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화행의 의미
Ⅲ. 화행의 중요성
Ⅳ. 화행의 기준
Ⅴ. 화행의 명제
Ⅵ. 화행의 텍스트유형
Ⅶ. 화행의 중국어교육(중국어지도)
참고문헌
Ⅱ. 화행의 의미
Ⅲ. 화행의 중요성
Ⅳ. 화행의 기준
Ⅴ. 화행의 명제
Ⅵ. 화행의 텍스트유형
Ⅶ. 화행의 중국어교육(중국어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Ⅶ. 화행의 중국어교육(중국어지도)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현행 교과서의 한 대화문을 선정하여 그와 같은 주제로 구성하기로 한다. 이로써 그 차이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
<현행 중국어 교과서의 대화문>
明希: 五月十一號是我的生日, 我請們來我家. 們能來?
韓義: 祝賀! 我們一定去. 那天是星期幾?
明希: 今天五月七號, 星期二, 十一號是星期六.
中新: 好, 我們幾點去家?
明希: 們下午五點來, 好?
* * *
明希: 歡迎們來.
韓義: 祝生日快樂!
中新: 祝生日愉快! 這是我們送給的花.
明希: 非常感謝們. 請坐. 們喝茶!
<화행 중심의 대화문>
내용: 생일 초대하기
주요 화행: 초대하기 / 초대에 응하기 / 초대에 거절하기 / 설득하기
明希: 這星期六是我的生日, 我請來我家. 能來?
中新: ! 是? 祝賀! 不過這辦, 那天我有個約會.
明希: 所以不能來? 如果那個約會不重要的話, 就推遲一下. 我眞希望能來.
中新: 那個約會確實不重要. 我可以推遲幾天.
不過, 我得先朋友商量商量以後再聯係.
(過了幾個小時, 中新打來了電話)
明希: !
中新: ! 請一下姜明希. 我是王中新.
明希: 我就是.
中新: 我我朋友說好把約會推遲了. 的生日我一定去.
明希: 那太好! 那, 星期六下午一點來我家.
中新: 好. 我一定去.
明希: 那好. 謝謝. 再見.
中新: 再見!
두 대화문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현행 교과서 대화문은 ‘생일초대’와 관련하여 ‘초대-초대응함’의 단순한 구조로 대화가 전개된 후, 바로 ‘손님접대’의 상황으로 대화장면이 바뀐다. 즉 현행 교과서 대화문은 화행은 반영하되, 그 구조가 너무 간단하다. 이처럼 간단한 구조로 화행을 전개하면, 설사 많은 화행 유형을 제시한다 하여도 학습자는 실제의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능숙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생일초대’와 관련하여 중점적으로 다룰 ‘초대하기’, ‘초대에 응하기’, ‘초대에 거절하기’, ‘설득하기’ 화행을 미리 선정하고, 이를 ‘초대-거절-설득-초대수락’의 보다 짜임새 있고 발전된 구조로 전개하였다. 아울러 언어표현도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표현들로 구성하였다.
즉 이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생일초대’에 관한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를 학습한 학생들은 실제 생일초대 상황에서 보다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을 효율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대화주제와 관련된 화행들을 중점적으로 선별하여 이를 보다 짜임새 있고 발전된 대화구조로 전개하는 ‘화행 중심의 대화문’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령 / 반응요구 화행의 유형 설정, 한민족어문학회, 2006
김정은 / 현대중국어 요청과 거절 화행 연구, 연세대학교, 2011
성광수 / 화행의미와 적절성 문제,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82
전정미 /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칭찬 화행의 양상, 겨레어문학회, 2008
전정미 /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칭찬 화행의 양상, 겨레어문학회, 2008
정명종 / 화행의 상황의미론적 분석, 서울대학교, 1992
Ⅶ. 화행의 중국어교육(중국어지도)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현행 교과서의 한 대화문을 선정하여 그와 같은 주제로 구성하기로 한다. 이로써 그 차이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
<현행 중국어 교과서의 대화문>
明希: 五月十一號是我的生日, 我請們來我家. 們能來?
