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학의 수용과 한국사상의 원형(原型)
2. 유학의 토착화와 전통사상으로의 보편화
3.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사상적 전환과
‘유학의 나라’건국
4. 퇴계와 율곡의 출현과 한국 성리학의 융성
5. 조선 후기 근대로의 지향과 실학의 대두
6. 한말(韓末) 유림 운동과 심산(心山)의 지조(志操)
참고문헌
2. 유학의 토착화와 전통사상으로의 보편화
3.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사상적 전환과
‘유학의 나라’건국
4. 퇴계와 율곡의 출현과 한국 성리학의 융성
5. 조선 후기 근대로의 지향과 실학의 대두
6. 한말(韓末) 유림 운동과 심산(心山)의 지조(志操)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불변의 진리로 인식하여 수구적인 자세를 견지하는 보수적인 유림도 있었고, 과거 유교에 대한 개신 내지 개혁을 주장하는 유림도 있었다. 일제시기 신학문을 배운 지식인들은 유교로 인하여 나라가 망하고 식민지로 전락하였다는 극단적인 부정 인식을 보임으로써 유교는 도태되고 청산되어야 할 구시대의 유물로 인식되고 말았다.
1945년 광복과 동시에 유교계의 재편과 유림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한 인물은 성균관대학교를 설립한 심산(心山)김창숙이었다. 심산은 1905년에 항일운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1908년에는 고향에서 성주(星州)지부를 결성하여 문절타파와 노비 해방 등 구습 혁파에 힘을 쏟고, 그 다음해에 일진회(一進會)등에서 일제의 조선합병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이 일로 심산은 왜경(倭警)에게 체포가 되었다. 그러나 출옥 후에는 향리에서 성명학교(星明學校)를 세워 신교육을 통한 애국 운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중국의 손문(孫文)을 비롯한 중국 국민당 인사들과도 교제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후원하도록 하였다. 심산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독재와 부정부패에 항거하며, 주국통일과 민주 회복을 위해 대의명분에 입각한 실천적 유학자상을 남김없이 보여주었다. 고고한 인품과 우뚝한 절개를 지녔던 심산은 조선의 마지막 선비였다. 또한 우리정신사의 고귀한 유산인 유학(儒學)의 맥(脈)을 수호하고자 하였다. 누구보다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유림지도자였던 심산의 지조와 얼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민족적 자존을 지키는 빛으로 살아왔다.
참고문헌
1.김성기,최영진 외10인, 지금 여기의 유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2005)
1945년 광복과 동시에 유교계의 재편과 유림운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한 인물은 성균관대학교를 설립한 심산(心山)김창숙이었다. 심산은 1905년에 항일운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1908년에는 고향에서 성주(星州)지부를 결성하여 문절타파와 노비 해방 등 구습 혁파에 힘을 쏟고, 그 다음해에 일진회(一進會)등에서 일제의 조선합병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나섰다. 그러나 이 일로 심산은 왜경(倭警)에게 체포가 되었다. 그러나 출옥 후에는 향리에서 성명학교(星明學校)를 세워 신교육을 통한 애국 운동을 시작하였다. 또한 중국의 손문(孫文)을 비롯한 중국 국민당 인사들과도 교제하며 한국의 독립운동을 후원하도록 하였다. 심산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독재와 부정부패에 항거하며, 주국통일과 민주 회복을 위해 대의명분에 입각한 실천적 유학자상을 남김없이 보여주었다. 고고한 인품과 우뚝한 절개를 지녔던 심산은 조선의 마지막 선비였다. 또한 우리정신사의 고귀한 유산인 유학(儒學)의 맥(脈)을 수호하고자 하였다. 누구보다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유림지도자였던 심산의 지조와 얼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민족적 자존을 지키는 빛으로 살아왔다.
참고문헌
1.김성기,최영진 외10인, 지금 여기의 유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2005)
추천자료
태자교육의 전통과 유교이념 그리고 서연제도의 성립과 그 성격
기독교와 유교
한중일 유교문화 비교
경북 지역의 불교, 유교 역사와 특징
모럴 헤저드의 극복 - 유교자본주의의 부활
성리학(주자학)의 형성, 성리학(주자학)의 이기이원론, 성리학(주자학)의 태극설, 성리학(주...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한국교육사][삼국교육][고구려교육][백제교육][신라교육][조선교육][실학교육]한국교육사 삼...
유교의 역사(유가)
근현대 중국의 서구문화 수용양상과 유교지식인의 대응양상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
유교가 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선교와 비교종교 유교(Confucianism / 儒敎)
[종교와 경제] 유교와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