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루브릭의 의미
Ⅲ. 루브릭의 역할
Ⅳ. 루브릭의 형성 사례1(동시짓기)
Ⅴ. 루브릭의 형성 사례2(동시낭독)
참고문헌
Ⅱ. 루브릭의 의미
Ⅲ. 루브릭의 역할
Ⅳ. 루브릭의 형성 사례1(동시짓기)
Ⅴ. 루브릭의 형성 사례2(동시낭독)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반복하여 사용하고, 동시에서 주로 사용하는 느낌에 관련된 단어를 사용하고, 서술어도 ‘........습니다’ 보다는 명사형으로 끝나거나 ‘...어요’로 표현함
잘함
식물의 특징을 잘 설명함.
큰목소리로 또박 또박 발표함
느낌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를 많이 사용함.
보통
흔히 아는 노래의 가사를 조금 다르게 표현함.
작은 목소리로 읽음.
식물의 특징을 서술문처럼 설명함.
노력을
요함
단순한 식물의 이름이나 색만을 언급함.
발음이 적확하지 않음.
주어와 서술어의 형식을 가지면서 ‘습니다’로 표현함. 예를들면 ‘장미는 예쁨니다.’ 이렇게 단일 문장으로 표현함
☞ 왼쪽에 제시된 준거는 학생들의 ‘잘한점 말하기’를 통해 형성된 것이다.
학생들이 친구의 동시를 듣고 평한 내용으로 교사가 루브릭을 작성하는데, 한가지 예로 위의 표 마지막 줄에 ‘동시표현력’ 루브릭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일단 학생들은 친구들이 동시를 낭독하면 가장 재미있는 칭찬이나 잘했다고 생각되는 칭찬을 말해준다.
친구들에게 말해준 칭찬들의 예 중에서, 우선 위의 <학생1>의 ‘동시표현력’에서 ‘매우잘함’을 받은 학생이 동시를 낭독한 뒤의 칭찬은, “맨 앞줄이 재미있어요(장미는, 장미는)”, “장미 장미 하고 2번 말한 것이 재미있어요(장미는 장미는)”, “무지개 색깔 같은 것이 재미있어요”, “말을 똑박똑박 잘했어요(말 표현력)” 등이 나왔다.
이 외의 칭찬은, “장난꾸러기, 예쁜 장미... 하는 것을 잘했어요(명사형 어미)”, “졸졸졸..., 하늘하늘....이 재미있어요(의성어, 의태어)”, 등의 칭찬을 한다. 즉 대부분의 학생들이 동시를 지을 때, ‘....습니다.’ 등과 같이 평서문의 유형으로 표현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몇몇의 학생들이 동시의 각운을 살려 표현한다던가, ‘...습니다.’ 대신에 ‘...어요’, 혹은 명사형으로 사용한다던가,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하면 즉각적으로 학생들의 반응(웃는다던가, 손을 들어 ‘......을 잘했어요’ 등과 같이 잘한 점을 이야기 해 준다)이 뒤따른다. 이런 것을 바탕으로 교사는 위의 표에서 마지막 준거인 동시표현력을 형성하고, 매우잘함은 학생들이 발표한 잘한 점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다. 잘함, 보통, 노력 요함은 학생들이 제시한 칭찬들로부터 나온 ‘매우잘함’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사의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문헌
김진인(2009),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김진인 외 1명(2009),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수업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김정덕(2009), 루브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행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범선화(2007),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신명희 외 1명(2008),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이효정(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잘함
식물의 특징을 잘 설명함.
큰목소리로 또박 또박 발표함
느낌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를 많이 사용함.
보통
흔히 아는 노래의 가사를 조금 다르게 표현함.
작은 목소리로 읽음.
식물의 특징을 서술문처럼 설명함.
노력을
요함
단순한 식물의 이름이나 색만을 언급함.
발음이 적확하지 않음.
주어와 서술어의 형식을 가지면서 ‘습니다’로 표현함. 예를들면 ‘장미는 예쁨니다.’ 이렇게 단일 문장으로 표현함
☞ 왼쪽에 제시된 준거는 학생들의 ‘잘한점 말하기’를 통해 형성된 것이다.
