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문명의 왜곡과 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문명의 왜곡과 미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그리스문명의 왜곡과 미화 - 왜곡된 거울 닦기!

*미화된 그리스 문명
*오리엔탈리즘
*서양 문명의 시작 - 그리스 문명
cf. 헬레니즘

1. 그리스의 거울 - 동양
§그리스인의 동양 인식 양상 및 원인
§인식 사례
-구분의식 : “저들은 우리와 다르다”
-우월의식 : “저들은 우리보다 뒤떨어진다”

2. 왜곡된 거울 닦기
§헬레네스와 바르바로이
§그리스인이 자랑하던 “자유”
-민주주의 : “그리스의 모든 시민은 평등하며 자유를 누릴 권리가 있다”
§그리스인이 자랑하던 “검소함”
§그리스인이 자랑하던 “지성과 합리성”

3. 또다른 우리의 거울
-이집트와 페르시아에 대한 우리의 인식 : 피라미드를 중심으로
-우리의 거울

본문내용

성과 합리성”
-높은 수준의 지식과 문화
문자의 기원만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그리스인들은 기원전 800년경에 페니키아인들의 알파벳을 차용했다. 그리고 그들에 의해 다시 다듬어진 알파벳은 에트루리아어, 라틴어, 그리고 슬라브족의 키릴어의 토대가 되었다. 이처럼 알파벳은 동부 지중해 문명의 교차 지점에서 일련의 문화적 상호 작용으로부터 생겨난 것이었다. 조셉 폰타다 <거울에 비친 유럽> 새물결, 1999, p.28
또한 역사적으로 볼 때 카르타고인은 아테네인들에 비해 문자해독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잔혹함과 동성애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보면 그리스인간의 전쟁에서 승자는 패자에 대해 절대적인 권한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전쟁 후 ‘시체를 절단하는 의식 행위’는 승자가 누릴 수 있는 권리였다고 한다. 또한 BC621년 경 아테네의 입법자인 드라콘이 만든 법전을 보면 당시 법이 매우 잔인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테네인은 먹는 것과 색에 탐닉하는 쾌락주의자였다. J. N. Davidson, Courtesans and Fishcakes : The Consuming Passions of Classical Athens, London, 1997
3. 또다른 우리의 거울
-이집트와 페르시아에 대한 우리의 인식 : 피라미드를 중심으로
우리는 흔히 피라미드 건설을 생각하면 노예들을 향해 채찍을 내리치는 군인 커다란 바위를 수없이 옮기는 노예들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기원전 450여년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 의 ‘역사’에서 쓰인 기록이 바탕 되어 지금까지 내려온 것 뿐, 실제는 이와 약간 다르다.
최근 이집트 학자 자하이 하와스 팀이 발굴한 유적 중 피라미드 건설 장정 동안 기자 고원 기슭에서 생활했던 일꾼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탐험대는 약 600명의 일군이 안치된 공동묘지를 발견하였는데, 척추가 눌리거나 치명상을 입은 시신으로 보아 돌을 옮기는 중노동자들의 묘지로 추정됐다. 일꾼들 무덤의 일부에는 진흙 벽돌로 만든 2m 정도의 미니 피라미드가 장식되어있었다. 이는 일꾼들의 죽음을 애도하며 세운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사상 노예제를 존속한 어떤 국가에서도 노예를 위한 묘를 만들지 않았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집트인들은 단순히 폭력만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피라미드를 건설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행위를 했다는 흔적도 발견되어 위의 의견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그리스인이 시선과는 달리 이집트의 노예들은 단순 노예가 아닌 노동자의 대우를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의료, 위로 행위 말고도 아니라 증거는 더 있다.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의 범람기간 (3달) 동안 농사를 짓지 못하기 때문에 이 시기를 이용해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노예들에게 노동의 대가를 지불 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그리스인,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기술된 내용은 후세인들이 그리스인을 미화시키기 위해, 문명 적으로 좀 더 우월함을 강조하기 위해 쓴 것으로 짐작 할 수 있다.
-우리의 거울
우리의 왜곡된 거울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거울을 닦아내기 위해 어떻게 행동 해야하나?
강철구는 그의 저서 <역사와 이데올로기>에서 ‘미화되고 이상화된 그리스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에는 발표를 시작할 때 같이 본 애니메이션 뿐 아니라,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관련된 많은 상품이 있다. 서양인의 경우에는 자기 역사를 분식시키려 나선다고 쳐도 우리가 그리스를 칭송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우리는 그리스를 바르게 이해함으로써 유럽인들이 구축해놓은 이분법적인 세계사 인식의 잘못된 틀을 넘어서야 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9.23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0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