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유학사(高麗 儒學史) (고려시기의 사회경제상황,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과 형성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 유학사(高麗 儒學史) (고려시기의 사회경제상황,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과 형성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고려시기의 사회경제상황

3. 성리학 전래 이전의 고려유학

4. 고려 말 성리학의 도입과 형성과정

6. 덧붙이는 말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전체적으로 고려유학을 다루면서 가장 눈에 띠는 것은 김충렬 교수의 논의 자체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우리나라 유학의 도입과 형성에 있어 안타까움을 토로하는 논지들은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간다. 하지만 조선조로 이어지는 편린적인 정주학의 부흥원인은 다른 어떠한 조건들보다도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인민적 정세에 의지하는 것이라 보여진다. 김교수가 높이 평가했던 이제현 같은 인물의 건전성도 사실상 도입기에나 있을 수 있는 영향력이라 생각된다. 오히려 이제현은 초창기 때의 잡다한 사상을 섭렵한 신진 유학자라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고려 말의 조야한 유학의 수준은 사실상 조선조의 성리학에 비할 것이 못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理氣先後論’이나 ‘人性論’등은 관념적으로 형이상학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종국적으로 이와 기를 가르다보니 인성에 있어서도 사단과 칠정을 가르는 헤겔식 해법들, 즉 관념론의 계속적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았나 보여진다.
즉 국가의 의도 하에 추진되는 유학의 결합은 필연적으로 이론 자체의 정당성의 문제를 떠나 실용적 이데올로기 국가장치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안타까움 이전에 정주학이 발전할 수밖에 없었던 토대라고 보여진다. 이런 견지에서 보면 고려시기는 유학의 형성기라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자연히 인민들 생활상에는 거의 침투를 하지 못하고 상층귀족이나 유학자 층을 중심으로 하향운동하는 형세를 그렸던 것 같다. 오히려 그 시대에는 유학의 영향력보다는 일반 대중들의 무속신앙이나 도참사상, 불교 등이 위력을 떨쳤다고 봐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白南雲, 朝鮮封建社會經濟史(上) (高麗の部) - 朝鮮社會
經濟史, 第二券, 改造社: 東京, 1937, pp.1-391.
하일식역, 朝鮮封建社會經濟史(上)1 - 백남운전집
2, 이론과실천, 1993.
2. 정진석外 共著,조선 철학사, 과학원 력사연구소간, 1961.
편집부엮음, 조선철학사연구, 광주, 1988.
3. 玄相允著, 朝鮮儒學史, 玄音社, 1992.
4. 金忠烈著, 高麗儒學史, 高麗大學校出版部, 1984.
5. 韓國哲學會編, 韓國哲學史, 東明社, 1987.
6. Joseph Needham,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II
“History of Scientific Thought", 1969. 李錫浩外 譯, 中
國의 科學과 文明 II, 乙酉文化社, 1987.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3.08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72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