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돈이
2. 주돈이의 사상
3. 장재
4. 장횡거의 사상
5. 정호
6. 정호의 사상
7. 정이
8. 정이천의 사상
9. 주희
10. 주희의 사상
11. 참고문헌
2. 주돈이의 사상
3. 장재
4. 장횡거의 사상
5. 정호
6. 정호의 사상
7. 정이
8. 정이천의 사상
9. 주희
10. 주희의 사상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리학이론은 주자에 와서 그 체계를 갖추게 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성리학을 주자학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성리학의 많은 내용들은 주자가 직접 생각해낸 것이 아니라 그 이전의 학자들이 한 것이다. 그리고 주자는 그것을 집대성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주자의 성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자에게 영향을 주었던 그 이전의 학자들에 대해서 알아야만 한다. 아래는 주자에게 영향을 주었던 학자들과 그들의 사상(이론)을 정리한 것이다.
1. 주돈이 (혹은 주렴계濂溪 라고 부른다)
자 무숙(茂叔). 호 염계(濂溪). 도주(道州:湖南省 道營縣) 출생. 지방관으로서 각지에서 공적을 세운 후 만년에는 루산[廬山] 기슭의 염계서당(濂溪書堂)에 은퇴하였기 때문에 문인들이 염계선생이라 불렀다. 북송의 사마광(司馬光)•왕안석(王安石)과 동시대의 인물이다. 그는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고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하였다. 즉, 우주의 근원인 태극(太極:無極)으로부터 만물이 생성하는 과정을 도해(圖解)하여 ‘태극도(太極圖)’를 그리고 태극→음양(陰陽)의 이기(二氣)→오행(五行:金•木•水 •火•土의 五元素)→남녀→만물의 순서로 세계가 구성되었다고 논하고, 인간만이 가장 우수한 존재이기 때문에, 중정(中正) 인의(仁義)의 도를 지키고 마음을 성실하게 하여 성인(聖人)이 되어야 한다는 도덕과 윤리를 강조하고, 우주생성의 원리와 인간의 도덕원리는 본래 하나라는 이론을 제시하였다.저서에는 《태극도설(太極圖說)》 《통서(通書)》가 있으며, 수필 《애련설(愛蓮說)》에는 그의 고아한 인품이 표현되었다. 남송의 주자(朱子)는 염계가 정호(程顥)•정이(程頤) 형제를 가르쳤기 때문에 도학(道學:宋代의 新儒敎)의 개조라고 칭하였다.
2. 주돈이의 사상
- 이상적인 지식인상을 제시
주렴계는 성인은 하늘을 희구하고 현자는 성인을 희구하며 선비는 현자를 희구한다고 말하면서 선비라면 마땅히 성인이 되고 현자가 되는 일을 평생토록 도달해야 할 이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이윤이 지향하는 바를 지향하고 안연이 배운 것을 배우는 것인데(이윤은 유가에서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백성에게 은혜를 베푼다는 모범을 보였고 안연은 유가에서 자아수양의 전형을 대표했다) ‘이윤이 지향하는 바를 지향한다’는 것은 이윤을 본 받아야 할 모범으로 삼아서 국가의 안녕과 인민의 행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고 ‘안연이 배운 것을 배운다’ 라는 것은 안연처럼 성인의 정신경지를 추구해야 함을 가리킨다. 여기서 전자를 외왕(外王)이라 하고 후자를 내성(內聖)이라 한다. 즉 이윤과 안연을 목표로 한 외왕내성을 선비의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1. 주돈이 (혹은 주렴계濂溪 라고 부른다)
자 무숙(茂叔). 호 염계(濂溪). 도주(道州:湖南省 道營縣) 출생. 지방관으로서 각지에서 공적을 세운 후 만년에는 루산[廬山] 기슭의 염계서당(濂溪書堂)에 은퇴하였기 때문에 문인들이 염계선생이라 불렀다. 북송의 사마광(司馬光)•왕안석(王安石)과 동시대의 인물이다. 그는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고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하였다. 즉, 우주의 근원인 태극(太極:無極)으로부터 만물이 생성하는 과정을 도해(圖解)하여 ‘태극도(太極圖)’를 그리고 태극→음양(陰陽)의 이기(二氣)→오행(五行:金•木•水 •火•土의 五元素)→남녀→만물의 순서로 세계가 구성되었다고 논하고, 인간만이 가장 우수한 존재이기 때문에, 중정(中正) 인의(仁義)의 도를 지키고 마음을 성실하게 하여 성인(聖人)이 되어야 한다는 도덕과 윤리를 강조하고, 우주생성의 원리와 인간의 도덕원리는 본래 하나라는 이론을 제시하였다.저서에는 《태극도설(太極圖說)》 《통서(通書)》가 있으며, 수필 《애련설(愛蓮說)》에는 그의 고아한 인품이 표현되었다. 남송의 주자(朱子)는 염계가 정호(程顥)•정이(程頤) 형제를 가르쳤기 때문에 도학(道學:宋代의 新儒敎)의 개조라고 칭하였다.
2. 주돈이의 사상
- 이상적인 지식인상을 제시
주렴계는 성인은 하늘을 희구하고 현자는 성인을 희구하며 선비는 현자를 희구한다고 말하면서 선비라면 마땅히 성인이 되고 현자가 되는 일을 평생토록 도달해야 할 이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이윤이 지향하는 바를 지향하고 안연이 배운 것을 배우는 것인데(이윤은 유가에서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고 백성에게 은혜를 베푼다는 모범을 보였고 안연은 유가에서 자아수양의 전형을 대표했다) ‘이윤이 지향하는 바를 지향한다’는 것은 이윤을 본 받아야 할 모범으로 삼아서 국가의 안녕과 인민의 행복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고 ‘안연이 배운 것을 배운다’ 라는 것은 안연처럼 성인의 정신경지를 추구해야 함을 가리킨다. 여기서 전자를 외왕(外王)이라 하고 후자를 내성(內聖)이라 한다. 즉 이윤과 안연을 목표로 한 외왕내성을 선비의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추천자료
고대철학&중세철학
[중국의 개혁][모택동의 사상][철학]중국의 개혁과 모택동의 사상 및 철학(신문화운동과 모택...
[그리스][자연환경][철학][기하학][미술][경제]그리스의 자연환경, 철학, 기하학, 미술, 경제...
[동양철학] 중국의 철학과 사상
세종대왕의 경영철학과 최호준총장의 경영철학의 비교
[교육철학] 교육의 철학적 기초
[프뢰벨][교육철학][교육사상]프뢰벨의 생애, 프뢰벨의 교육사상(교육철학), 프뢰벨의 교육목...
철학사 - 서양의 철학역사와 한국의 철학
실증주의 철학과 실존주의 철학에 관한 레포트
그리스 철학의 근본 개념들 - “플라톤이 본 소크라테스의 도덕,정치 철학”
현대철학-과학철학-
[경영][경영학][경영철학][경영학자][경영이론][경영사상][비즈니스][경제][기업운영]경영학,...
아동발달 연구에 영향을 준 철학자 중 로크와 루소에 대해 이들의 철학 및 교육사상 그리고 ...
한당철학 [한당철학의 배경][한당철학 소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