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제국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한제국의 성립

(1) 성립

(2) 정치

(3) 경제

(4) 사회․교육

◈ 제국의 성격

◈대한제국의 멸망

본문내용

다. 경운궁에서 원구단 정문에 이르는 길가는 축기를 들고 환호하는 군중들로 메워졌다. 고종이 원구단에서 고천지제(告天地祭)를 올리고, 의정대신 심순택이 백관을 거느리고 궤봉(**奉)하는 가운데, 즉위단(卽位壇) 금의상좌(金椅上坐)에 오름으로써 식은 끝났다. 다음 13일에는 조서(詔書)를 내려 제위에 오른 것과 국호를 새로 대한(大韓)으로 정하였음을 선포하였고, 이어 14일에는 이 사실들이 외부(外部)에 의하여 각국 공 영사관으로 통보되었다.[註4] 이로써 대한제국(大韓帝國)이 성립되었으며, 이 새 제국은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임을 내외에 선언한 것이다. 이와 같은 1897년의 대한제국의 성립은 국제정치의 안목에서 보면 조선에 있어서의 청의 후퇴와 열강의 세력균형을 배경으로 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안으로는 대한제국의 성립은 자주독립국으로서 청 일 노 중 그 어느 나라의 내정간섭도 받지 않겠다는 의사표시였으나, 그것은 한갖 상징적인 선언이었을 뿐 대한제국의 구조는 아직 취약한 것으로서 그동안 누적되어 많은 난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었다. 무엇보다도 자주독립을 완전히 회복하기 위해 이권의 양여 및 침탈을 중단시키고 외세의 내정간섭을 배격하여 자주권의 침해를 막고 각 부문에서의 자주독립의 내실을 기해야만 했다. 또한 민중이 이미 자유와 평등 및 자기들의 인권을 스스로 주장할 만큼 성장했으므로 그들의 요청을 실현시켜 줌으로써 민중의 힘으로 자주 독립을 지킬 수 있게 하여야 했으며, 국제 세력균형을 이용해서 이루어진 대한제국의 자주독립을 세력균형이 깨지는 경우에 있을 열강의 침략을 막고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실력을 배양해야만 했다.
이처럼 대한제국의 기본성격은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는 근대개혁을 추진하지만 정치적 측면에서는 왕권의 절대화를 지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불균형적인 근대화 정책으로는 당시 시대가 요구하는 급속한 개혁을 이룰 수 없었다. 더구나 1904년 노일전쟁이 발발하고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의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그 개혁속도마저 크게 떨어지고 말았다.
일본은 1905년 7월 20일에는 군사경찰훈령(軍事警察訓令)을 만들어 치안권을 빼앗았으며, 8월 22일에는 한일외국인고문용빙(韓日外國人顧問傭聘)에 관한 협정서로 재정권을 빼앗아갔고, 1905년 11월 17일에는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을 강탈하여 갔다. 그리고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이 강제 체결됨으로써 대한제국은 멸망하였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5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