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남북한 국어 맞춤법 개정의 과정 개요 (언어)
1. 들어가며
2. 남북 맞춤법 개정의 과정
3. 남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4. 북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1. 들어가며
2. 남북 맞춤법 개정의 과정
3. 남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4. 북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본문내용
말 규범집』이 개정되었다.
북한은 이전의『조선어 철자법』에서는 띄어쓰기, 표준발음법, 문장부호를 맞춤법에 포함시켜 함께 다루었으나, 1966년의『조선말 규범집』에서부터 나누어 다루게 된다. 즉,『조선말 규범집』에서 맞춤법은 단어 내부의 표기만으로 한정한 것이다. 남한의 맞춤법이 여전히 띄어쓰기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는 차이를 보이는 태도라 하겠다.
북한은 이전의『조선어 철자법』에서는 띄어쓰기, 표준발음법, 문장부호를 맞춤법에 포함시켜 함께 다루었으나, 1966년의『조선말 규범집』에서부터 나누어 다루게 된다. 즉,『조선말 규범집』에서 맞춤법은 단어 내부의 표기만으로 한정한 것이다. 남한의 맞춤법이 여전히 띄어쓰기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과는 차이를 보이는 태도라 하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티비, 신문, 통신에서 나타난 잘못된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신문이나 방송에서 나오는 맞춤법 오류들
tv에서 보이는 한글 맞춤법 오류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남북언어][남한 언어][북한 언어][남북언어정책][언어문화][언어관][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선행연구, 남북한어휘(남한과 북한의 어휘)의 차이, 남북...
남북한의언어비교연구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A형(한자 차용 표기법의 원리와 이두,구결,향찰)
2007년 1학기 맞춤법과표준어 C형(개화기의 어문 정리 운동)
[★우수레포트★][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 실태 조사와 특징 및 올바른 한글 사용 방안 및 전망
통일을 대비한 국어교육의 현황과 대책
남북한의 통일 후 언어문제와 그 해결방안
[인문과학] 한국어음운론)훈민정음 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