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소혈증
2. 요량감뇨증
2. 요량감뇨증
본문내용
기능이 잘 유지되면서 SNGFR이 감소된 경우는 일반적으로 소변 삼투성이 500 mmol/kg of water 이상, 나트륨이 20 mmol/L 이하, U/P ratios for urea and creatinine 이 각각 8과 40 이상, 일반 뇨검사는 정상, 그리고 BUN은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보다 10배 이상이다. 만일 감소된 SNGFR의 원인이 없어진다면, 충분한 GFR로 회복될 가능성은 크다. 소변 삼투성이 350 mmol/kg of water 이하, 나트륨이 40 mmol 이상, 요소와 크레아티닌에 대한 U/P 비가 각각 2와 20 이하, 그리고 BUN이 혈청 크레아티닌보다 단지 10배 정도 증가했을 때는 세뇨관 기능이 소실된 것이고 급성 혹은 만성 신부전의 일부 형태가 존재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 골다공증
- 진단검사와 간호
- 소변검사와 혈액검사
- 급성림프구성백혈병
- 급성림프구성백혈병
- 수술전 전반적인 혈액검사
- 혈액성분.
- [간경변증환자][위암수술환자][만성신부전환자][정상분만환자][천식환자]간경변증환자 케이스...
- 투약. 약물간호. 용법. 용량. 작용. 부작용
- 간경화 케이스[A+]
- 신종감염병과 기존 호흡기 질환의 원인, 증상, 치료 A+ (메르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신종...
- 갑상샘 질환의 치료와 간호(갑상샘 질환의 치료와 간호 1) 갑상샘기능항진증 hyperthyroidism...
- 고위험 신생아(패혈증) 및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과정
- 조혈장애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전염성 단핵구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