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배경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
3. 지방행정기구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행정정책
5.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의 특징
6. 1910년~1945년까지의 일제 36년간의 식민통치
7. 조선총독의 권한
8. 조선총독부의 행정정책
9. 조선총독부 행정의 특징
2.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성립
3. 지방행정기구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행정정책
5.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의 특징
6. 1910년~1945년까지의 일제 36년간의 식민통치
7. 조선총독의 권한
8. 조선총독부의 행정정책
9. 조선총독부 행정의 특징
본문내용
의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군국주의 노선을 채택하게 되었고 종래의 기만적인 탈을 벗어 던지고 군국주의를 노골화함. 일본이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한국은 결과적으로 일본의 병참기지국이 되었고 모든 인적물적인 수탈을 당함.
9. 조선총독부 행정의 특징
◎ 직접지배방식 : 일제는 중앙행정관서에 차관이하 다수의 일본인 관리를, 일부 도에 도 장관 이하 다수의 일본인 관리를 배치. 관리의 등용에서도 일본인으로만 중요한 관직을 채움. 종전의 친일귀족이나 친일관료들마저도 정치행정상의 참여가 배제됨.
◎ 식민통치의 독재권 부여 : 조선통치에 관한 사항은 거의 전적으로 총독에게 위임됨.
◎ 행정 집행상의 독재 : 당시 일본의 천왕도 행정 절차상의제한을 받고 있었는데 조선총독의 권력은 조선통치에 관한 한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음. 본국 천왕의 경우, 국민의 참정권에 의해 권력행사가 적어도 제한을 받고 있었지만, 식민지의 조선의 경우 참정권이 없으므로 제한을 받지 않음.
식민지 조선도 헌법과 법률에 의해 일본 본국 헌법이 정한 권리의무가 한국에서도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수사정이란 애매한 말로 한국국민에게는 일본 본국의 헌법이 적용되지 않음.
9. 조선총독부 행정의 특징
◎ 직접지배방식 : 일제는 중앙행정관서에 차관이하 다수의 일본인 관리를, 일부 도에 도 장관 이하 다수의 일본인 관리를 배치. 관리의 등용에서도 일본인으로만 중요한 관직을 채움. 종전의 친일귀족이나 친일관료들마저도 정치행정상의 참여가 배제됨.
◎ 식민통치의 독재권 부여 : 조선통치에 관한 사항은 거의 전적으로 총독에게 위임됨.
◎ 행정 집행상의 독재 : 당시 일본의 천왕도 행정 절차상의제한을 받고 있었는데 조선총독의 권력은 조선통치에 관한 한 이러한 제한을 받지 않음. 본국 천왕의 경우, 국민의 참정권에 의해 권력행사가 적어도 제한을 받고 있었지만, 식민지의 조선의 경우 참정권이 없으므로 제한을 받지 않음.
식민지 조선도 헌법과 법률에 의해 일본 본국 헌법이 정한 권리의무가 한국에서도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특수사정이란 애매한 말로 한국국민에게는 일본 본국의 헌법이 적용되지 않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