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의 개념과 기획의 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기획의 개념과 기획의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프로그램의 기획과 목표
2, 기획의 필요성
3, 기획의 과정
4, 사회복지 프로포절

본문내용

).
첫째, 문제 확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해당 지역사회 또는 전체 사회의 문제가 되는
상황의 본질이 무엇인지, 문제의 크기와 심각성 정도가 객관적 통계 및 자료를 통해 제시
되었는지, 문제가 되는 상황으로부터 개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또 그 결과가
무엇인지,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되는 주요 요인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등이 명백히
기술되어야 한다.
둘째 대상 집단 의 설정 단계이다 , (target) . 이 단계에서는 각 인구집단의 크기와 성격이 분명하게 규정되었는지, 각 인구집단은 타당한 근거를 기초로 추정되었는지에 대해 객관적
으로 기술해야 한다.
셋째, 실행의 구조화 단계로서 여기서는 프로그램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게 하는
이론적 근거가 있는지, 프로그램으로 하위 목표들을 달성할 수 있는지, 프로그램에 투입되
는 인력의 수준과 자격요건이 명시되어 있는지, 장소, 시설, 장비 등 프로그램 환경이 잘
서술되어 있는지, 서비스 과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넷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목적이 명
확하게 제시되어 있는지, 프로그램 목적은 관련 문제와 확실하게 연관되어 있는지, 프로그
램 목표가 측정 가능한 숫자와 용어를 명확히 기술되어 있는지, 프로그램 목표가 프로그
램의 필요성과 명확히 연관되어 있는지, 프로그램 목표들이 중요성이나 필요성의 순서로
잘 서열화 되어 있는지 등을 점검해야 한다.
다섯째, 프로그램 활동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실행 방법이 구체적으로 서술
되어 있는지, 어떤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지가 명백하게 서술되어 있는지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여섯째, 평가 단계이다. 여기서는 평가지표가 프로그램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 평가지표를 측정하는 도구가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고 있는지, 목표달성 여부를 평가하
기 위한 조사 설계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1998.
김영종, 「복지행정론」, 형설출판사, 2002.
김정헌, 「복지행정론」, 인쇄마당, 2000.
김태수, 「복지행정론」, 대영문화사, 1998.
박성복, 「공공복지의 이해」, 대구대학교출판부, 2002.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법문사, 1996.
송근원, 「복지행정 이론과 가치의 문제」, 대신대학교 복지행정연구소, 1992.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11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86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