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경색 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경색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1문헌고찰
뇌경색
(1) 정의
(2) 원인
(3) 증상징후
(4) 진단
(5) 간호
(6) 치료
(7) 뇌졸중 합병증과 예방
고혈압

Ⅱ-2 간호정보조사 기록지 (간호정보조사기록지, 투약, 검사, 간호진단)
1. 일반정보
1) 일반적 사항
성명 : 정 xx / 성별 : 여 / 주 진단명 : Acute Cb infarction / 주증상 : Rt. motor weakness, headache
2) 과거력
2) 신체사정
4) 인지영역
5) 지식영역
6) 감정영역
7) 진단검사


Ⅲ 결론


출처

본문내용


소변에서 포도당 검출됨을 이용
<생화학>
항목
검사치
결과
정상치
임상적 의의
Glucose
219
55~115
혈당량을 검사하는 것으로 수치가 높을 경우 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으며 갑상선 기능이 떨어지거나 위 절제 수술, 뇌출혈, 임신시에도 동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증가 : 당뇨병
Albumin
3.8
3.0~4.5 g/㎗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기 능을 갖는다.
AST
18
0∼40IU/l
심장, 간에서 매우 높은 농도로 나타나고 골격근, 신장, 췌장에서 적당량 나타난다.
간 상해 후에 높은 혈중 농도가 나타난다. 심근 손상 후 6∼10 시간내에 상승하고 12∼48시간에 최고에 다다르며 약 3∼4일후에 정상으로 되돌아온다. 임상적으로 심근경색증인 환자의 경우 90∼95%에서 AST 수치가 상승한다.
AST↑: 심장수술, 급성췌장염, 임신중독증, 화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급성신장질환, 용혈성 빈혈, 골근육 질환과 상해.
BUN
14.8
8~20 ㎎/㎗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이다.
40~80mg/dl ↑: 신장 기능에 장애.
Creatinine
0.9
0.5~1.3
㎎/㎗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증가: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여과치 감소, 울혈성 심부전
sodium
141.7
135~145
mEq/l
식이 중의 나트륨 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있음.
항목
검사치
결과
정상치
임상적 의의
Blood
Ammonia
8/22 85

9~33
1. 임상적 의의 : 혈중 암모니아 질소를 측정, 단백질 대사와 장내 세균에 의한 단백질 변성에 만들어지는 간에서 요소로 전환시켜 배출
2. 증가 : 간경변, 전격성 간염, 간내,외 Shunt, 선천성 요소 결손증, 선천성 Amino산 대사이상증, 레이 증후군, shock, 신생아 용혈성 질환, 위장관 출혈
8/23 63
8/27 58

→ fecal retention in colon and fluid filled dilated terminal ileum. Dx Enteritis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움직일 때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함
오른쪽 팔과 다리 힘이 없음
침상 난간이 항상 내려와 있음
재활훈련 중에 있으나 이동 시 휠체어가 필요함
간호진단
편측마비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 : 의료진과 가족은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조성한다.
장기 :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이 조성됨으로써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1) 환자가 침상에 있을 때는 난간을 올려주고 침대를 낮게 해준다.
2) 환자의 침대가 흔들거리지 않게 바퀴를 고정한다.
2.
1) 낙상의 위험성을 사정한다.
2)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한다.
3. 필요할 때에는 언제나 도움을 청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4.
1) 환자를 서두르게 하지 않는다. 욕실이나 통로 보행시 충분한 시간을 준다.
2) 보행시 미끄럽지 않고 굽이 낮은 잘 맞는 슬리퍼나 신을 신도록 교육한다.
3) 필요한 물품은 쉽게 닿을 수 있게 그리고 환자의 시야 내에 둔다.
4) 엎지른 것은 즉시 닦고 바닥은 어지럽혀 놓지 않도록 한다.
5. 밤에 이동 활동시에는 침상 옆 야간 조명을 키도록 교육한다.
수행
라운딩을 하거나 바이탈을 잴 때마다 침상 난간이 내려져있는지 확인하였고 침대를 낮은 상태로 두었다.
침대의 움직임이 있을 때마다 바퀴로 고정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2. 입원 시 낙상 위험성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3. 볼 때에 도움이 필요하면 도움을 주었고 간호사 호출 버튼을 알려주어 필요할 때마다 누르도록 말하였다.
4. 라운딩을 할 때와 바이탈을 할 때 환자 주위 어지러운 물건을 정리하여 주었고 슬리퍼는 굽이 낮은 슬리퍼나 신을 신도록 교육하여 대상자는 굽이 낮은 슬리퍼를 신고 다닌다.
5. 밤에 활동시에는 야간 조명을 키도록 교육하였고 야간 조명의 위치를 알려주었다. 그리고 혼자 돌아다니지 않게 보호자가 항상 대기하며 같이 다닐 것을 교육하였다.
이론적근거
침대를 낮게 해주어 만일 발생한 낙상 시 손상을 적게 해주고 침상 난간을 올려주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고 침대가 움직여 균형을 잃는일이 없도록 바퀴를 고정한다.
2. 낙상의 위험성을 조사함으로써 위험성이 될 요소를 미리 제거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낙상의 위험성을 줄인다.
4. 걸을 때 여유롭게 주위를 살피며 걸어가도록 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주위를 정리하여 환자의 활동범위와 운동범위를 줄여주어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7. 혼자 일어나고 일어난 후 보행하는 능력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낙상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평가로 사용된다.
평가
side rail과 침상바퀴 고정과 같은 주위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덕분에 대상자와 그 가족들도 낙상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을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였고 간호를 하는 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Ⅲ 결론
고혈압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동군산 병원을 통해 치료를 받아와서 뇌졸중 증상이 왔을 때에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었다. 오른쪽 팔, 다리가 비록 약하기는 하지만 아예 불구가 아니기에 꾸준한 재활훈련을 하고 있다. 현재는 병의 진행 관찰과 재활훈련을 위해 입원하고 있으며 아직 다른 합병증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병원 생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예방하는데 간호 초점을 두고 있다. 아직 다른 손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출처 : 3시간 놓치면 죽을 때 까지 고생하는 뇌졸중, 국일미디어, 허춘웅 저, 2009
복부영상의학, 일조각, 대한복부영상의학회 편, 2010
내 몸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 뇌경색, 넥서스, 우치마야 신이치로 저,
성인간호학 2, 현문사, 전시자 외, 2011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김금자 외, 2012년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 Ⅲ, 정담미디어, 박상연 외, 2006년
<성인간호학>
case study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3.10.0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