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연구목적
∘ 사회 방언
1) 방언의 정의
2) 표준 영어
3) 토속어
∘ 사회적 지위
1) 사회적 지위와 언어
가) 브라만과 비 브라만의 언어분화
나) 자바의 사회 방언
∘ 사회 계층
1) 사회 계층의 개념
2) 영어권 국가의 사회계층과 언어의 패턴
가) [h]발음의 탈락
나) [r]발음으로 인한 사회적 계층화
다) 뉴질랜드인들의 모음 발음
라) 비영어권 국가의 사회 언어학적 패턴
3) 문법적 패턴
∘ 결론
∘ 사회 방언
1) 방언의 정의
2) 표준 영어
3) 토속어
∘ 사회적 지위
1) 사회적 지위와 언어
가) 브라만과 비 브라만의 언어분화
나) 자바의 사회 방언
∘ 사회 계층
1) 사회 계층의 개념
2) 영어권 국가의 사회계층과 언어의 패턴
가) [h]발음의 탈락
나) [r]발음으로 인한 사회적 계층화
다) 뉴질랜드인들의 모음 발음
라) 비영어권 국가의 사회 언어학적 패턴
3) 문법적 패턴
∘ 결론
본문내용
간의 관계에 작용하는 발음의 영향은 명백히 밝혀졌다. 그림 6.5에 보듯이, 상위 계층일수록 표준 문법 체계를 많이 사용하고 방언이나 비표준적 요소를 배제한다. 그림 6.5에 나타난 패턴은, 일반동사 3인칭 단수 현재 시제의 표현에서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차이가 현격함을 나타내고 있다. 중간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비표준적 문법 요소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인지도가 보다 높으며, 이러한 인식이 반영되어 세부적인 면에서의 비표준적 문법 요소 발현 빈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림 6.5: Vernacular present tense verb forms (3rd person singular: she walk) in Norwich and Detroit. (This diagram was constructed from data in Trudgill 1983a: 44 and Wolfram and Fasold 1974)
표준 영문법은 한 절(節)에서 1회의 부정만 허용하지만, 대다수의 방언에서는 두 번 이상의 부정이 나타난다. 일부 방언에서는 부정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부정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뉴욕의 젊은 폭력배가 구사한 부정 표현이다.
(9) It ain't no cat can't get in no coop.
The meaning of this utterance in context was
(10) There isn't any cat that can get into any (pigeon) coop.
Sentence (11) comes from an adolescent in Detroit:
(11) We ain't had no trouble about none of us pulling out no knife.
복수부정의 문법형태는 방언에 대한 조사가 시행된 모든 영어권 집단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집단에서, 중간 계층보다 하위 계층에서의 복수부정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계층에서의 복수부정은 매우 드물어서, 하위 계층과는 극적인 대조를 보였다. 복수부정은 매우 ‘튀는’ 비표준적 형태이다. 단어 끝에서의 [t]발음은 성문 폐쇄음으로 내야 하는 것이 표준임에도 쉽사리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단 한번이라도 복수부정이 사용되면 금세 이를 알 수 있다.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이 복수부정의 사용에서 극적인 격차를 보임은 바로 이러한 두드러짐을 반영하고 있다. 즉, 중간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알아차리기 쉬운 오류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하위 계층의 사람들은 이에 별로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언어표현과 사회적 지위의 연관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부득이하게 커다란 변수를 간과하고 말았다. 비표준적/표준적 표현의 비율이 변화하는 과정에는 수많은 요소들이 작용하게 마련이다. 사회적 요소로서의 화자의 성별과 연령에 관한 문제는 조만간 다루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앞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단어의 사용에 관한 언어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 예로, 표 6.3에서 프랑스어의 언어 환경이 [l]발음의 생략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영어에서는, 다른 단어를 위시하고, got에 선행하는 보조동사 have는 종종 생략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는 화자의 어휘적 배경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방언학자들은 사회적 다양성의 영향력을 조사하기에 앞서, 언어활동이 발생하는 언어 환경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결론
