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체 내 항생체 내성을 키움으로서 건강상의 위협이 되고 있음
1999.10 영국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 : 유전자 조작 감자에는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는 락틴이라는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바로 이 락틴이 쥐의 위장과 일부 점막을 손상시켰다는 쥐 실험 결과
2000.5 독일 예나대학 연구팀 : 유전자 조작 유채의 꽃가루를 먹은 벌의 장 속에서 유전자 조작된 DNA가 검출됨으로써, GMO 속의 유전자가 이를 섭취한 동물과 사람에게 전이될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
처음에 소개했던 Bt옥수수의 경우도 위험성이 매우 크다.
GMO 종자회사는 Bt-toxin이 인체 내 외장에서 빠르게 파괴되며, 파괴되지 않더라도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연구결과에서는 Bt-toxin은 인체 또는 포유류 혈관으로 급속히 퍼져나가며 인체 건강에 영향을 준다.(인체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광범위한 물질에 알러지 반응 또는 감기비슷한 증상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Bt-toxin은 곤충을 죽이기 위해 공중 살포되기도 하는데, 유전자조작된 작물 내 Bt-toxin은 공중살포된 Bt-toxin보다 3000~5000배나 많이 응축되어있다. 물론 GMO 작물 내 Bt-toxin은 물로 씻어낼 수도 없다.
유전자 변형 작물 내 Bt-toxin이 인체 또는 태아의 혈액 샘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탈리아에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Bt-옥수수를 투여한 실험용 쥐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죽상동맥경화증, 알러지, 루게릭병, 여러 종류의 암 등에 면역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즉, 면역 시스템에 오작동을 일으켰다는 얘기이다.
이렇듯 유전자 조작 식품은 과학적으로도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주지 못하며, 새로운 물질에 의한 알레르기나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도 무시하지 못한다. 또한 해충 및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조작 식물은 오히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전자 조작 식품을 무조건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생산, 유통하려는 것은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가 먹고 있는 유전자조작식품들>
미국에서도 가장 많이 유통되는 GMO 품목이, 우리가 가장 많이 수입하는 대두(콩)와 옥수수라는 점이다. 통계치들마다 차이는 있지만, 현재 미국 내 재배 콩의 GMO 비율은 50%, 옥수수는 27%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 두 작물을 거의 100%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따라서 우리는 GMO 콩과 옥수수의 포화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으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키려면?>
1. 우리 농산물을 우선적으로 이용
2. 수입한 식품이나 과자는 가급적 구입하지 않는다.
3. 가공 식품 섭취 횟수를 줄인다.
4. GM 생산국 식품은 되도록 피한다.
5. 생활협동조합이나 유기농산물 판매장을 이용
6. 학교급식이나 단체급식에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사용하는지 늘 살핀다
7. 알고 있는 유전자재조합농산물과 식품을 이웃에게 알린다
또한 GMO 표시제의 전면확대가 필요하다.
사실상 식용에 한해 적용되고 있는 GMO 표시제를 식용류 등 가공식품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것. 가공여부와 상관없이 원료가 GMO라면 표시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또 품목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콩, 옥수수, 콩나물, 감자만으로는 늘어나는 GMO를 감당할 수 없다.
GMO의 비의도적 혼합허용치(제조 또는 유통과정 등에서 비의도적으로 포함된 GMO) 비율을 현행 3%에서 단계적으로 EU(0.9%), 스위, 호주 등과 같이 1%로 낮춰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농림부 역시 검정기술의 정밀도 및 국제동향 등을 고려해 점차적으로 1% 수준으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식용류업계에서는 “만약 GMO Gene가 유해하다고 가정한다면 현행 허용치 3%에서 1%로 낮추는 것보다는 오히려 일반적인 유해물질의 허용단위인 ppm, ppb 단위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의 생각>
좀 더 생산량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생명공학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요즘 세상에서 살고 있는 나는 이런 유전자 조작식품이나 복제동물의 고기 등 이러한 것들이 인류가 낳은 축복이라고 생각 하지 않는다.
생명을 배우면서 자연과 생명의 순리는 매우 완벽하고 치밀하게 짜여져 있어서 항상 감탄했었는데 이 순리를 거스르고 인간이 임의대로 조작하고 변형시키는 것이 모든 질서를 파괴하고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댐 건설이 낳은 환경파괴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 생태계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유전자조작은 도미노처럼 우리에게 재앙으로 다가올 것이 보여서 너무 무섭다.
