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로봇산업의 의의
2. 로봇산업의 특성과 시장성
가. 로봇산업의 특성
나. 로봇산업의 시장성
1) 국내로봇산업 시장의 향후 전망
3. 로봇산업 트렌드
가. 일본
나. 미국
다. 한국
1) 로봇랜드 조성
2) 로봇펀드
3) 로봇윤리현장
4) 로봇법제
4. 향후 전망
2. 로봇산업의 특성과 시장성
가. 로봇산업의 특성
나. 로봇산업의 시장성
1) 국내로봇산업 시장의 향후 전망
3. 로봇산업 트렌드
가. 일본
나. 미국
다. 한국
1) 로봇랜드 조성
2) 로봇펀드
3) 로봇윤리현장
4) 로봇법제
4. 향후 전망
본문내용
접 생산유발 효과 100 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 같은 계획에 따라 현재 산자부와 정통부를 합해 로봇 관련 정부투자만 한 해 약 1,000 억 원이 투입되고 있다. 겉으로는 당장이라도 가정에, 사무실에, 공공기관에 서비스 로봇들이 대거 도입될 것 같고, 국내 로봇 시장이 크게 활성화될 것 같은 분위기다. 정부는 사실상 2003 년 이후 5 년째 로봇산업 촉진책을 펴고 있다. 정부의 요란한 진작책에 전국 지방자치단체, 학계, 연구계까지 동조를 하고 있으나 산업현장의 관련기업들과는 아직 괴리감이 있다. 이의 대표기업으로 꼽히는 유진로봇은 2008 년 영업손실 49 억 원이 2009 년에는 35 억 원으로, 2012년 상반기에만 손실 4 억 원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중소기업인 로봇 전문기업들의 누적적자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다소 희망적인 시장 전망과 정부의 분위기 조성 덕에 최근 몇 년 사이 투자 유치 환경이 좋아져 당장 현금흐름에 아직은 무리가 없으나 이 상태가 1∼2 년만 더 지속된다면 로봇 중소기업의 경영 상태가 악화될 것이고 애써 산업적 기반을 닦아온 기업들이 성장하지 못한다면 장기적 관점에서 국가적 손실이 될 것이다. 이같이 로봇 전문 중소기업들의 실적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은 아직 산업용 로봇이나 일부 청소용 및 교육용 로봇을 제외하고 서비스 로봇 분야에서 수익을 내는 제품이 없고, 연구개발에만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로봇 전문업체들이 가정용 교육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레스토랑 안내로봇 등 혁신적 서비스로봇 출시를 미루는 이유는 중소기업 입장에서 섣불리 신뢰도가 낮은 제품을 출시했다 팔리지 않으면 기업 존속에 심각한 타격이 오기 때문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LG 전자, KT, SK 텔레콤 등 IT 대기업들은 세계적으로도 밝은 로봇산업의 전망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참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상태라면 2013 년 국내 로봇 총생산 30 조 원, 세계 3 위 로봇 강국은 허울 좋은 낙관론에 그칠 것이라는 비관적 시각도 나오고 있다. 실제 서비스 로봇 시장이 언제 열릴 것인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로봇 업계에서도 앞으로 5 년은 더 버텨야 로봇 시장 호황기가 올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제는 한국의 로봇혁명을 어떤 방향으로 끌고 갈 것인가 현명한 판단을 해야 할 때다.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는 지능형 로봇시장 수요를 몇 배로 성장시킬 킬러애플리케이션을 하루 빨리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로봇사업의 주도권을 놓고 계속되는 부처간 영역다툼, 정부지원에 맛을 들인 일부 민간업체와 연구소의 안이한 태도, 로봇간판만 내걸고 한몫 챙기려는 투기적 자세 등 도 고쳐야 할 문제다. 그리고 로봇산업을 활성화 시킬 관련 환경의 조성과 제도적 정비도 필요하다. 로봇거품을 지적하는 일부 비판에도 불구하고 지난 몇 년 새 한국의 로봇산업은 질적, 양적으로 세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이유를 불문하고 로봇기술의 발달은 일상의 지리적 제약을 벗어 던진 사람에게 새로운 컨넥트를 제공할 전망이다. 무선통신망과 접속한 미디어 로봇을 통하면 기술적으로 사회생활의 상당부분을 대체할 수 있다. 현재 우리의 IT 활용력은 세계가 인정할 만큼 앞서가고 있다. 한국이 과거 제철산업, 자동차산업, 그리고 정보통신산업 진출에 후발주자였지만 지금은 기술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듯이 로봇산업도 국가적 지원 육성에 힘입어 로봇산업국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확신한다. 디지털화와 정보통신의 앞선 기술은 우리에게 다양한 기회요소들을 제공해 주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국가적 신성장 산업을 창출해 가는데 기회로 활용을 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계단을 올라가는 6족 개미로봇
계단을 올라가는 6족 로봇
[동화책 감상문]로봇이된 세원이를 읽고나서
레고 마인드스톰 을 이용한 로봇설계
유망직업 특수학교교사, 유망직업 로봇엔지니어, 유망직업 수의사, 유망직업 정보시스템감사...
제어공학관련 영상물 감상기(로봇)
제어공학 관련 동영상(로봇)감상기
NQC와 로보랩을 이용한 로봇 만들기
(토론원고)로봇은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가. 반대측 최종발언
a.i 피노키오가 되고 싶은 로봇 이야기
[전시 감상] 로봇박물관
[의학] 현재 로봇수술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인간의 감정에 대한 이해와 로봇의 감정 및 미래의 인류-감정이란 무엇인가
미래 대변의 가치,로봇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