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서당과 서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서당과 서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선시대의 서당
(1) 서당의 종류
(2) 서당의 교육과정
(3) 입학자격
(4) 교육방법
(5) 교수법
(6) 학습
(7) 서당의 특징

2. 조선시대의 서원
(1) 서원의 설립배경
(2) 서원의 효시
(3) 서원의 입지와 외부공간
(4) 서원의 발달
(5) 서원의 기능 : 교육기능, 종교기능, 사회적기능

본문내용

향자 1인1원'의 원칙으로 47개의 서원, 사우를 제외한 모든 서원 철폐 - 신미존치 47서원
⑤ 복원기 : 19세기 말~ 현재
일제시대 부터 훼철되었던 서원의 복원 작업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주로 문중이 가문 의 선조를 모시기 위한 의도로 사당을 세우면서 서원을 복원하였다. 따라서 강학 교육기 능의 복원은 없이 특정 문중의 선조를 모시기 위한 복원으로 서원의 본래 기능과 정신은 계승되지 않고 사당으로서만 복원되고 있다
(5) 서원의 기능 : 교육기능, 종교기능, 사회적기능
① 교육적 기능 - 서원의 핵심적인 기능으로 학문을 공부하는 강학과 장수가 중심이다.
*강학
내용 - 원생의 수준에 따라 공부하며 대체로 소학,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시경, 서경, 주역, 춘추의 추례로 학습이 진행된다.
방법 - 스스로 독서하고 익힌 후 강회에 모여 문답으로 성과를 확인한다.
기간 - 개인의 능력별로 이루어지므로 짧으면 2년, 길면 10년에 걸칠수 도 있다.
*장수
수기(修己)를 통하여 덕성을 함양한다는 의미로 교수의 강의에 의한 타율적 방법보다 유생 스스로의 독서와 토론을 장려하고 터득한 바를 몸소 실천에 옮겨야 한다. 유생들 의 자율성, 자발성에 의해 성리학 학문과 윤리를 몸으로 직접 체득케하는 의미가 있다.
② 종교적 기능 - 사림의 도학자를 모시는 봉사기능으로 선현에 대한 제향이 중심이다. 제향은 ‘분향’과 ‘향사’가 있다.
‘분향‘이란 제사음식을 올리지 않고 사당에 올라가 향을 사르고 신위를 살피는 간략한 제사로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행한다.
‘향사‘(춘추향사)란 서원의 구성원과 향촌사회의 유지들이 참석하여 제수를 마련한뒤 지내는 제사로 향사에 참석할 자격과 사람을 뽑아서 매년 봄, 가을에 지낸다. 서원의 대외행사중 가장 크고 중요한 행사이다.
③ 정치, 사회적 기능
사림세력의 확대와 결속을 위한 장소로서 서원은 제향자의 학통을 계승한 유생들이 함께 모여 공부하고 학문적 정통성을 강조하면서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고 붕당을 형성하는 장 소이다.
서원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조정하여 수렴된 향촌사림의 공론이 같은 서원 혹은 같은 학파 출신의 중앙관료나 상소 등을 통하여 중앙정계로 전달되어 붕당정치로 실현되는 사림공론 에 의한 붕당정치의 기반이 된다.
지역사림양반들은 서원의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향촌사회에서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 농 민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는 등 향촌사회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기능이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2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