건강에 위협을 주고 동식물의 피해와, 생태계파괴, 독점을 통한 농부들의 일자리를 약탈해가며 자신들의 주머니를 채우기에만 머리를 굴리고 있는 몬산토사 같은 거대한 회사의 사람들이 역으로 당해봐야 생산과 연구를 그만둘 건가 너무 화가 난다.
우리 집 어머니는 항상 밖에서 가공된 식재료나 식품을 사용하고 사먹기보다는 번거롭고 힘들지만 직접 자연에서 채취하여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주신다. 그리고 집에서 되도록 밥 먹게 하시고 밖에서 사먹는 것을 말리신다. 이번 과제를 통해 이미 대두를 사용하는 간장이나 옥수수를 이용한 과자 등 우리나라의 많은 식재료나 음식에서도 GMO식품이 첨가되어 있고 우리도 많이 노출 되어있다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경악하였는데 어머니 덕분에 남들보다 덜 영향을 받은 것에 대해 너무 감사하였다.
아직 GMO식품이 첨가되어있는지 표시가 되지 않는 우리나라 식품법이 개정되고, GMO관련법이 강화되어 GMO의 위험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좀 더 안전 할 수 있었음 좋겠다.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buldogmom?Redirect=Log&logNo=120007467207
-http://blog.naver.com/gstory_eco?Redirect=Log&logNo=10161474709
-http://blog.daum.net/food79/7700195
-우리농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인
-http://naturis.kr/123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1999.10 영국 스코틀랜드 애버딘대학 : 유전자 조작 감자에는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는 락틴이라는 단백질이 들어있는데 바로 이 락틴이 쥐의 위장과 일부 점막을 손상시켰다는 쥐 실험 결과
2000.5 독일 예나대학 연구팀 : 유전자 조작 유채의 꽃가루를 먹은 벌의 장 속에서 유전자 조작된 DNA가 검출됨으로써, GMO 속의 유전자가 이를 섭취한 동물과 사람에게 전이될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
처음에 소개했던 Bt옥수수의 경우도 위험성이 매우 크다.
GMO 종자회사는 Bt-toxin이 인체 내 외장에서 빠르게 파괴되며, 파괴되지 않더라도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연구결과에서는 Bt-toxin은 인체 또는 포유류 혈관으로 급속히 퍼져나가며 인체 건강에 영향을 준다.(인체 면역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광범위한 물질에 알러지 반응 또는 감기비슷한 증상을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Bt-toxin은 곤충을 죽이기 위해 공중 살포되기도 하는데, 유전자조작된 작물 내 Bt-toxin은 공중살포된 Bt-toxin보다 3000~5000배나 많이 응축되어있다. 물론 GMO 작물 내 Bt-toxin은 물로 씻어낼 수도 없다.
유전자 변형 작물 내 Bt-toxin이 인체 또는 태아의 혈액 샘플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탈리아에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Bt-옥수수를 투여한 실험용 쥐가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골다공증, 죽상동맥경화증, 알러지, 루게릭병, 여러 종류의 암 등에 면역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즉, 면역 시스템에 오작동을 일으켰다는 얘기이다.
이렇듯 유전자 조작 식품은 과학적으로도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주지 못하며, 새로운 물질에 의한 알레르기나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도 무시하지 못한다. 또한 해충 및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조작 식물은 오히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유전자 조작 식품을 무조건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생산, 유통하려는 것은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가 먹고 있는 유전자조작식품들>
미국에서도 가장 많이 유통되는 GMO 품목이, 우리가 가장 많이 수입하는 대두(콩)와 옥수수라는 점이다. 통계치들마다 차이는 있지만, 현재 미국 내 재배 콩의 GMO 비율은 50%, 옥수수는 27%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 두 작물을 거의 100%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따라서 우리는 GMO 콩과 옥수수의 포화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으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키려면?>
1. 우리 농산물을 우선적으로 이용
2. 수입한 식품이나 과자는 가급적 구입하지 않는다.
3. 가공 식품 섭취 횟수를 줄인다.
