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아존중의 발달
2. 자아존중의 학습
3. 강화와 자아개념
4. 자기강화
5. 자기강화와 다른 특성
6. 자아개념과 모방
형 성 평 가
2. 자아존중의 학습
3. 강화와 자아개념
4. 자기강화
5. 자기강화와 다른 특성
6. 자아개념과 모방
형 성 평 가
본문내용
자아존중의 발달
어떠한 내용들이 있을까? (先학습)
W. James는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즉 “두 사람이 만나면 실제로는 여섯 사람이 존재한다. - 자신이 보는 자아, 상대방이 보는 자아, 실제로 존재하는 자아가 각각 두 사람씩이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자아들은 어느정도 유사한 점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가지는 관점, 타인이 자기를 보는 방식, 실제로 존재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본 장에서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보는 방식과 각 개인의 자아관이 긍정적인가 또는 부정적인가에 대해서 일차적인 관심을 가져 보기로 한다.
이번 학습 내용은 어린이의 자아존중 발달을 격려하기 위해서 교사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부정적인 자아관을 형성한 어린이를 돕기 위해서 교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한다.
1. 자아존중의 발달
존중(esteem) : 하나의 산물일 수도 있고, 하나의 과정일 수도 있다.
① 산물로서의 존중 : 높은 관심이나 호의적인 의견을 의미함
② 과정으로서의 존중 : 존경이나 애정을 가지고 대화하는 것, 가치를 정하 는 것, 그리고 높게 평가하는 것을 의미함.
잠시동안 당신 자신에 대해서 생각해 보라
① 어떤 종류의 느낌이 당신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② 당신 자신에 관한 어떤 종류의 느낌이 당신을 슬프게 만드는가
③ 당신이 자신을 비난할 때 왜 비난하는가
④ 자신을 칭찬한다면 무엇 때문인가
어떠한 내용들이 있을까? (先학습)
W. James는 다음과 같이 말한 적이 있다.
즉 “두 사람이 만나면 실제로는 여섯 사람이 존재한다. - 자신이 보는 자아, 상대방이 보는 자아, 실제로 존재하는 자아가 각각 두 사람씩이기 때문이다. ”
이와 같은 자아들은 어느정도 유사한 점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서 가지는 관점, 타인이 자기를 보는 방식, 실제로 존재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본 장에서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보는 방식과 각 개인의 자아관이 긍정적인가 또는 부정적인가에 대해서 일차적인 관심을 가져 보기로 한다.
이번 학습 내용은 어린이의 자아존중 발달을 격려하기 위해서 교사가 무엇을 할 수 있고, 부정적인 자아관을 형성한 어린이를 돕기 위해서 교사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한다.
1. 자아존중의 발달
존중(esteem) : 하나의 산물일 수도 있고, 하나의 과정일 수도 있다.
① 산물로서의 존중 : 높은 관심이나 호의적인 의견을 의미함
② 과정으로서의 존중 : 존경이나 애정을 가지고 대화하는 것, 가치를 정하 는 것, 그리고 높게 평가하는 것을 의미함.
잠시동안 당신 자신에 대해서 생각해 보라
① 어떤 종류의 느낌이 당신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② 당신 자신에 관한 어떤 종류의 느낌이 당신을 슬프게 만드는가
③ 당신이 자신을 비난할 때 왜 비난하는가
④ 자신을 칭찬한다면 무엇 때문인가
추천자료
나를 존중하는 삶
개인수준에서의 인간 존중 경영
자기성장의 정의와 집단상담 모형 분석 및 집단상담 단계 분석 (첨부자료-자아성장 집단 프로...
자신을 존중하는 방법
[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자아정체감확립프로그램]자아정체감(자아정체성)의 정의, 청소년기...
[자아개념][자아개념 발달][정서장애아 자아개념][청각장애아 자아개념][학습장애아 자아개념...
[유아사회교육] 자아개념과 성역할 발달에 대해 설명하시오
자아개념(자기개념)의 의미, 자아개념(자기개념)의 구분, 자아개념(자기개념)의 특성, 자아개...
자기에 대한이해, 타인에 대한이해 (자기존중감 정의)
[긍정적 자아개념, 학교생활지도, 진로성숙, 개별상담프로그램]긍정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지...
자기존중감과 자기애 (자기존중감과 자기애의 차이, 자기존중감과 자기애의 영향)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이고, 왜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의 형성이 중요한지 기술하고, 자신이 청...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의 변화, 사회성발달(사회성의 발달)과 자폐아동사회성결핍, 자아...
[부모교육] 부모교육 이론 중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의 용기와 자기존중감, 책임감, 협동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