韓義: 祝賀! 我們一定去. 那天是星期幾?
明希: 今天五月七號, 星期二, 十一號是星期六.
中新: 好, 我們幾點去家?
明希: 們下午五點來, 好?
* * *
明希: 歡迎們來.
韓義: 祝生日快樂!
中新: 祝生日愉快! 這是我們送給的花.
明希: 非常感謝們. 請坐. 們喝茶!
<화행 중심의 대화문>
내용: 생일 초대하기
주요 화행: 초대하기 / 초대에 응하기 / 초대에 거절하기 / 설득하기
明希: 這星期六是我的生日, 我請來我家. 能來?
中新: ! 是? 祝賀! 不過這辦, 那天我有個約會.
明希: 所以不能來? 如果那個約會不重要的話, 就推遲一下. 我眞希望能來.
中新: 那個約會確實不重要. 我可以推遲幾天.
不過, 我得先朋友商量商量以後再聯係.
(過了幾個小時, 中新打來了電話)
明希: !
中新: ! 請一下姜明希. 我是王中新.
明希: 我就是.
中新: 我我朋友說好把約會推遲了. 的生日我一定去.
明希: 那太好! 那, 星期六下午一點來我家.
中新: 好. 我一定去.
明希: 那好. 謝謝. 再見.
中新: 再見!
두 대화문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현행 교과서 대화문은 ‘생일초대’와 관련하여 ‘초대-초대응함’의 단순한 구조로 대화가 전개된 후, 바로 ‘손님접대’의 상황으로 대화장면이 바뀐다. 즉 현행 교과서 대화문은 화행은 반영하되, 그 구조가 너무 간단하다. 이처럼 간단한 구조로 화행을 전개하면, 설사 많은 화행 유형을 제시한다 하여도 학습자는 실제의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능숙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생일초대’와 관련하여 중점적으로 다룰 ‘초대하기’, ‘초대에 응하기’, ‘초대에 거절하기’, ‘설득하기’ 화행을 미리 선정하고, 이를 ‘초대-거절-설득-초대수락’의 보다 짜임새 있고 발전된 구조로 전개하였다. 아울러 언어표현도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표현들로 구성하였다.
즉 이 화행 중심의 대화문은 ‘생일초대’에 관한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를 학습한 학생들은 실제 생일초대 상황에서 보다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능력을 효율적으로 배양하기 위해서는, 대화주제와 관련된 화행들을 중점적으로 선별하여 이를 보다 짜임새 있고 발전된 대화구조로 전개하는 ‘화행 중심의 대화문’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령 / 반응요구 화행의 유형 설정, 한민족어문학회, 2006
김정은 / 현대중국어 요청과 거절 화행 연구, 연세대학교, 2011
성광수 / 화행의미와 적절성 문제,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1982
전정미 /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칭찬 화행의 양상, 겨레어문학회, 2008
전정미 /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칭찬 화행의 양상, 겨레어문학회, 2008
정명종 / 화행의 상황의미론적 분석, 서울대학교, 1992
추천자료
[경영전략]체험 방식으로 중국어를 배우자 - 이얼싼 중국체험 어학원
교안에 따른 중국어 파워포인트 자료
중국어과 교수 계획표
중국어 교수 계획표(왕선생님 계십니까?)
[감리교][감리교회][감리][기독교][신학][교육사업][의료사업][봉사활동]감리교회의 등장배경...
교육공학 교수설계
중국어학습지도안
중국어 - 문자학, 성운학
중국어 교수학습지도안(중문)
국내 중국어 예배현황 (국내 중국어 예배 현황 및 국내 중국인 행정 구역별 순위)
인터넷과 컴퓨터는 현대인의 삶에서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인터넷과 컴퓨...
만4세, 세계 여러 나라를 주제로한 교육계획(조직망), 연관relation활동계획(각 영역별 활동)...
[학업계획서]2019년도 1학기 OO대학원 영어전공(영어교육학,영문학,비지니스 영어) 학업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