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漢賦)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부(漢賦)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것이 시와의 차이점이다.
<문부>는 송(宋)대 구양수(歐陽修) 이후 산문에 있어 고문이 성행하면서 그 영향 아래 이루어진 부체이다. 이는 변려문의 배격으로 말미암아 산문화한 부로서, 구양수의 「추성부(秋聲賦)」와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같은 명작을 남기고 있다.
부는 형식주의적이고 귀족적인 성향으로 작품의 내용보다 수사에 치중한 특징 때문에 부정적으로만 보기 쉽지만, 한자라는 독특한 상형문자를 사용하는 중국문장에 있어서 온갖 표현 가능성을 개발하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대(漢代)의 칠언시는 사부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것으로, 오언시에 비해 리듬이 장중하고 수식적이라 할 수 있다.
부(賦)에서부터 시작된 문장의 형식주의는 산문과 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서한(西漢)의 문장보다 동한(東漢)의 문장이 더욱 형식화하고 마침내 육조에 변려문이 크게 발달하고 근체시(近體詩)의 바탕이 이룩되는 것 또한 부의 영향이라 할 것이다.
중국문학사상 본격적인 문학작품의 창작은, 비록 수사위주(修辭爲主)였다고는 하나 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신아사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