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것이 시와의 차이점이다.
<문부>는 송(宋)대 구양수(歐陽修) 이후 산문에 있어 고문이 성행하면서 그 영향 아래 이루어진 부체이다. 이는 변려문의 배격으로 말미암아 산문화한 부로서, 구양수의 「추성부(秋聲賦)」와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같은 명작을 남기고 있다.
부는 형식주의적이고 귀족적인 성향으로 작품의 내용보다 수사에 치중한 특징 때문에 부정적으로만 보기 쉽지만, 한자라는 독특한 상형문자를 사용하는 중국문장에 있어서 온갖 표현 가능성을 개발하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대(漢代)의 칠언시는 사부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것으로, 오언시에 비해 리듬이 장중하고 수식적이라 할 수 있다.
부(賦)에서부터 시작된 문장의 형식주의는 산문과 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서한(西漢)의 문장보다 동한(東漢)의 문장이 더욱 형식화하고 마침내 육조에 변려문이 크게 발달하고 근체시(近體詩)의 바탕이 이룩되는 것 또한 부의 영향이라 할 것이다.
중국문학사상 본격적인 문학작품의 창작은, 비록 수사위주(修辭爲主)였다고는 하나 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신아사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문부>는 송(宋)대 구양수(歐陽修) 이후 산문에 있어 고문이 성행하면서 그 영향 아래 이루어진 부체이다. 이는 변려문의 배격으로 말미암아 산문화한 부로서, 구양수의 「추성부(秋聲賦)」와 소식(蘇軾)의 「적벽부(赤壁賦)」같은 명작을 남기고 있다.
부는 형식주의적이고 귀족적인 성향으로 작품의 내용보다 수사에 치중한 특징 때문에 부정적으로만 보기 쉽지만, 한자라는 독특한 상형문자를 사용하는 중국문장에 있어서 온갖 표현 가능성을 개발하는 데에는 큰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대(漢代)의 칠언시는 사부를 바탕으로 하여 발전한 것으로, 오언시에 비해 리듬이 장중하고 수식적이라 할 수 있다.
부(賦)에서부터 시작된 문장의 형식주의는 산문과 시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서한(西漢)의 문장보다 동한(東漢)의 문장이 더욱 형식화하고 마침내 육조에 변려문이 크게 발달하고 근체시(近體詩)의 바탕이 이룩되는 것 또한 부의 영향이라 할 것이다.
중국문학사상 본격적인 문학작품의 창작은, 비록 수사위주(修辭爲主)였다고는 하나 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신아사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키워드
추천자료
가부키
일본과 한국의 결혼 문화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식민지시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성격)
일본인의 일생과 종교
유임하, &#65378;정체성의 우화-반공 증언수기집과 냉전의 기억 만들기&#65379;
박헌호, &#65378;식민지 조선에서 作家가 된다는 것&#65379; 요약&#8228;정리 및...
가부키
한국전쟁 - 원인과 책임을 중심으로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알사스-로렌의 National Identity
유교의 생사관 - (종교성에 관하여) - 종교의 파, 기독교, 불교, 유교
경극문화
아나키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