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정의
Ⅲ.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특징
Ⅳ.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목적
Ⅴ.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요소
Ⅵ.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용도
1. 적정 임금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 직무분석․직무평가․직무수행평가 간의 관계
Ⅶ.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가점요인
1. 장기간 현안사항을 해결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2.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새로운 시점에서 자신의 업무를 처리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3. 곤란도가 아주 높은 과제, 혹은 전례가 없는 과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4. 자기 직무주변의 과제를 처리하고, 조직의 대대적 업무개선에 기여한 경우
5. 직무와 관련된 자격을 취득한 경우
6. 폭넓은 시점에서 시정에 공헌한 경우
Ⅷ.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방법
1. 서열법(Ranking method)
2. 분류법( Classification method)
3. 점수법(Point method)
4. 요소비교법(Facor comparison method)
참고문헌
Ⅱ.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정의
Ⅲ.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특징
Ⅳ.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목적
Ⅴ.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요소
Ⅵ.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용도
1. 적정 임금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2. 직무분석․직무평가․직무수행평가 간의 관계
Ⅶ.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가점요인
1. 장기간 현안사항을 해결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2.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새로운 시점에서 자신의 업무를 처리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3. 곤란도가 아주 높은 과제, 혹은 전례가 없는 과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올린 경우
4. 자기 직무주변의 과제를 처리하고, 조직의 대대적 업무개선에 기여한 경우
5. 직무와 관련된 자격을 취득한 경우
6. 폭넓은 시점에서 시정에 공헌한 경우
Ⅷ. 직무수행평가(직무평가, 업무평가)의 방법
1. 서열법(Ranking method)
2. 분류법( Classification method)
3. 점수법(Point method)
4. 요소비교법(Facor comparison method)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류법은 직무를 서열척도나 명목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비양적 평가방법이고 점수법과 요소비교법은 등간척도를 사용하여 직무를 계량적으로 평가하는 양적 평가방법이다
1. 서열법(Ranking method)
다른 직무와 비교하여 직무의 상대적 중요성에 따라 직무를 주관적으로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다. 이때 평가자가 여러 평가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평가하여 순위를 정하기도 한다.
그리고 직무의 서열을 정하는 데 있어, 직무를 짝을 지어 비교함으로써 평가하려는 모든 직무의 순위를 정하는 쌍대비교법(paired comparison method)과, 평가하려고 하는 직무들 중에서 가장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직무와 가장 낮다고 생각하는 직무를 골라내고, 그러한 두 직무를 제외한 나머지 직무들을 대상으로 똑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더 이상 평가대상 직무가 없을 때까지 계속하는 교대서열법(alternative ranking method)을 사용하면 간편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평가대상 직무의 수가 많으면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쌍대비교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경우, nC2 수만큼 비교를 하여야 한다. 즉 10개 직무를 쌍대비교법에 의해 평가하려면 45번의 비교를 하여야 한다.
2. 분류법( Classification method)
등급법(grading method)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사전에 규정된 등급 또는 부류에 평가하려는 직무를 배정함으로써 직무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분류법에 의해 직무를 평가하려면 직무등급의 수와 각 등급에 해당하는 직무의 특성을 자세히 정의하는 직무등급기술서를 준비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평가하려는 직무가 직무등급 기술서 상의 어느 등급의 직무와 유사한가를 따져 평가하는 것이다.
3. 점수법(Point method)
점수법은 직무를 구성하는 중요한 직무요소(job factor)를 찾아, 각 요소별로 등급화 하여 점수를 부여한 다음, 평가하려는 직무를 평가요소별로 적절한 등급을 찾아 점수를 부여한다. 이렇게 요소별로 부가된 점수를 합산하여 직무의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4. 요소비교법(Facor comparison method)
요소비교법은 기준직무(key job)를 선정하고 그 기준직무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액을 평가요소에 배분하여 기준직무를 평가요소로 서열화한 다음, 기준직무의 평가요소와 평가하려는 직무의 평가요소를 비교하여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임금액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 김병채(1981), 직무수행능력평가와 지각향성 및 작업동기와의 상호관계, 경북대학교
◇ 김삼득(2009), 직무평가 시스템의 이론적 고찰과 현황 파악, 경희대학교
◇ 김정식(2006), 효과적인 연봉제 시스템을 위한 직무평가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 김대호(2003), 직무평가 결과에 따라 이원 직무등급체계를 운영, 한국인사관리협회
◇ 오영환(2007), 직무성과급 연봉설계를 위한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방법,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 한영범(1982), 직무평가의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1. 서열법(Ranking method)
다른 직무와 비교하여 직무의 상대적 중요성에 따라 직무를 주관적으로 서열을 매기는 방법이다. 이때 평가자가 여러 평가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하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평가하여 순위를 정하기도 한다.
