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뇌 발달 및 뇌의 특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 뇌 발달 및 뇌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뇌 발달의 일반 원칙

Ⅱ시기에 따른 뇌의 발달 및 특성

 머리가 좋다 나쁘다는 대뇌피질의 각 영역이 어떻게 얼마나 잘 발달 했는가? 로 판별이 난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자부 할 수 있는 것도 이 대뇌피질이 다른 포유류보다 훨씬 발달했기 때문이다. 대뇌피질은 꼬불꼬불한 고랑처럼 홈이 파여 있고, 표면에 굵직하게 나 있는 몇몇 홈을 기준으로 앞쪽은 전두엽, 뒤쪽은 후두엽, 양옆은 측두엽, 위쪽은 두정엽으로 영역을 구분한다. 전두엽은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는 부위로 사고와 언어에 대한 일을 관장한다. 두정엽은 신체를 움직이는 일과 입체 공간적 인식기능을 담당한다. 측두엽은 언어적 능력과 청각에 관련된 일을 한다. 후두엽은 눈으로 보고 느끼는 시각적인 정보를 담당한다. 


 


Ⅲ요소에 따른 뇌의 발달 및 특성

Ⅳ뇌의 8가지 신경 발달 계에 따른 특성

Ⅴ아이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어른들이 해야 할 일

본문내용

안 되게 틀림.
산수실력도 상당히 떨어짐. 기본적인 사실들을 기억해 내는데 속도가 느린데다가 종종 나눗셈 같은 간단한계산법도 기억해내지 못했지만. 분수나 자릿값 같은 어려운 사수개념까지는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산수문제 풀이 법을 기억하지 못함.
가장 문제가 많은 영역은 글쓰기 아웃풋.
철자법 구두점사용법 대문자 사용법등 글자모양도 이상.
(구어 아웃풋은 유창. 문어 아웃풋은 더딤)
3.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다스리다_언어계
1) 자동언어-일상생활의 언어→ 뛰어난 화술
교양언어-수업시간, 학문적 읽기 및 쓰기에 사용되는 정제된 언어
2) 구체언어-감각들로부터 곧바로 떠오르는 의미를 가진 단어 (ex. ‘고양이’, ‘소란스럽다’)
추상언어-곧바로 시각화할 수 없는 말(ex. ‘특권층’, ‘반어법’, ‘스포츠맨십’)
→ 고학년이 될 수록 학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성적이 떨어짐
3) 기본언어-실용적, 직설적인 언어
고급언어-추상적, 상징적, 전문적, 추론적, 다소 모호한 언어
→ 학업성적의 부진
4) 수용언어-읽기언어
표현언어-쓰기언어
-의사표현이 서툰아이 [다넬]
언어에 대한 이해력과 표현력 사이에 gap이 큼. (언어해석력은 굉장히 강함. 구어 아웃풋은 매우 약함 )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한 기능퇴화- 쓰지 않음으로써 점차 약해진 상태.
-자멸적인 행동을 멈추기 위한 인식 바로잡기.
관심 있는 분야부터 시작해서 생각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연습 장려.
4. 시간의 질서를 파악하다_순서정렬계
ex. 시간관념의 부재
→ 외출 준비를 제대로 하는 때가 없음
약속 날짜나 시간에 항상 늦음
한꺼번에 서너 가지 일을 해야 할 때면 혼란에 빠짐
ex. 순서지각의 빈약
→ 운동화 끈 묶는 방법을 모름
스파게티 요리법을 잘 기억 못함
여러 단계의 지시사항들을 따르기 어려움 (ex)휴지통 비우고 들어와서 잠옷으로 갈아입고 우유 한 잔 따라 마셔. 그리고 이리 와서 엄마 아빠랑 같이 텔레비전 보자.
5. 공간의 질서를 파악하다_공간정렬
ex. 왼쪽과 오른쪽의 구별이 어려움
물건을 어디에 뒀는지 기억이 안나 늘 찾아 헤맴
셔츠나 속옷을 뒤집어 입기도 함
칠판 내용을 필기하는 것의 어려움
학습의 어려움(ex. 도형의 모양, 원소기호, 적운 구름의 모양 등의 기억이 어려움)
6. 뇌와 근육의 현란한 협주_운동계
ex. 제멋대로 동작(헛손질)-소근육운동(눈-손의 협응운동)
┖야, 넌 어떻게 된 게 버터를 토스트에 바르지 않고 손가락에 바르니?
글씨쓰기의 어려움-쓰기운동
┖저는 d를 쓰려고 하는데, 머리는 손가락에게 b를 쓰라고 그래요.
