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역사과교재론 및 지도론 교과서 만들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역사과교재론 및 지도론 교과서 만들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초등 역사과 교재론 및 지도론>
5학년 사회 교과서 내용분석 및 소단원 개발

■ 선택 단원
5학년 1학기 1단원 <1. 하나 된 겨레>

■ 단원 체계 및 내용 비판

■ 교과서 만들기

본문내용

건국이야기 ‘단군신화’에 반영되어 있는 사고는 단군이 민족의 시조이며 지금의 후손은 단군의 자손으로 단일 혈통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군신화’에 대해 과거에도 지금처럼 동일하게 인식한 것은 아니다. 청동기 시대의 경우 천손강림설화를 통해 초기 국가의 지배자 권위를 합리화하기 위하여 고조선의 이야기를 이용하였다. 이후 삼국시대에서는 단군신화와 고조선에 대한 인식이 전무했었으며 고려시대에서는 단군신화를 하나의 지방설화로 보았다. 이후 조선시대에서는 단군조선보다 기자조선을 더 중요시 생각했다. 개항기에 이르러 나철의 대종교에서 단군을 민족시조로 한민족을 단군의 자손이며, 단일한 혈통을 지닌 존재로 제시하는데 지금의 교과서는 이러한 나철과 비슷한 의도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나철의 이러한 인식은 일본의 친황제 이데올로기와 후쿠자와 유키치의 영향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사회진화론의 색채가 묻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윈의 진화론을 사회에 도입한 사회진화론은 사회의 빈부격차를 합리화 시키는 도구가 될 수 있다. 현실에 적용해 보았을 때 지금의 빈부격차를 합리화 할 수 있는 그 근본 뿌리가 고조선과 단군신화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다.
교과서 만들기

키워드

역사,   역사과,   교재론,   지도,   지도론,   교과서,   초등역사,   교육학,   교육,   창의적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9.26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2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