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3. 뒤르켐을 통해 본 월드컵
4. 월드컵의 이면
4. 마치며
2.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3. 뒤르켐을 통해 본 월드컵
4. 월드컵의 이면
4. 마치며
본문내용
강제한다고 보았다. 그런 관점은 현재 사회가 가장 안정적이라는 현상유지적 이데올로기를 제공한다. 현 시대를 지배하고 있는 기득권층의 지배논리를 합리하는 데 동원되는 것이다. 때문에 지금까지 뒤르켐의 이론은 현대사회에 그 영향을 강하게 미치고 있으며 동시에 비판도 많이 받고 있다. 월드컵은 단순한 축구행사가 아니다. 우리는 스포츠가 사회구성원의 통합이라는 명목 하에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특히나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특히 우리나라에서의 월드컵은 여타 스포츠행사보다 민족주의와 같은 집단의식을 자극하는 그 강도가 강하다.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통합은 매우 중요하다고 보나, 그 속에서 개인은 존재하지 않고 오로지 사회만 존재하고 개인을 옥죈다는 데에 뒤르켐의 이론이 매우 무섭게 느껴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