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_이황의_유학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퇴계_이황의_유학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는 입장에서 사단과 칠정을 각기 구별해보는 것이 이황의 사단칠정론의 특징이다.
이황에 의하면 사단과 칠정은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이라고도 할 수 있다. “人心, 七情是也, 道心, 四端是也”(『退溪全書』卷36, 答李宏仲問目)
이황은 도심은 성명(性命)에 근원하고, 인심은 형기(形氣)에서 나온 것이라고 보았다. 즉 도심은 마음의 이성적 측면을 가리켜 말한 것이고, 인심은 마음의 감성적 측면을 가리켜 말한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인욕에 이끌리면 천도와 의리를 배반하며 악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인욕이 바로 인심으로부터 생긴다. 이와 같이 이황은 인심을 인욕과 동일시하고 도심을 강조한다. 이것은 기질지성보다 본연지성, 칠정보다는 사단을 더욱 중시하는 그의 일관된 태도를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근본적으로 그의 윤리적 입장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한 본성을 지키고 존양함으로써, 윤리적 정륜(正倫)의 실현과 함께 올바른 가치질서를 정립하고자 한 것이다. 황희동, 앞의 책, 199쪽 참조.
※참고도서※
교재1 -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교재2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5

키워드

  • 가격1,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