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키프리아누스
⊙ 시대적 상황
⊙ 생애
▣ 박해와 배교자
⊙ 박해, 키프리아누스의 피신
⊙ 박해, 순교자들과 배교자들
⊙ 배교자 문제로 인한 교회의 분열
⊙ 화해와 문제의 해결
⊙ 또 다시 박해 - 전염병의 원인으로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지목
▣ 이단자의 세례
⊙ 이단자들의 세례문제에 대한 논쟁 - 키프리아누스는 무효라고 주장 (아프리카 교회의 전통)
⊙ 교황청의 입장 - 세례 없이 참회예식으로만 입교 가능 (교회의 전통)
⊙ 로마 교회(교황청)과 아프리카 교회(키프리아누스)의 대립
⊙ 박해로 인한 스테파누스의 순교로 논쟁의 중단, 그리고 순교
⊙ 시대적 상황
⊙ 생애
▣ 박해와 배교자
⊙ 박해, 키프리아누스의 피신
⊙ 박해, 순교자들과 배교자들
⊙ 배교자 문제로 인한 교회의 분열
⊙ 화해와 문제의 해결
⊙ 또 다시 박해 - 전염병의 원인으로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지목
▣ 이단자의 세례
⊙ 이단자들의 세례문제에 대한 논쟁 - 키프리아누스는 무효라고 주장 (아프리카 교회의 전통)
⊙ 교황청의 입장 - 세례 없이 참회예식으로만 입교 가능 (교회의 전통)
⊙ 로마 교회(교황청)과 아프리카 교회(키프리아누스)의 대립
⊙ 박해로 인한 스테파누스의 순교로 논쟁의 중단, 그리고 순교
본문내용
프리아누스와 스테파누스 사이의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아프리카 교회와 로마 교회 사이의 대립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박해로 인한 스테파누스의 순교로 논쟁의 중단, 그리고 순교
로마 교회와 카르타고 교회 사이의 이 대립은 박해로 인해 중단되었다.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257년에 박해를 강화하면서 제국 내에 특히 주교와 사제들을 처단하도록 하였다. 스테파누스는 257년 8월 2일에 순교하였고, 식스투스가 그의 뒤를 이어 로마의 주교가 되었다.
키프리아누스는 257년에 체포되어 파테르누스 총독의 재판을 받고 귀양살이를 하게 되었다. 그는 1년 후 소환되어 총독에 의해 새로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이교 신에게 제사를 지내라는 총독의 명령을 거부하자 258년 9월 14일 카르타고 근교에서 참수됨으로써 순교하였다.
⊙ 박해로 인한 스테파누스의 순교로 논쟁의 중단, 그리고 순교
로마 교회와 카르타고 교회 사이의 이 대립은 박해로 인해 중단되었다. 발레리아누스 황제는 257년에 박해를 강화하면서 제국 내에 특히 주교와 사제들을 처단하도록 하였다. 스테파누스는 257년 8월 2일에 순교하였고, 식스투스가 그의 뒤를 이어 로마의 주교가 되었다.
키프리아누스는 257년에 체포되어 파테르누스 총독의 재판을 받고 귀양살이를 하게 되었다. 그는 1년 후 소환되어 총독에 의해 새로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이교 신에게 제사를 지내라는 총독의 명령을 거부하자 258년 9월 14일 카르타고 근교에서 참수됨으로써 순교하였다.
추천자료
기독교교육논문(교회 청소년을 위한 성서학습지도)
한국인에게 종교의 의미 - 한국의 교회
진리와 평화를 위한 교회의 투쟁 (서평)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을 맞아 그 내력과 의미를 기술하고, 21세기 한국교회의 부흥전략을 ...
교황권을 중심으로 본 서양 중세교회와 정치관계에 대한 고찰
[예배][기독교예배][기독교][교회][성경]예배(기독교예배)의 개념, 예배(기독교예배)의 역사,...
한국인에게 종교의 의미 - 한국의 교회
영산 조용기 목사의 교회성장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V. 종교개혁의 시대(1517-1648) 요약 자료
중세의 이단운동 - 11~13세기 이단과 로마교회의 대응
칼빈과 어거스틴 교회를 위한 신학 요약 & 서평
책요약 -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 Ⅳ. 중세 기독교 시대(590-1517) 부분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