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러시아 영화의 시작
2.혁명 이전의 러시아 영화
3.혁명 이후의 소비에트 영화
-혁명직후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30-194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50-196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60년대 이후 소비에트 영화
-개혁. 개방기의 러시아영화
4.러시아 영화의 현재와 미래
2.혁명 이전의 러시아 영화
3.혁명 이후의 소비에트 영화
-혁명직후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30-194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50-1960년대 소비에트 영화
-1960년대 이후 소비에트 영화
-개혁. 개방기의 러시아영화
4.러시아 영화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어진 박애주의 영화들은 60-70년대 러시아영화의 특징을 대변해주고 있다. 러시아 영화에는 슬라브민족의 전통문화와 고유사상이 담겨져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러시아영화에서 자국영화의 전통과 맞닿아 있는 영화를 발견하기란 쉬운일이 아니다. 모스크바에서 제작된 영화들은 이야기의 구성과 전개에서 급속도로 헐리웃 영화를 닮아가고 있으며, 서유럽 자본에 의존하여 제작된 대다수의 뻬쩨르부르그 영화들은 자신의 세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감독들의 성향으로 인해 현실과의 소통불능에 빠져버렸다. 영화 형식에 대한 왕성한 실험정신과 박애주의 구현의 전통, 그리고 이른바 러시아 리얼리즘으로 불리웠던 현실에 대한 집요한 관찰과 가감없는 묘사는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 추억의 저편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러시아 구성주의와 건축
러시아형식주의비평
러시아 발레의 기원과 생성과정, 발전과정, 사회문화사적 배경, 현재 흐름, 대표적 발레인물 ...
러시아 : 고골리의 생애와 작품분석
러시아와 브라질스포츠
[원자력발전][원자력사례][미국][루마니아][러시아][한국][원자력에너지]원자력발전의 기본원...
러시아 진출 계획
러시아로의 건설분야 진출 가능성과 극동지방의 전략적 이용에 대한 의견
사이버러시아
러시아의 부활을 꿈꾸는 푸틴
러시아 발레
<러시아문화의 이해] 동슬라브 신화 속에 반영된 세계상 -7주신과 정령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미국][중국][러시아][프랑스]대한민국임시정부와 미국, 대한민국임시정부...
러시아 문화산책
소개글