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작가소개
Ⅱ. 작품개관
Ⅲ. ‘늑대’와 욕망
Ⅳ. 인물분석
1. 늙은 사냥꾼
2. 촌장
3. 허와
Ⅴ. 흔들리는 정체성과 갖지 못할 욕망
1. 흔들리는 정체성
2. 갖지 못할 욕망
Ⅵ.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욕망
Ⅱ. 작품개관
Ⅲ. ‘늑대’와 욕망
Ⅳ. 인물분석
1. 늙은 사냥꾼
2. 촌장
3. 허와
Ⅴ. 흔들리는 정체성과 갖지 못할 욕망
1. 흔들리는 정체성
2. 갖지 못할 욕망
Ⅵ.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욕망
본문내용
열망하고, 검은 늑대 역시 그를 열망한다. 검은 늑대는 잡힐 듯이 잡히지 않는다. 허와를 소유하고 있지만, 온전히 소유하지 못한 것과 같다. 결국 검은 늑대와 허와는 사냥꾼이 욕망하는 것이지만, 끝내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나는 한 사냥꾼 노인을 쫓고 있습니다. 그의 목덜미를 물어 숨통을 끊어놓을 생각입니다. 그가 나를 열망하듯이 나 역시 그를 열망합니다. 자작나무 아래, 나는 뜨거운 눈을 깔고 엎드렸습니다. 참으로 길고 고단한 여행이었습니다. 나도 가련하지만 저들도 가련합니다. 저들도 나처럼 늘 배고픈 겁니다. 우리는 그렇게 태어난 존재들입니다. (220쪽)
Ⅵ.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욕망
검은 늑대는 사냥꾼의 숨통을 끊어놓겠다고 한다. 사냥꾼은 질투에 불타 그토록 열망하던 허와를 결국 자신의 손으로 죽이게 된다. 이는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어가는 허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사냥꾼의 숨통을 끊어놓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욕망하는 것을 붙잡는 순간 어디론가 달아나버리고 만다는 역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의 욕망이 대면할 수 밖에 없는 비극의 이면에는, 자본주의라는 존재가 가장 거대하게 자리 잡고 있다.
1. 소설 속 자본주의의 시작
‘……가축 머릿수를 헤아렸습니다. 소 백오십 마리, 염소와 양이 각각 이백여 마리, 그리고 서른세 마리의 말과 열두 마리의 낙타를 공무원은 서류에 기록한 후 이제부터 이것들은 당신 소유요, 했습니다.”
2. 자본주의의 특성
‘한 잔의 수테채가, 하룻밤 게르의 잠이 돈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장작을 패는 나의 노동이, 늑대를 좇는 동행이 벌이가 되었습니다. 그뿐입니까. 게르 천창으로 빛나는 별과 스미는 달빛이, 지나는 바람과 내리는 눈이 역시 돈의 현영처럼 손님들을 끌어왔습니다. 그리고 나는 내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 때로는 여자까지 도시로 나가 사야 했지요.’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이렇게 모든 것이 ‘돈’으로 대표되는 가치로 환산되고 있다. 또한 ‘돈’을 가진 자는 인간조차도 돈으로서 소유할 수 있게 되어버리고, 인간 역시 하나의 상품이 되어버린다.
3. 끊임없는 욕망의 맹목성
나비 채집가가 사향제비나비 표본을 갖고 싶어하는 이치’와 같은 맹목적인 것. 아무리 채우려 해도 채워지지 않는 것.
(늑대가 끊임없이 살생을 저지르는 것처럼)
4. 욕망은 소금물과 같은 것.
현대 사회에서 황금만능주의, 성의 상품화 같은 것들도 이와 같은 욕망으로 볼 수 있으며, 토론해 볼 필요가 있다.
나는 한 사냥꾼 노인을 쫓고 있습니다. 그의 목덜미를 물어 숨통을 끊어놓을 생각입니다. 그가 나를 열망하듯이 나 역시 그를 열망합니다. 자작나무 아래, 나는 뜨거운 눈을 깔고 엎드렸습니다. 참으로 길고 고단한 여행이었습니다. 나도 가련하지만 저들도 가련합니다. 저들도 나처럼 늘 배고픈 겁니다. 우리는 그렇게 태어난 존재들입니다. (220쪽)
Ⅵ. 자본주의 사회의 인간 욕망
검은 늑대는 사냥꾼의 숨통을 끊어놓겠다고 한다. 사냥꾼은 질투에 불타 그토록 열망하던 허와를 결국 자신의 손으로 죽이게 된다. 이는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어가는 허와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사냥꾼의 숨통을 끊어놓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욕망하는 것을 붙잡는 순간 어디론가 달아나버리고 만다는 역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의 욕망이 대면할 수 밖에 없는 비극의 이면에는, 자본주의라는 존재가 가장 거대하게 자리 잡고 있다.
1. 소설 속 자본주의의 시작
‘……가축 머릿수를 헤아렸습니다. 소 백오십 마리, 염소와 양이 각각 이백여 마리, 그리고 서른세 마리의 말과 열두 마리의 낙타를 공무원은 서류에 기록한 후 이제부터 이것들은 당신 소유요, 했습니다.”
2. 자본주의의 특성
‘한 잔의 수테채가, 하룻밤 게르의 잠이 돈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장작을 패는 나의 노동이, 늑대를 좇는 동행이 벌이가 되었습니다. 그뿐입니까. 게르 천창으로 빛나는 별과 스미는 달빛이, 지나는 바람과 내리는 눈이 역시 돈의 현영처럼 손님들을 끌어왔습니다. 그리고 나는 내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 때로는 여자까지 도시로 나가 사야 했지요.’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이렇게 모든 것이 ‘돈’으로 대표되는 가치로 환산되고 있다. 또한 ‘돈’을 가진 자는 인간조차도 돈으로서 소유할 수 있게 되어버리고, 인간 역시 하나의 상품이 되어버린다.
3. 끊임없는 욕망의 맹목성
나비 채집가가 사향제비나비 표본을 갖고 싶어하는 이치’와 같은 맹목적인 것. 아무리 채우려 해도 채워지지 않는 것.
(늑대가 끊임없이 살생을 저지르는 것처럼)
4. 욕망은 소금물과 같은 것.
현대 사회에서 황금만능주의, 성의 상품화 같은 것들도 이와 같은 욕망으로 볼 수 있으며, 토론해 볼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읽고
Harold Pinter의 Homecoming - 욕망[desire, 欲望]으로의 귀향
한국정치학의 정체성과 탈식민주의- 한국학문의 언어구조와 욕망의 정치학 -
들뢰즈 욕망 및 미시 거시 정치
<자본주의와 학교교육>을 읽고 요약하기
최윤 - 마네킹을 읽고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정신적 성찰
[늑대소녀이야기]와 [Aveyron의 야생아에 관한 보고]
(독서감상문) 승자독식사회를 읽고
앤소니기든스의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을읽고
[레포트] 낭비와 욕망 쓰레기의 사회사
용감한 여성들 늑대를 타고 달리는
[적응] 적응의 의미와 인간의 욕구(생리적 욕구, 자극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적 욕구)
(A+ 레포트,시험대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방어기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