학생들이 친구의 동시를 듣고 평한 내용으로 교사가 루브릭을 작성하는데, 한가지 예로 위의 표 마지막 줄에 ‘동시표현력’ 루브릭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일단 학생들은 친구들이 동시를 낭독하면 가장 재미있는 칭찬이나 잘했다고 생각되는 칭찬을 말해준다.
친구들에게 말해준 칭찬들의 예 중에서, 우선 위의 <학생1>의 ‘동시표현력’에서 ‘매우잘함’을 받은 학생이 동시를 낭독한 뒤의 칭찬은, “맨 앞줄이 재미있어요(장미는, 장미는)”, “장미 장미 하고 2번 말한 것이 재미있어요(장미는 장미는)”, “무지개 색깔 같은 것이 재미있어요”, “말을 똑박똑박 잘했어요(말 표현력)” 등이 나왔다.
이 외의 칭찬은, “장난꾸러기, 예쁜 장미... 하는 것을 잘했어요(명사형 어미)”, “졸졸졸..., 하늘하늘....이 재미있어요(의성어, 의태어)”, 등의 칭찬을 한다. 즉 대부분의 학생들이 동시를 지을 때, ‘....습니다.’ 등과 같이 평서문의 유형으로 표현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몇몇의 학생들이 동시의 각운을 살려 표현한다던가, ‘...습니다.’ 대신에 ‘...어요’, 혹은 명사형으로 사용한다던가,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하면 즉각적으로 학생들의 반응(웃는다던가, 손을 들어 ‘......을 잘했어요’ 등과 같이 잘한 점을 이야기 해 준다)이 뒤따른다. 이런 것을 바탕으로 교사는 위의 표에서 마지막 준거인 동시표현력을 형성하고, 매우잘함은 학생들이 발표한 잘한 점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다. 잘함, 보통, 노력 요함은 학생들이 제시한 칭찬들로부터 나온 ‘매우잘함’의 내용을 기반으로 교사의 판단에 의해 결정된다.
참고문헌
김진인(2009),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김진인 외 1명(2009),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수업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김정덕(2009), 루브릭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행평가 실행과의 관계, 한국교육방법학회
범선화(2007),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신명희 외 1명(2008),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이효정(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추천자료
[교육평가][교육][평가][교육평가 제고 방안]교육평가의 정의, 교육평가의 유형과 교육평가의...
[강의평가]강의평가제도(교수강의평가제)의 실시현황, 강의평가제도(교수강의평가제)의 평가...
[기술평가, 기술평가 개념, 기술평가 종류, 기술평가 유형, 기술평가 대상, 기술평가 수요]기...
[직무수행평가]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정의, 특징,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
[직무평가]직무평가(업무평가, 직무수행평가)의 의미, 필요성, 직무평가(업무평가, 직무수행...
[기업평가][기업경쟁력평가][기업유익성평가][기업기술평가][기업가치평가][기업신용위험상시...
사회복지 시설평가, 사회복지 정책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사회복지 실천평가, 사회복...
[사회복지서비스평가]사회복지서비스평가(사회복지평가)의 종류, 의의, 사회복지서비스평가(...
[신용평가][신용평가 개념][신용평가 동향][신용평가 요소][신용평가 계량평가모델][신용평가...
[신용평가][신용평가 요소][신용평가 감독제도][신용평가 국가신용도][신용평가의 제고 방안]...
[인사평가][인사고과][인사평가 목적][인사평가 방법]인사평가(인사고과)의 종류, 인사평가(...
[벤처기업평가][벤처기업평가 지침][벤처기업평가 항목][벤처기업평가 접근방법]벤처기업평가...
[정책평가론]우리나라 정책평가방법에 대한 고찰 - 정책평가방법의 유형 및 우리나라 정책평...
사회복지사업 평가, 이동목욕사업 평가, 정신보건사업 평가, 자활사업 평가, 장애인직업재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