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문
1. 일제의 병참기지화정책
2. 민족말살정책
맺음말
본문
1. 일제의 병참기지화정책
2. 민족말살정책
맺음말
본문내용
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민족말살정책을 통해 조선민족의 정체성을 파괴하려고 하였다.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에서 내세운 조선인의 동화란 결국 조선인들이 조선민족으로 생활하는 것 자첼르 부정하는 철저한 민족파괴작업이었고, 이것은 조선인을 하급 일본인으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차별성을 그 근간으로 하고 있었다. 내용을 정리하다보니 나도 모르게 조금 감정적으로 흐른 부분이 적지 않다. 물론 화가 나고 증오심에 불타지만, 흥분하면 사물을 제대로 통찰할 수 없듯이 우리는 흥분을 가라앉히고 차가운 이성으로 민족말살정책 속의 일제의 지배이념과 매커니즘을 간파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50권 :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2001
김운태, 「1930년대이후의 일제침략전쟁동원과 민족말살정책」,『행정논총』13권, 서울대학 교 행정대학원, 1975
변태섭, 『한국사통론』 453-454p, 삼영사, 2004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7권-현대, 솔 출판사, 2004
--------------------------------------------------------------------------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50권 :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2001
김운태, 「1930년대이후의 일제침략전쟁동원과 민족말살정책」,『행정논총』13권, 서울대학 교 행정대학원, 1975
변태섭, 『한국사통론』 453-454p, 삼영사, 2004
류승렬,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7권-현대, 솔 출판사, 2004
추천자료
한국근대사(식민주의 사관&토지조사사업&의병전쟁&식민통치의 실상
한국사입문 시험 써머리
한국사 입문 중간고사 써머리
(소설창작론)이태준의 「패강냉」과 「복덕방」의 구체적인 설명을 바탕으로 한 이태준의 근...
친일시와 저항시 - 윤동주와 이육사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에 나타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현대시의 이해
2012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 북한문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고전의가치,문장파예술가의지향점)
(방송대)이태준 소설의 특징과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문화유산, 문화유산 종류, 문화유산 보존, 문화유산 정보조직, 문화유산 관광자원화]문화유...
[독후감] 모던 뽀이, 경성을 거닐다 - 신명직 저
2017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 한일관계사 사적지)
2018년 2학기 전근대한일관계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8세기 한일관계사 사적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