화자의 언어 표현 방식은 화자의 사회적 배경을 나타내 주는 좋은 척도이다. 물론 다른 수많은 언어적 특징들 또한 그러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사회언어학자들은 다양성을 보이는 한 집단 내에서의 언어적 특징의 대부분은 각 사회적 계층 간에 패턴을 형성하여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몇몇 요소들은 매우 안정적이어서 그 사용 패턴이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다년간 특정 사회 계층 구성원과 상호 연관되고 있다. -[iŋ]과 -[in] 발음의 대조, [h]- 발음의 탈락현상 등은 예측 가능한 안정적 요소의 대표적 예이다. 또한 복수부정이나 시제표현등의 문법적 요소들도 안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는 모든 영어 사용권 집단의 연구에 포함하기에 알맞은 요소들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한 집단 내의 사회언어학적 분석에 있어 신뢰성 높은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적 변수가 영미권의 중간 계층과 하위 혹은 노동 계층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h]- 발음의 탈락현상과 [iŋ] 과 [in]발음의 대조가 Norwich에서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현저한 차이를 야기한다. 그림 6.5에서 보듯이 문법적 변수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 사이에서 비표준적 형태의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변수들이 언제까지나 안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실 그러한 변수들은 때때로 언어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식이 되곤 한다. 언어의 변화는 하룻밤 새에 급격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서 사람으로, 집단에서 집단으로 서서히 퍼져 나가게 된다.
맺음말
사회 방언은 어쩌면 사회언어학을 연구함에 있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에 따라 분화되는 언어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언어학에 있어서 계층, 세대, 성별의 차이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언어가 분화된다는 사회 방언의 개념이야말로 사회언어학, 그 자체가 아닌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범위적 측면에서 보아도 Labov와 Trudgill의 연구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대, 성별에 따른 차이까지도 포함하였기 때문에 계층이라는 부분만을 따로 떼어서 연구한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문들마저도 직접 녹음한 자료를 글로써 표현해 놓았기 때문에 그것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장 큰 난제였다. 힘들게 번역을 마치고 이해를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그 연구의 대상이 우리나라였다면 의미가 더욱 크지 않았을까 라는 점이었다. 앞으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그림 6.5: Vernacular present tense verb forms (3rd person singular: she walk) in Norwich and Detroit. (This diagram was constructed from data in Trudgill 1983a: 44 and Wolfram and Fasold 1974)
표준 영문법은 한 절(節)에서 1회의 부정만 허용하지만, 대다수의 방언에서는 두 번 이상의 부정이 나타난다. 일부 방언에서는 부정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부정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뉴욕의 젊은 폭력배가 구사한 부정 표현이다.
(9) It ain't no cat can't get in no coop.
The meaning of this utterance in context was
(10) There isn't any cat that can get into any (pigeon) coop.
Sentence (11) comes from an adolescent in Detroit:
(11) We ain't had no trouble about none of us pulling out no knife.
복수부정의 문법형태는 방언에 대한 조사가 시행된 모든 영어권 집단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집단에서, 중간 계층보다 하위 계층에서의 복수부정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계층에서의 복수부정은 매우 드물어서, 하위 계층과는 극적인 대조를 보였다. 복수부정은 매우 ‘튀는’ 비표준적 형태이다. 단어 끝에서의 [t]발음은 성문 폐쇄음으로 내야 하는 것이 표준임에도 쉽사리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과는 달리, 단 한번이라도 복수부정이 사용되면 금세 이를 알 수 있다.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이 복수부정의 사용에서 극적인 격차를 보임은 바로 이러한 두드러짐을 반영하고 있다. 즉, 중간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이러한 알아차리기 쉬운 오류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고, 하위 계층의 사람들은 이에 별로 구애받지 않는 것이다.
