 미리 학습자들이 상당한 의문을 갖는 것들에 대한 의견을 모아 질문하고 답하는 게시판을 만들어 두는 것이다. 이런 게시판을 만들어 두게 되면 학습자들은 강의에서 생기는 의문들을 교수자에게 직접적으로 질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텐츠의 문제까지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게시판에서 해결되지 않는 것들에 대하여 ‘전문가에게 e-mail보내기’등의 직접적인 심화학습을 위한 메뉴까지도 구성해 둔다면 새로 발전한 좋은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예가 될 것이다. 또, 역동성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원하는 속도를 사전에 분석하여 동영상의 배속을 여러 가지로 구성해 둔다거나 단축키를 설정하여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콘텐츠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요즘은 학습자의 분석 기법도 다양하고, 학습자의 구미에 맞는 학습 콘텐츠도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수많은 콘텐츠들 중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내는 교육용 소프트웨어는 많지 않다고 한다. 이 결과의 차이는 아마도 얼마나 철저히 대상 학습자를 분석하고 그 Needs를 채우기 위해 노력했는가에서 나타나는 것일 것이다. 그러므로 앞에 언급했던 학습자 분석의 중요성을 토대로 우리는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전략을 세워야 할 필요가 충분하다고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현실과 문제점 및 재고찰
새로운 교원교육 평가인정체제 개발의 효율적 관리방안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학습기회의 선정과 개발,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관하여
[기업교육]기업교육의 의의, 기업교육의 제도적 기반, 기업교육과 HRD(인적자원개발), 기업교...
인적자원개발의 3가지 유형인 개인개발, 경력개발, 조직개발의 특징을 비교설명, 3가지 유형...
[관객, 관람객, 관객의식, 관객개발, 관객비평, 예술교육프로그램, 공연예술, 관객참여]관객(...
[권역별 개발제한구역, 권역별 개발전략, 권역별 공동제작, 권역별 항공여객운송, 권역별 영...
[인재제도][인재][제도][인재 관리제도][인재 교육제도][인재 경력개발제도][인재 전직지원제...
인적자원개발의 3가지 유형인 개인개발, 경력개발, 조직개발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평...
[한국어교육론 공통]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한국...
[노인교육론]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노년기 특징에 맞게 개발, 설계된 프로그램...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요구조사 분석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 (요구조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