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_윤리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율곡의_윤리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현실 상황을 중시하는 입장은 유가 본연의 특징으로, 율곡의 경세론은 사실상 이러한 유가적 특징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이다.
천리는 현실 세계를 떠나 있는 것이 아니며, 진리가 실현되는 터전으로의 현실 세계는 언제나 변화중에 있다. 그러므로 천리는 일용(日用)의 사이에 유행하는 유행지리(流行之理)라 할 수 있으며, 진리의 실현은 언제나 각각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다. 율곡은 수양론에서 심기를 본연한 것으로 변화시켜 천리로서의 본성을 회복시키려 한 것처럼, 언제나 진리를 실현하는 매개체로서의 기의 세계에 폐단을 없애는 것으로 도를 온전히 실현시키려한다. 그의 이러한 논의는 언제나 ‘이는 기를 떠나 있지 않다’는 이기지묘의 입장과 ‘도는 고원한 것이 아니라 단지 일용의 사이에 있다’는 입장을 근거로 전개된다. 이러한 점에서 율곡의 철학은 추상적 원리를 현실에 적용하려는 논의가 아니라, 주어진 현실을 받아들여 이를 진선미(眞善美)한 방향으로 승화시켜 가려는 논의라 할 수 있다. 한국철학사상사 P212-215
- 참고도서
교재1 -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교재2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