악기연주의 어려움-음악운동
┖ 피아노 연주 시, 손가락을 순서에 맞춰 빠르게 움직일 수 없어서 좌절함
공놀이의 어려움-대근육운동
┖ 적절할 때, 적절한 곳으로 손을 뻗어 공을 잡지 못함
-운동신경이 둔한아이 [러셀]
창의력은 뛰어나나 멋진 생각을 글로 옮기는 일은 거의 불가능.
아이디어 산출 속도에 비해 글로 옮기는 속도가 매우 느리고 생각보다 내용이 빈약.
글자 쓸 때의 손가락의 비효율성.(글자모양 만들기에 신경을 쓰고 글쓰기의 운동적 측면에 몰두하느라 생각하는 내용이나 문장구조를 잊어버리고 단순화시킴)
**** 구제적인 운동장애를 찾음.
특정 운동 목표 설정하기-운동의 행위의 지표가 될 외부정보의 수집 및 판단- 운동논리학 이용하기- 저장된 순서기억인출해서 적용하기- 운동실행- 동작을 모니터하면서 수정가하기- 운동 경험 통해 배우기
자신의 기능장애를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대해 거리낌 없이 이야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잘못된 인식 바로잡는 과정(신화 벗기기)
7. 생각을 생각하다_고등사고계
(ex) 질량, 속도 등의 개념이해의 어려움
논리적 추론 및 논리적 문제 해결의 어려움
비판적 사고의 어려움
┖ 너무 순진해서 탈인 아이
모든 것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음
특정 법칙이 언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짐
┖ 철자법 규칙, 문법 규칙, 과학 법칙, 수학 법칙
창조적 사고의 어려움
-창의성이 없는 우등생 [로베르타]
품행단정하고 성실하며 A,B학점만 받는 우등생- 정보와 기술의 흡수, 유지, 인출 우수.
자신의 의견을 내는 에세이 형식에서는 무능. 개인적 예측, 추정, 해석 힘듬.
****브레인 스토밍과 발상훈련
브레인스토밍: 머릿속을 파고들어 가치 있는 생각이나 해결법을 찾아내는 과정.
창의성, 비판적 사고, 독자적 해석과 분석 하도록 배려
8. 친구를 사귀다_사회적 사고계
ex. 친구를 새로 사귀거나 이미 사귄 친구와 잘 지내는 등의 관계를 생성 혹은 유지하는 데 서투름
협동심을 발휘해 단체로 일을 할 때나 친구들과의 싸움에 능숙하게 대처하지 못함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은 자신이 노출되는 괴로움을 맛보면서 날마다 수치심을 느끼며 살아감
사회성이 너무 뛰어나도 문제
┖ 대인관계에 집착→ 공부, 운동 등의 다른 분야에 소홀
┖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 특히 성적이 좋지 않은 아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누구나 강점과 약점이 있음을 인식. 자신만이 문제가 있지 않음을 깨닫게 함.
서번트 신드롬 http://blog.naver.com/miriwany?Redirect=Log&logNo=30049142894&vid=0
Ⅴ아이들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어른들이 해야 할 일
-아웃풋을 북돋워 주고 칭찬해 주어라. 아이의 아웃풋을 북돋워주고 자주 칭찬해 줌으로써 일을 덜 일같이 느끼게 해줄 수 있다. 아이가 만들어내는 성과물을 자랑하고 거기에서 느끼는 무한한 자부심을 표현할 기회를 만들어주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성적이 아니라 생산성에 상을 주어라. 시험점수나 통지표의 평점이 아니라 아웃풋에 상을 주어야 한다. 숙제를 꼬박꼬박 잘 제출했거나, 일정한 시간동안 공부를 했을 때 아이들은 특별한 인정을 받아야한다.
- 함께 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어라 . 엄마와 아빠와 같이 공통의 관심사를 추구하거나 프로젝트를 함께하는 경험은 아이에게 아주 의미 있는 일이다. 아이들은 자신이 가족의 일원으로서 나름의 몫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이의 작업공간을 마련하고 관리하라.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10.03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