4. GM 생산국 식품은 되도록 피한다.
5. 생활협동조합이나 유기농산물 판매장을 이용
6. 학교급식이나 단체급식에 유전자재조합식품을 사용하는지 늘 살핀다
7. 알고 있는 유전자재조합농산물과 식품을 이웃에게 알린다
또한 GMO 표시제의 전면확대가 필요하다.
사실상 식용에 한해 적용되고 있는 GMO 표시제를 식용류 등 가공식품에도 적용해야 한다는 것. 가공여부와 상관없이 원료가 GMO라면 표시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얘기다. 또 품목도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콩, 옥수수, 콩나물, 감자만으로는 늘어나는 GMO를 감당할 수 없다.
GMO의 비의도적 혼합허용치(제조 또는 유통과정 등에서 비의도적으로 포함된 GMO) 비율을 현행 3%에서 단계적으로 EU(0.9%), 스위, 호주 등과 같이 1%로 낮춰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농림부 역시 검정기술의 정밀도 및 국제동향 등을 고려해 점차적으로 1% 수준으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식용류업계에서는 “만약 GMO Gene가 유해하다고 가정한다면 현행 허용치 3%에서 1%로 낮추는 것보다는 오히려 일반적인 유해물질의 허용단위인 ppm, ppb 단위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의 생각>
좀 더 생산량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생명공학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요즘 세상에서 살고 있는 나는 이런 유전자 조작식품이나 복제동물의 고기 등 이러한 것들이 인류가 낳은 축복이라고 생각 하지 않는다.
생명을 배우면서 자연과 생명의 순리는 매우 완벽하고 치밀하게 짜여져 있어서 항상 감탄했었는데 이 순리를 거스르고 인간이 임의대로 조작하고 변형시키는 것이 모든 질서를 파괴하고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댐 건설이 낳은 환경파괴의 사례에서 보듯이 우리 생태계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유전자조작은 도미노처럼 우리에게 재앙으로 다가올 것이 보여서 너무 무섭다.
건강에 위협을 주고 동식물의 피해와, 생태계파괴, 독점을 통한 농부들의 일자리를 약탈해가며 자신들의 주머니를 채우기에만 머리를 굴리고 있는 몬산토사 같은 거대한 회사의 사람들이 역으로 당해봐야 생산과 연구를 그만둘 건가 너무 화가 난다.
우리 집 어머니는 항상 밖에서 가공된 식재료나 식품을 사용하고 사먹기보다는 번거롭고 힘들지만 직접 자연에서 채취하여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주신다. 그리고 집에서 되도록 밥 먹게 하시고 밖에서 사먹는 것을 말리신다. 이번 과제를 통해 이미 대두를 사용하는 간장이나 옥수수를 이용한 과자 등 우리나라의 많은 식재료나 음식에서도 GMO식품이 첨가되어 있고 우리도 많이 노출 되어있다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경악하였는데 어머니 덕분에 남들보다 덜 영향을 받은 것에 대해 너무 감사하였다.
아직 GMO식품이 첨가되어있는지 표시가 되지 않는 우리나라 식품법이 개정되고, GMO관련법이 강화되어 GMO의 위험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좀 더 안전 할 수 있었음 좋겠다.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buldogmom?Redirect=Log&logNo=120007467207
-http://blog.naver.com/gstory_eco?Redirect=Log&logNo=10161474709
-http://blog.daum.net/food79/7700195
-우리농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인
-http://naturis.kr/123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추천자료
미래유망 신기술의 선택적 집중 개발(정보기술,생명공학,나노기술...)
환경윤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을 읽고
[과학사]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유전자공학
[화학공학기초실험] 4. 화학적 산소요구량
우리나라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환경정책의 새로운 과제 및 전략
보건 의료 생명공학
[학생정보소양인증제]정보의 정의, 정보소양의 정의, 정보소양의 구성요소, 학생정보소양인증...
[인간복제][복제인간][생명복제][유전공학][복제기술]인간복제의 정의, 인간복제의 윤리성, ...
[과학기술][과학기술 협력프로그램 사례]과학기술의 성격, 과학기술의 공익성, 과학기술의 예...
생명산업에 사용되는 생명공학기술
인간복제의 문제점 및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
사람의 미래가 달려있는 기술,생명공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