그리고 직무의 서열을 정하는 데 있어, 직무를 짝을 지어 비교함으로써 평가하려는 모든 직무의 순위를 정하는 쌍대비교법(paired comparison method)과, 평가하려고 하는 직무들 중에서 가장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직무와 가장 낮다고 생각하는 직무를 골라내고, 그러한 두 직무를 제외한 나머지 직무들을 대상으로 똑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더 이상 평가대상 직무가 없을 때까지 계속하는 교대서열법(alternative ranking method)을 사용하면 간편하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평가대상 직무의 수가 많으면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쌍대비교법을 사용하여 평가할 경우, nC2 수만큼 비교를 하여야 한다. 즉 10개 직무를 쌍대비교법에 의해 평가하려면 45번의 비교를 하여야 한다.
2. 분류법( Classification method)
등급법(grading method)이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사전에 규정된 등급 또는 부류에 평가하려는 직무를 배정함으로써 직무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분류법에 의해 직무를 평가하려면 직무등급의 수와 각 등급에 해당하는 직무의 특성을 자세히 정의하는 직무등급기술서를 준비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평가하려는 직무가 직무등급 기술서 상의 어느 등급의 직무와 유사한가를 따져 평가하는 것이다.
3. 점수법(Point method)
점수법은 직무를 구성하는 중요한 직무요소(job factor)를 찾아, 각 요소별로 등급화 하여 점수를 부여한 다음, 평가하려는 직무를 평가요소별로 적절한 등급을 찾아 점수를 부여한다. 이렇게 요소별로 부가된 점수를 합산하여 직무의 가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4. 요소비교법(Facor comparison method)
요소비교법은 기준직무(key job)를 선정하고 그 기준직무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액을 평가요소에 배분하여 기준직무를 평가요소로 서열화한 다음, 기준직무의 평가요소와 평가하려는 직무의 평가요소를 비교하여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임금액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참고문헌
◇ 김병채(1981), 직무수행능력평가와 지각향성 및 작업동기와의 상호관계, 경북대학교
◇ 김삼득(2009), 직무평가 시스템의 이론적 고찰과 현황 파악, 경희대학교
◇ 김정식(2006), 효과적인 연봉제 시스템을 위한 직무평가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 김대호(2003), 직무평가 결과에 따라 이원 직무등급체계를 운영, 한국인사관리협회
◇ 오영환(2007), 직무성과급 연봉설계를 위한 직무분석과 직무평가방법, 경총 노동경제연구원
◇ 한영범(1982), 직무평가의 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추천자료
직무관리(직무분석,직무평가,직무설계)정리와 사례
우체국 업무 직무분석 - 집배원 택배 업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통합 정부업무 평가제도의 성과
[회사법] 이사의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책임과 의무
[사회복지사, 직무역할, 직무활동(업무활동)]사회복지사의 직무역할, 사회복지사의 직무활동(...
[직무만족도(직무만족)]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개념, 이론, 직무만족도(직무만족,...
[직무][직무연수][직무조정][직무분석][직무평가][직무만족][직무특성][직무성과]직무연수, ...
[직무만족][직무만족도]직무만족(직무만족도, 업무만족)의 개념, 의의, 직무만족(직무만족도,...
[직무만족도]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의 정의, 분류, 직무만족도(직무만족, 업무만족)...
직무만족(업무만족, 직무만족도) 개념, 중요성, 장애인공무원,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직...
[간호관리 직무분석] 수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 하나의 간호 단위나 ...
[간호관리 직무분석] 간호과장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 : 간호사 전원의 인사문...
[조리사 직무, 역할] 조리사의 개념, 직무 내용, 조리사의 역할 - 조리사 직무(업무), 조리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