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 & 지옥의 묵시록(Apocalyspe Now)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암흑의 핵심(Heart of Darkness) & 지옥의 묵시록(Apocalyspe Now)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Heart of Darkness」의 한글 번역본
Ⅲ. 본론
ⅰ.책 ‘암흑의 핵심’
ⅱ. 영화 ‘지옥의 묵시록’
ⅲ. ‘암흑의 핵심’ vs '지옥의 묵시록‘
Ⅳ. 결론

본문내용

지 착취를 가장 효율적으로 하는 인물이었으며 ‘지옥의 묵시록’에서의 ‘커츠’는 베트남전에서 작은 규모의 군사를 이끌고 전투를 효과적으로 이길 수 있는 인물이다. 하지만 이런 인물들을 만들어낸 체계는 이들을 죽이거나 무력화 시키려고 한다. 그들의 필요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물이지만 각자의 길을 걷거나 자신들의 명령체계에서 이탈하면 가차없이 없애버리는 것이다. 소설과 영화에서 서술자가 존재하는데 이들은 바로 ‘말로’로 ‘윌라드’ 이다. ‘말로’의 경우는 ‘커츠’를 만나러 가면서 어느 정도 그에게 호감을 느끼면서 기대감을 품고 있다. 결국 그를 만나게 됨으로써 자신과 그를 동일시해서 보기까지 한다. 하지만 ‘윌라드’는 시종일관 비판적인 자세를 가지고 ‘커츠’에 대하여 생각했고 그를 만나서도 그렇게 행동했다. 그의 왕국에서, 절대권력자인 그를 죽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그러한 자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하지만 영화 결론에서 비춰진 ‘월라드’의 모습에서는 또 다른 ‘커츠’를 볼 수 있다라는 느낌을 받았었다.
Ⅳ. 결론
‘암흑의 핵심’과 ‘지옥의 묵시록’은 시대 비판을 했다는 점에서 똑같다고 할 수 있다. 비록 한세기가 지나서 나왔고 두 작품의 시공간적 배경이 다르지만 독자나 관객들에게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하나라고 생각한다. 영화와 소설을 통해 현실에 대하여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비판적인 자세를 가져야한다는 것이다. 작품과 현실세계는 동떨어져 생각해봐야하지 않냐는 의견이 있지만 작품이란 것이 현실을 기반으로 창작되어진 것이기에 이 둘을 떨어뜨려 놓고 생각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전달 방식이 다른 두 매체를 통해 전혀 다른 듯한 이야이기를 들려주고 있지만 사실 그 본 바탕은 하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년이란 시간과 영국과 미국이라는 창작의 무대는 우리에게 단지 시간과 공간이라는 허울일 뿐이었다. 고전문학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여러 독자층에게 읽히고 여러 매체로 변환되어 지금까지도 창작되고 향유되는 이유는 그 속에 시공간을 뛰어 넘어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중심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 참고자료
『Conrad's heart of darkness : 서사 전략과 이데올로기』 정일상, 중앙대학교대학원, 2002년
「암흑의 핵심」Joseph Conrad, 이상옥 譯, 민음사, 1998년
[DVD] 지옥의 묵시록 : 무삭제(Apocalyse Now Redux), 스타맥스, 2001년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7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