언어표현과 사회적 지위의 연관성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부득이하게 커다란 변수를 간과하고 말았다. 비표준적/표준적 표현의 비율이 변화하는 과정에는 수많은 요소들이 작용하게 마련이다. 사회적 요소로서의 화자의 성별과 연령에 관한 문제는 조만간 다루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앞서 잠시 언급한 것처럼, 단어의 사용에 관한 언어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그 예로, 표 6.3에서 프랑스어의 언어 환경이 [l]발음의 생략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영어에서는, 다른 단어를 위시하고, got에 선행하는 보조동사 have는 종종 생략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는 화자의 어휘적 배경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방언학자들은 사회적 다양성의 영향력을 조사하기에 앞서, 언어활동이 발생하는 언어 환경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결론
화자의 언어 표현 방식은 화자의 사회적 배경을 나타내 주는 좋은 척도이다. 물론 다른 수많은 언어적 특징들 또한 그러한 척도가 될 수 있다. 사회언어학자들은 다양성을 보이는 한 집단 내에서의 언어적 특징의 대부분은 각 사회적 계층 간에 패턴을 형성하여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몇몇 요소들은 매우 안정적이어서 그 사용 패턴이 예측 가능한 방향으로 다년간 특정 사회 계층 구성원과 상호 연관되고 있다. -[iŋ]과 -[in] 발음의 대조, [h]- 발음의 탈락현상 등은 예측 가능한 안정적 요소의 대표적 예이다. 또한 복수부정이나 시제표현등의 문법적 요소들도 안정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는 모든 영어 사용권 집단의 연구에 포함하기에 알맞은 요소들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한 집단 내의 사회언어학적 분석에 있어 신뢰성 높은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적 변수가 영미권의 중간 계층과 하위 혹은 노동 계층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h]- 발음의 탈락현상과 [iŋ] 과 [in]발음의 대조가 Norwich에서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간의 현저한 차이를 야기한다. 그림 6.5에서 보듯이 문법적 변수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중간 계층과 하위 계층 사이에서 비표준적 형태의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변수들이 언제까지나 안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실 그러한 변수들은 때때로 언어가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표식이 되곤 한다. 언어의 변화는 하룻밤 새에 급격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서 사람으로, 집단에서 집단으로 서서히 퍼져 나가게 된다.
맺음말
사회 방언은 어쩌면 사회언어학을 연구함에 있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사회에 따라 분화되는 언어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언어학에 있어서 계층, 세대, 성별의 차이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언어가 분화된다는 사회 방언의 개념이야말로 사회언어학, 그 자체가 아닌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범위적 측면에서 보아도 Labov와 Trudgill의 연구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대, 성별에 따른 차이까지도 포함하였기 때문에 계층이라는 부분만을 따로 떼어서 연구한다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문들마저도 직접 녹음한 자료를 글로써 표현해 놓았기 때문에 그것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장 큰 난제였다. 힘들게 번역을 마치고 이해를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부분은 그 연구의 대상이 우리나라였다면 의미가 더욱 크지 않았을까 라는 점이었다. 앞으로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라며 글을 마친다.
추천자료
<이중나선>-로저린느를 통해 본 과학분야에서의 여성의 지위
[A+]언어와 문화(인문지리학)
[프랑스][프랑스문화][프랑스의 문화]프랑스의 지리적 배경, 프랑스의 역사, 프랑스의 정부구...
[교육평가][교과평가]국어교과교육평가(국어과교육평가), 영어교과교육평가(영어과교육평가),...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현대의 청소년) 청소년의 지위, 사회정책과 청소년의 발달
언어간 의사소통의 사회 언어학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
[기술, 기술 개념, 기술 특징, 기술 변동요인, 기술 획득방식, 기술 사회적 구성론과 형성론]...
[아동과학] 아동과학교육과 관련하여 비고츠키의 사회 문화적 인지발달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敎育)의 사회적 기초 (교육과 사회학의 관계, 사회이론과 교육, 교육의 사회적 기능, 교...
[성사랑사회 D형] 여성이 하는 많은 일들이 사회적으로 정당한 인정을 받기 어려운 이유는 무...
유아발달 A형 유아기 사회인지 발달과 언어발달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하고 사회인지 발달...
[사회학적 노화] 사회학적 노화이론 사회적 노화의 개념과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