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개설 - 로마 공화정과 제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로마 공화정과 제정

제1절 공화정의 발전

제2절 공화정의 구조 ; 상호견제와 균형의 원리 존중

제3절 공화정의 발달 ; 신분투쟁.

제4절 공화정의 위기(지중해 세계의 통일)

제5절 제정의 확립과 ‘로마의 평화(Pax Romana)’

제6절 제정 말기의 위기와 개혁 황제

제7절 서로마의 몰락

본문내용

ate)
-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로마의 시민과 원로원은 이집트에서 개선한 옥타비아누스를 환영.
-기원전 28년 원로원에서 제1의 시민이라는 뜻의 프린켑스(princeps) 칭호 받음.
- 기원전 27년 평화와 질서가 회복. 모든 비상대권을 원로원에 반환.
= 원로원은 군대지휘권, 속주의 관리 통제권 부여.
= 존엄한 자라는 뜻의 아우구스투스(Augustus) 칭호 부여 ; 제정의 시작.
- 기원전 23년 집정관 대신 호민관직을 선택.
- 원수정
= 대외 ; 속주 통제권
= 대내 ; 호민관, 프린켑스(원로원 의장) 등 공화정의 합헌적 형태.
= 실제 ; 황제로서 군림.
- 아우구스투스 통치의 배경
= 로마인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신뢰
= 개인적인 군대와 재정
- 군대
= 기원전 9년, 25개의 정규 군단 ; 20년
= 보조군 ; 속주민으로 구성된 보병과 기병. 25년.
= 군대는 원칙적으로 이탈리아에는 주둔시키지 않고 속주에만 주둔.
= 9천명의 친위대 ; 로마에 상주. 황제 호위와 경찰 임무.
= 군통솔권이 황제에게 집중.
- 재정
= 로마 재정의 대부분을 이탈리아 시민이 아닌 속주민의 토지세와 인두세, 노예해방세, 관계에 의지.
= 징세 청부제도를 개선 ; 징세청부업자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정확한 과세를 위해 인구조사와 재산평가.
= 무엇보다 황제의 개인 재산이 재정에 필수적.
* 로마의 평화(Pax Romana)와 오현제 시대.
제6절 제정 말기의 위기와 개혁 황제
* 제정 말기의 위기
- 군인들의 정치 개입과 군인황제시대(135-284)
- 사산조 페르시아와 게르만 족의 침입...국경 수비를 현지인에게 맡김
- 재정 부담 증가...증세...인플레
*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 4제 통제(제국을 4등분하여 통치) 소아시아와 시리아, 이집트
발칸반도
이탈리아반도와 북부 아프리카
갈리아와 에스파냐, 브리타니아
- 군대 개편 ; 현지인 충원, 세습화
- 토지를 기준으로 한 증세...세금을 피하기 위해 도망 농민 증가...농민을 토지에 결박해 세습화(콜로누스)
* 콘스탄티누스(306-337)
- 313 밀라노 칙령
- 전제군주 화
- 콜로누스 강화
* 개혁의 결과
- 일시적 안정
- 사회의 전반적인 세습화, 경직화.
제7절 서로마의 몰락
* 콘스탄티누스의 아들, 배교자 율리우스
* 테오도시우스
- 380년 기독교를 국교 화
- 로마 제국을 양분하여 다스림 ; 동로마...장남
서로마...차남
* 5세기 이후 게르만족의 침입 본격화
- 476년 게르만의 용병대장 오도아케르에 의해 로마의 마지막 왕, 로물루스 아우구스투스가 폐위된.
* 서로마의 몰락 원인
- 정치적 원인 ; 불안전한 황제권, 군대의 개입
- 경제적 원인 ; 콜로누스, 생산력의 정체, 상공업의 몰락, 인플레
- 사회적 원인 ; 사회의 세습화와 경직화
- 기독교 공인으로 내세적 세계관의 등장(기번의 주장)
- 대륙의 비대화로 인한 관리 급증(재정난 야기)과 외부침입(효과적 방어 불가능)
- 로마인의 근면, 검소한 미덕의 타락(몽테스키외)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0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6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