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간 생명의 소중함을 서정적으로 그리고 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나아가 그의 소설 속에서는 현실 의식과 역사 의식이 포용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런 뜻에서 황순원 소설의 서정성은 효석(孝石)과 유정(裕貞)을 함께 수용한 것으로 소설의 서사성에 있어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 \'학\'이 6.25를 다룬 다른 소설들과 다른 점
6.25를 다룬 소설들은 대체로 이분법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좌우 선택의 문제가 6.25의 본질적인 면이기는 했지만 소설들 역시 이러한 이분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면이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대체로 극단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는 경향을 낳았다. 그러나 \'학\'은 6.25의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소설들과는 다른 면이 있다. 인간 본연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무효화시킨 것이다.
또한 6.25를 다룬 소설들 중 일부는 인간에 대한 불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소설들이 많다. 그러나 \'학\'은 우정으로써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소설들과는 다르다.
Ⅲ. 결론
황순원의 초기 작품들이 대부분 시간이나 공간 의식이 뚜렷하지 않았음에 비하여 <학(鶴)>은 흥미를 끌기에 충분한 시간적·공간적 배경 즉, 6·25로 인해 쓸쓸하고 삭막한 분위기로 변해 버린 마을을 작품의 발단부에 설정했다. 이것은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국토 분단과 동족 상잔의 참화를 겪은 비극의 현장으로서 \'마을\'은 이 나라 강토를 대유(代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6·25라는 비극의 시대가 무한한 자유를 동경하던 유년 시절과 대립되어 극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황순원의 단편 <학>은 반공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띤 작품이 아니라 오히려 탈이데올로기적인 경향을 띤 작품으로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우정으로써 뛰어넘는 휴머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우리는 이념의 갈등상황을 우정과 생명사랑의 정신으로 극복하려는 작가의 현실극복의지를 엿볼 수 있기도 하다. 따라서 <학>은 이러한 전쟁이 야기한 어두운 현실속에서나마 우정과 따뜻한 인간미로써 현실에 절망하지 않고 극복해 나아가고자 하는 작가의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 참고 문헌》
이태동『황순원』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김종희『황순원』새미. 1998
김윤정『황순원 문학 연구』새미. 2003
장현숙『황순원 문학 연구』푸른 사상사. 2005
* \'학\'이 6.25를 다룬 다른 소설들과 다른 점
6.25를 다룬 소설들은 대체로 이분법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좌우 선택의 문제가 6.25의 본질적인 면이기는 했지만 소설들 역시 이러한 이분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면이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대체로 극단적인 반공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는 경향을 낳았다. 그러나 \'학\'은 6.25의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소설들과는 다른 면이 있다. 인간 본연의 모습을 형상화함으로써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무효화시킨 것이다.
또한 6.25를 다룬 소설들 중 일부는 인간에 대한 불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소설들이 많다. 그러나 \'학\'은 우정으로써 좌우 선택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소설들과는 다르다.
Ⅲ. 결론
황순원의 초기 작품들이 대부분 시간이나 공간 의식이 뚜렷하지 않았음에 비하여 <학(鶴)>은 흥미를 끌기에 충분한 시간적·공간적 배경 즉, 6·25로 인해 쓸쓸하고 삭막한 분위기로 변해 버린 마을을 작품의 발단부에 설정했다. 이것은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국토 분단과 동족 상잔의 참화를 겪은 비극의 현장으로서 \'마을\'은 이 나라 강토를 대유(代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6·25라는 비극의 시대가 무한한 자유를 동경하던 유년 시절과 대립되어 극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황순원의 단편 <학>은 반공 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띤 작품이 아니라 오히려 탈이데올로기적인 경향을 띤 작품으로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우정으로써 뛰어넘는 휴머니즘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우리는 이념의 갈등상황을 우정과 생명사랑의 정신으로 극복하려는 작가의 현실극복의지를 엿볼 수 있기도 하다. 따라서 <학>은 이러한 전쟁이 야기한 어두운 현실속에서나마 우정과 따뜻한 인간미로써 현실에 절망하지 않고 극복해 나아가고자 하는 작가의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 참고 문헌》
이태동『황순원』서강대학교 출판부. 1997
김종희『황순원』새미. 1998
김윤정『황순원 문학 연구』새미. 2003
장현숙『황순원 문학 연구』푸른 사상사. 2005
추천자료
1990년대 현대 소설 연구 동향과 전망 ( 현대소설 )
(현대문학강독) 최서해 작품에 나타난 신경향파적 특징과 1920년대 후반 프로소설의 주요 특징
[채만식][풍자소설]채만식과 풍자소설(채만식의 소설관과 풍자소설, 채만식의 시대비판과 풍...
[국문학] 1920년대 소설에 대하여
2000년대 생태학적 소설 연구
2000년대 생태학적 소설 연구
1960, 70년대 북한소설사 연구
이광수 '무정'을 통하여 본 1930년대 소설
1920년대 소설과 근대적 연애
김동인의 소설 (눈을 겨우 뜰 때...)로 알아본 -1920년대 기생의 연애와 삶 그리고 죽음 -
식민지와 고향 -1920,30년대 소설 작품의 이향과 귀향의 변증법
김원일의「도요새에 관한 명상」을 통해 바라본 1970년대 생태소설 속의 생태의식 연구 (생태...
[문화코드와 콘텐츠]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 포스트모더니즘과 2000년대 한국에서의 일본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