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후 배상 문제
1.<대일 청구권 문제>
2.<한일 기본조약>
■일본 측 입장
■한국 측 입장
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대일강화조약)
ⅱ. 위안부
ⅲ. 강제징용
■독일과의 비교
1.<대일 청구권 문제>
2.<한일 기본조약>
■일본 측 입장
■한국 측 입장
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대일강화조약)
ⅱ. 위안부
ⅲ. 강제징용
■독일과의 비교
본문내용
한국인의 수를 66만 7천 6백 48명으로 공식 발표했을 뿐, 이들에 대한 어떤 보상도 외면하고 있다.
- 현재 일본에서 일제강점기 시절에 조선인 징용 노동자들의 실제 미지급 임금이 적립된 통장들이 수만 개 발견되면서 미지급 임금의 규모와 당사자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기 때문에 적잖은 파문을 예고하고 있는 실태지만, 일본정부와 강제노동착취를 했던 기업은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에 미지급 임금도 포함된다는 입장만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계기로, 일본 정부가 미지불 임금에 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일청구권협정에 임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독일과의 비교
일본
독일
배상목적
피해 상대방 국가에 '경제협력 명목의 원조'를 제공.
피해자 개인에 대한 구제를 1차 목적으로 한 지불이 대부분.
배상대상
군국주의의 정책을 수행하다 피해를 당한 군인, 공부원 등으로 대상을 한정.
보상원칙에 있어서 독일의 보상관련 법규는 보상대상자가 '나치즘의 피해자'임을 분명히 밝힘
구제적용
전쟁 희생자 구호를 위한 일본의 국내법은 철저히 현재의 일본 국적자에게만 적용.
국내 보상법은 국적과 상관없이 모든 나치 피해 외국인에게 동등하게 적용.
민간기업의 구제
일본의 경우 민간기업들은 과거 강제 동원되었던 자들의 미불 임금 지급 요구 등을 철저히 거부. 정부도 그 같은 방향으로 행정지도.
부분적이나마 민간기업의 보상금 지불이 실현.
구제현황
일본의 경우 전후처리를 위한 대외 지불은 1977년 이르러 거의 완료.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과 배상 지불이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예정.
- 현재 일본에서 일제강점기 시절에 조선인 징용 노동자들의 실제 미지급 임금이 적립된 통장들이 수만 개 발견되면서 미지급 임금의 규모와 당사자가 상당히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기 때문에 적잖은 파문을 예고하고 있는 실태지만, 일본정부와 강제노동착취를 했던 기업은 1965년 한일청구권 협정에 미지급 임금도 포함된다는 입장만 내비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계기로, 일본 정부가 미지불 임금에 대한 조사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일청구권협정에 임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독일과의 비교
일본
독일
배상목적
피해 상대방 국가에 '경제협력 명목의 원조'를 제공.
피해자 개인에 대한 구제를 1차 목적으로 한 지불이 대부분.
배상대상
군국주의의 정책을 수행하다 피해를 당한 군인, 공부원 등으로 대상을 한정.
보상원칙에 있어서 독일의 보상관련 법규는 보상대상자가 '나치즘의 피해자'임을 분명히 밝힘
구제적용
전쟁 희생자 구호를 위한 일본의 국내법은 철저히 현재의 일본 국적자에게만 적용.
국내 보상법은 국적과 상관없이 모든 나치 피해 외국인에게 동등하게 적용.
민간기업의 구제
일본의 경우 민간기업들은 과거 강제 동원되었던 자들의 미불 임금 지급 요구 등을 철저히 거부. 정부도 그 같은 방향으로 행정지도.
부분적이나마 민간기업의 보상금 지불이 실현.
구제현황
일본의 경우 전후처리를 위한 대외 지불은 1977년 이르러 거의 완료.
희생자들에 대한 보상과 배상 지불이 현재도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예정.
추천자료
(아동복지)결손아동에 대한 이해와 복지현황 및 문제점 해결방안
(아동학대) 아동학대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입방안
[국제협상] 한국과 일본간 정신대 위안부 문제 협상과 그 결과
[정치학*사회과학]현대 한국외교의 문제점과 과제에 관하여-국제정세속의 한국외교를 중심으로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에 관한 남북한의 입장 및 문제
[청소년복지]우리나라 미혼모복지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및 발전방안
국민건강보험 정의, 연혁, 현황 및 문제점과 해결방안 A+ 자료!!
한국사회 양극화현상(정규직과 비정규직 노동자)에 관한 분석 고찰(한국사회문제 C형)
사외이사제도의 실효성의 논의와 개선방안의 연구(한국사회문제 D형)
(A+ 레포트)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와 복지정책 방향
(A+ 레포트)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와 복지정책 방향
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 원리와 특성,문제 및 개선과제
[노사관계론 공통] 우리나라 노사관계의 발전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문...
여성빈곤 : 여성빈곤의 원인, 문제점 및 여성빈곤의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