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신경가소성의 정의와 신경가소성의 기전에 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

2. 학습과 기억

3. 신경 영양 인자

4. 손상에서 회복으로

본문내용

의 입력을 보여 준다.
비활동적인 연접들의 동원은 종말단추들이 좀더 기능적이게 되는 것을
말한다.
7. 삭상조직(sprouting)
- 재생적 삭상조직 : 세포하나의 축삭이 손상을 받았을 때, 손상된 쪽 곁가지들과 정상적인 연결을 이루고 있는 신경세포에서 연접을 이룬다.
- 곁가지 삭상조직 또는 반응적 연접형성 : 정상적인 연결을 이루고 있던 축삭에서 곁가지를 손상된 세포와 연접을 이루던 세포쪽으로 내서 연접을 이룬다.
(a)는 손상되기 이전의 신경학적 연결이다. 2개의 경로와 각각의 경로에 3개의 신경원이 연결되어 있다.
(b)는 재생적 삭상조직으로 원래의 목표 신경원이 변성됨에 따라 새로운 위치로 연접 을 이루기 위해 왼쪽으로 가지를 낸다.
8. 대리기능(vicarious function)
- 대리기능은 실제적인 신경의 변화와 관련 있는 것이 아니라 손상 후 행동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
9. 보상(compensation)
- 보상 또는 대리행동(behavioral substitution)은 사람이 손상되기 이전에 한 것과는 다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완전히 다른 운동전략을 성공적으로 사용했을 때 일어나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8.0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